항만운영 통합관리시스템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0.07
9,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항만운영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마트 항만과 물류 혁명
1.1. 스마트 항만의 개념
1.2. 스마트 항만의 터미널 운영 동향
1.3. 스마트 항만의 장비 운영 동향
1.4. 스마트 항만의 친환경 운영 동향
1.5. 스마트 항만의 한계점

2. 국내외 스마트 물류 사례
2.1. 국내 사례: CJ대한통운, 롯데 글로벌로지스, DHL
2.2. 국외 사례: 중국 항만의 자동화 및 스마트 기술 도입
2.3. 자율주행 상용차의 물류 활용

3. 대한민국의 스마트 항만 및 물류 전략
3.1. 부산 신항 스마트 항만 구축 계획
3.2. 현대자동차의 자율주행 트럭 개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마트 항만과 물류 혁명
1.1. 스마트 항만의 개념

선박의 초대형화 등에 따른 항만 혼잡도 증가와 세계 거점항만 간 경쟁 심화로 항만 작업 효율성(productivity) 향상 및 안전(safety), 보안(security), 친환경(eco) 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디지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으로 항만산업은 기술혁신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항만(smart port)이라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에 적응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스마트항만의 개념 정의를 제시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으나, 해양수산부에서 검토 중인 스마트항만 구축전략에 따르면 스마트항만의 개념을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하여 정보의 수집·전파·분석·실행을 자동적·자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항만'으로 정의하고 있다. 스마트항만을 구성하는 3대 요소로 지능화 항만, 자동화 항만, 친환경 항만 등이 제시되고 있다.

지능형 항만은 효율적인 터미널 운영과 자율적인 안전관리 등이 가능한 항만이다. 자동화 항만은 항만 하역에서 안벽, 이송, 야드 장비의 자동화가 구현되는 항만이다. 친환경 항만은 친환경 기술 및 인프라 등을 적용하여 도시와 조화를 추구하는 항만이다. 이처럼 항만 공간에 정보기술이 접목되면서 다양한 개념들이 통용되고 있으며,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유사 개념을 스마트항만(smart port)으로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1.2. 스마트 항만의 터미널 운영 동향

항만의 터미널 운영 방식은 스마트항만 자동화 설비 도입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항만 생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컨테이너 터미널은 터미널 운영 방식에 따라 수직형과 수평형 레이아웃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항만 운영 특성에 따라 수직형 및 수평형 레이아웃의 장단점에 차이가 있어 운영 특성을 고려한 자동화 터미널 설계가 중요하다.

수평형 터미널은 컨테이너 야드의 야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이 선박 및 안벽과 수평으로 병렬적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Cantilever가 설치된 크레인을 통해 야드의 측면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킴에 따라 야드에서의 컨테이너 반출입이 매우 신속하게 일어나지만 선박에서 야드까지의 야드 내부 컨테이너 흐름과 야드에서 게이트까지의 외부 연계 부분의 컨테이너 흐름이 서로 혼재되어 수평이송장치의 자동화에는 부적합하다.

반면 수직형 터미널은 야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이 선박 및 안벽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야드에서의 컨테이너 반출입은 야드의 위아래에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야드 내 통로 공간을 최소화하고 항만 내 컨테이너 보관 효율이 극대화되며, 야드 내부 컨테이너 흐름과 외부 연계 부분의 컨테이너 흐름이 분리되어 수평이송장치의 자동화에 유리하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ECT(Europe Container Terminal) DDN 터미널은 세계 최초로 무인 자동화 터미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컨테이너 장치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변경하는 것을 시도하여 현재 전 세계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의 표준을 변경하였다. 중국의 ZPMC는 세계 최대의 항만 하역 장비 생산업체로서 2007년 세계 최초로 탠덤리프트 방식의 완전 무인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을 개발했으며 터미널 운영은 수직형 배치 형태의 야드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안벽와 야드사이에 컨테이너 이동을 기존의 야드 트럭이나 AGV가 아닌 별도의 레일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

해외 항만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자동화 터미널을 통해 효과적인 스마트항만 운영을 위해서는 수직형 배치가 수평형 배치보다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스마트 항만의 장비 운영 동향

무인 이송장비인 AGV(Automated Guided Vehicles)는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안벽과 야드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비로 네덜란드의 ECT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유류를 사용하는 장비가 주로 이용되었으나 이후에는 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으며 현재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소진되었을 때 자동으로 교체장소로 이동하는 배터리 교환 방식과 TP 지점에서 대기시간에 자동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


참고 자료

「스마트항만 도입 결정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홍종욱(2018)
「스마트항만의 선진사례 분석과 시사점」, 정태원(2018)
「미래를 선도하는 스마트 항만물류기술」, 전자공학회지 제39권 제5호, 최상희(2012)
「컨테이너터미널 자동화 이송장비 도입에 관한 연구」, 이진형(2020)
https://www.ajunews.com/view/20220225131803005
https://www.lotis.or.kr/trends/3003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10419054255528
https://www.inuglr.com(인천대학교 글로벌 로지스틱스 리뷰)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890
국제물류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4차 산업혁명, 유통 물류 산업과 만나다!, 솔토지빈, 미래교육, https://smmi.tistory.com/entry/4%EC%B0%A8-%EC%82%B0%EC%97%85%ED%98%81%EB%AA%85-%EC%9C%A0%ED%86%B5%E2%80%A7%EB%AC%BC%EB%A5%98%EC%82%B0%EC%97%85%EA%B3%BC-%EB%A7%8C%EB%82%98%EB%8B%A4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탄생한 ‘스마트 물류시대’, 김유정 기자, 소비자평가,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3538
PART7. 부산항은 지금?, 석한글 기자, 물류신문,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889
상하이 양산항, 세계 최대 완전무인자동화 컨터미널 개장, 쉬핑뉴스넷, http://www.shippingnewsnet.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35
미국의 자율주행 트럭 주요 기업으로 보는 유통 변화, KOTRA, https://smartcity.go.kr/2022/05/16/%EB%AF%B8%EA%B5%AD%EC%9D%98-%EC%9E%90%EC%9C%A8%EC%A3%BC%ED%96%89-%ED%8A%B8%EB%9F%AD-%EC%A3%BC%EC%9A%94-%EA%B8%B0%EC%97%85%EC%9C%BC%EB%A1%9C-%EB%B3%B4%EB%8A%94-%EC%9C%A0%ED%86%B5-%EB%B3%80%ED%99%94/
툭하면 파업으로 물류난 현대차 ‘트럭 자율주행’박차, 연선옥 기자, 조선일보, https://biz.chosun.com/industry/car/2022/06/09/5GI7IHGLM5HQNL2PEAQ3HOJGE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