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레임워크
1.1.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발 역사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발 역사는 컴퓨터 발전 역사와 병행하여 발전해 왔다. 처음에는 기계어로 프로그래밍을 수행하였지만 복잡한 코드 작성과 이해의 어려움으로 인해 어셈블리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프로그래밍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1954년에 최초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인 FORTRAN이 개발되었다. FORTRAN은 과학적 계산에 적합한 언어였으며, 이후 1959년에는 COBOL이 개발되어 비즈니스 분야에 널리 사용되었다. 이러한 초창기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기계어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프로그래밍 작업이 여전히 어려운 편이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치면서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972년에 C언어가 개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1979년에는 C++언어가 등장하였다. C와 C++은 범용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이와 함께 Pascal, Ada, Lisp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었다.
1980년대부터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언어로는 Smalltalk, Objective-C, Eiffel 등이 있었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는 자바가 개발되어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안전성이 뛰어난 언어로 각광받게 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스크립트 언어인 Python, Ruby, JavaScript 등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이 언어들은 문법이 단순하고 손쉽게 배울 수 있어 개발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에는 Swift, Kotlin, Go 등 새로운 언어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역사는 컴퓨터 기술 발전과 함께 진화해 왔다. 사용자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언어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2. 프레임워크의 정의와 역할
프레임워크의 정의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프레임워크(Framework)는 "뼈대, 틀"이라는 의미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개발 기능(인터페이스)의 집합으로, 일종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을 짓는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직접 집 설계도를 그리고 전기공사, 수도공사 등 각각의 기초 작업을 하는 것보다는 전문 작업인들의 도움을 받아 청사진을 받고 기초공사를 완료한 모델하우스를 기반으로 인테리어를 하는 것이 더욱 쉽고 효율적일 것이다.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도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면, 제공되는 여러 공통 기능들을 사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Spring, Django, Flask와 같은 웹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한국에서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가 사용되고 있으며, 민간 기업에서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Spring Framework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제공함으로써, 개발 속도를 높이고 개발자가 핵심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라고 볼 수 있다.
1.3. 웹 프레임워크의 종류와 특징
웹 프레임워크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웹 프레임워크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웹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대표적인 웹 프레임워크로는 Spring, Django, Flask, Ruby on Rails 등이 있다.
Spring 프레임워크는 자바 기반의 개발 프레임워크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과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며, 모듈화된 아키텍처로 인해 유지보수성이 뛰어나다. 또한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를 지원하여 반복되는 코드를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Django 프레임워크는 파이썬 기반의 오픈소스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모델-뷰-템플릿(Model-View-Template) 패턴을 따른다. 빠른 개발을 위한 다양한 내장 기능을 제공하며,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페이지(Admin Page)와 같은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Flask 프레임워크 역시 파이썬 기반의 웹 프레임워크로, Spring이나 Django에 비해 가볍고 간단한 편이다. 마이크로 웹 프레임워크(Micro Web Framework)로 분류되며, 개발자가 필요한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단순한 구조로 인해 빠른 학습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는 적합하지 않다.
Ruby on Rails는 루비 언어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규약 > 설정" 원칙을 따른다. 이를 통해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연동, 라우팅, 템플릿 엔진 등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을 바탕으로 하여 코드의 구조화와 유지보수성이 뛰어나다.
이처럼 웹 프레임워크는 개발 언어와 철학, 아키텍처 등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개발자는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개발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웹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 한다."
2. Spring Framework
2.1. Spring Framework의 탄생 배경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2004년 3월에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하지만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탄생 이전에는 EJB(엔터프라이즈급 자바 어플리케이션)라는 일반적인 개발 스펙이 이미 존재해왔다. 당시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발표된 EJB 스펙이었지만, 불필요한 메서드 생성과 특정 개발도구의 종속성 등의 문제점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