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건축 회사 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07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모듈러 건축 회사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듈러 건축의 정의와 특징
1.1. 모듈러 건축의 개념과 발전 과정
1.2. 모듈러 건축의 장점
1.3. 모듈러 건축의 유형 및 적용 사례

2. 오픈 빌딩의 개념과 실험 사례
2.1. 오픈 빌딩의 개념 및 원리
2.2. 핀란드의 오픈 빌딩 실험 사례
2.3. 일본의 오픈 빌딩 실험 사례

3. 코로나19와 모듈러 건축
3.1. 코로나19와 모듈러 건축의 활용
3.2. 팬데믹 이후 모듈러 건축의 역할

4. 건설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4.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개념
4.2. 건설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현황 및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듈러 건축의 정의와 특징
1.1. 모듈러 건축의 개념과 발전 과정

모듈러 건축의 개념과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택의 공장생산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은 1920년대 말에서 1930년대에 독일의 건축가 Peter Behren, Walter Gropius와 미국의 건축가 Richard Neutra, Buckminster Fuller 등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대량생산의 개념이 주택산업에 그대로 도입되면서 패널이나 부품을 근간으로 하는 시스템들이 처음으로 도입되었고 이후에 모듈러나 입체 유니트(modular or volumetric units)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미국에서 모듈러 산업은 여행용 트레일러(캐러밴) 산업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급격히 증가한 방위산업체 근로자들의 숙소로 사용되면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주택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이러한 트레일러를 영구적인 주택으로 만들려는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개발된 것이 현재 모바일홈이라 불리는 것으로 주택과 탈것의 기능을 적절히 조합한 경우이다. 1950년대 초반에 접어들면서 공장생산에 의한 생산원가의 절감에 대한 요구가 거세게 대두되면서 미국에서는 새로운 회사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1959년에는 268개의 회사에서 총327개의 생산공장을 보유하였다. 1963년부터는 이러한 공장생산 주택이 모바일홈과 모듈러홈의 서로 다른 분야로 나누어졌다.

일반 건물에서는 조립식 욕실('pod' bathroom)과 같은 프리패브 부품을 개발한 진보적인 건축가나 디자이너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모듈들이 적용되었다. 조립식 욕실에 대한 개념은 1937년경에 이미 제기되었고 미국의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인 Buckminster Fuller는 스틸 프리패브 다이맥션(Dymaxion) 바스룸을 개발하였다. 그로부터 3년후 Nicholas Grimshaw는 런던에서 나선형으로 조립식 욕실 클러스터를 부착한 원통형 타워를 학생용 호스텔에 부착하였다. 1978년에 그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만든 스테인리스 스틸 화장실 모듈을 영국의 Warrington에 지은 새로운 공장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그후 몇 년이 지나서 아마도 Grimshaw의 화장실유닛에서 영향을 받은 Norman Foster경이 홍콩의 샹하이뱅크 본사건물에 철제 화장실유닛을 적용하였다. 이 건물이 세계에 널리 소개되면서 사무소건물에서의 모듈 적용이 지닌 이점이 건축가들에게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로 인해 모듈러빌딩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런던 중심가에서 일어난 오피스빌딩 붐은 이러한 화장실 모듈과 룸모듈의 적용을 증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주택분야에서 모듈러 건축의 이용은 일본을 제외하고 모든 나라에서 적용이 늦게 이루어졌다. 모듈러 건축은 새로운 건설기술의 적용기회에 고무된 건축가들에 의해 소개된 기술로 건설분야에 '대량생산'의 이점을 제공하였으나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대규모 시장을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영국에서 경량철골 조립부재(steel framing)를 사용한 모듈러 하우징 건축의 최초의 사례는 런던의 Hackney에서 지자체(local authority, 이전의 GLC)가 건설한 주택으로, Building with Steel(1974)이라는 잡지에 소개된 바 있다.

이처럼 모듈러 건축은 그 개념이 1920년대부터 제시되었으나 실제로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적용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모듈러 건축은 점차 발전을 거듭하며 오늘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목을 받는 등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1.2. 모듈러 건축의 장점

모듈러 건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공기단축(short build times)이 가능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빌딩 건설방식에 비해 평균 50~60%로 공기가 단축된다. 반면에 현장에서 건설이 시작되기 전에는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준비기간을 필요로 한다.

고품질의 달성(superior quality)이 가능한데, 공장생산에 바탕을 두는 품질관리 기법과 기준의 도입으로 고품질의 달성이 가능하다. 철제는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부재이다.

경제성(economy)이 있는데, 합리적인 생산공정, 고정 가격, 공기 단축(초기투자비의 조기 회수를 유도함)으로 인해 경제성이 있다.

경량화(low weight)가 가능한데, 모듈러 건축은 전통적인 방식의 벽돌조 건축에 비해 무게가 3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초의 가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모듈러 건축은 기존 건물에 대한 하중부담을 줄이면서 옥상층을 이용하여 상층부로 증축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치수정밀도(dimensional accuracy)가 높아서 모듈의 인테리어와 오프닝 부분의 치수설정과 설치과정에서 오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환경적 부담의 경감(environmentally less sensitive)이 가능한데, 합리적인 공장생산 기술은 전통적인 건설과정에 비해 쓰레기의 발생량이 적고 현장의 정리가 용이하다.

진동 특성(seismic properties)이 뛰어나서 철제 모듈은 뛰어난 견고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국제적인 지진기준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이동의 용이성(relocatability)이 있는데, 철제 모듈로 만들어진 건물은 쉽게 재설치가 가능하며 모듈들은 새로운 건물...


참고 자료

1. The Steel Construction Institute, SCI-P-272 Modular Construction using Light Steel Framing : An Architect`s Guide
2. The Steel Construction Institute, SCI-P-302 Modular Construction using Light Steel Framing : Design of Residential Buildings
1.김수암(1999). 오픈하우징의 이론과 실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House Japan(2000), SI HOUSING Project Flexsus House 22
3.都市基盤整備公団(1998), KSI
4.Next21建設委員會(1993),大阪ガス實驗集合住宅 NEXT21,大阪ガス株式會社
5.建設省(2000),長期耐用都市型集合住宅の建設․再生技術の開發-中間報告書
6. House Japan Project(2001), SI Housing Project Flex년 House 22
7. UDS(2002), Kodan Skeleton & Infill Experimental Housing.
논문-건설산업의 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오해 (김정헌)
http://www.ricon.re.kr/foreign_view.html?bn=23&seq=4806
http://kiramonthly.com/architecture-discussion-2006-0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