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위탁계약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업무위탁계약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탁 및 수탁가공무역
1.1. 위탁가공무역의 정의 및 요건
1.2. 수탁가공무역의 정의
1.3. 위탁가공무역과 수탁가공무역의 부가가치세
1.4. 위탁가공무역계약서
1.5. 수탁가공무역계약서

2. 부동산 관리
2.1. 부동산 관리의 중요성
2.2. 직접관리방식
2.3. 위탁관리 방식
2.4. 혼합관리방식

3. 금융분야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 가이드
3.1. 클라우드 이용 시, 사전 준비 단계의 필요한 조치
3.2. 클라우드 이용 시, 계약 체결 단계의 필요한 조치
3.3. 클라우드 이용 시, 보고 및 이용 단계의 필요한 조치
3.4. 클라우드 해킹 및 사고 사례와 대응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위탁 및 수탁가공무역
1.1. 위탁가공무역의 정의 및 요건

위탁가공무역은 한 나라의 업체가 다른 나라 업체에 원자재를 제공하고 생산을 위임한 뒤, 생산된 제품을 다시 들여오거나 제3국에 수출하는 무역거래 형태이다. 이는 임가공이라고도 불리며, 위탁자 입장에서는 위탁가공무역이 되고 위탁을 받는 입장에서는 수탁가공무역이 된다.

위탁가공무역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공임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외국에서 가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원재료의 국내 또는 외국에서 조달하여(외국인수수입) 외국수탁가공업자에게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가공물품을 제3국으로 인도하거나 가공국내의 제3자에게 인도해야 한다. 즉, 국내사업자가 외국임가공사업자에게 원부자재를 무환 반출하여 공한 제품을 국내로 반입하지 않고 국외에서 국내의 다른 사업자가 지정하는 외국사업자에게 인도한 후 국내에서 국내의 다른 사업자로부터 대가를 받는 경우에는 위탁가공무역에 해당하지 않는다.


1.2. 수탁가공무역의 정의

수탁가공무역이란 상대방으로부터 위탁을 받아 가공한 뒤 수출하는 무역형태이다. 가득액을 목적으로 원자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대방의 위탁에 의해 외국에서 수입한 뒤, 이를 가공하여 그 위탁자나 지정된 자에게 수출한다. 해외 생산자에게 원자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출하여 이를 가공 후 가공임을 조건으로 다시 수입하는 위탁가공무역(processing trade on consignment)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원자재 조달에 따라 무환수탁가공무역과 유환수탁가공무역으로 나뉘는데, 무환수탁가공무역을 택하는 경우가 흔하다. 무환수탁가공무역은 무환으로 수입하여 가공 후 가공비만 받고 수출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유환수탁가공무역은 원자재의 수입대금과 가공제품의 수출대금을 직접 지급하고 수령하는 것으로, 수출용 원자재를 수입한 뒤 가공 후 수출하는 방식과 절차가 유사하다.

위탁자가 지정하는 자가 국내에 있는 경우 보세공장 및 수출자유지역에서 가공한 물품 등을 외국으로 수출할 수 없는 경우 관세법에 의한 수탁자의 수출·반출과 위탁자가 지정한 자의 수입·반입·사용은 이를 대외무역법에 의한 수출·수입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원자재의 전부가 수입 절차 없이 국내에서 조달되는 경우에는 수탁가공무역이 아니다.


1.3. 위탁가공무역과 수탁가공무역의 부가가치세

위탁가공무역과 수탁가공무역의 부가가치세는 다음과 같다.

위탁가공무역의 경우, 국내에서 위탁가공목적으로 반출이 이루어지는 원자재와 부자재는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재화의 공급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법 제1조 제1항 제1호, 제6조 제1항에 의거 보아, 재화의 소유권이나 사실상의 지배권이 여전히 원고(위탁자)에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즉, 원자재와 부자재의 국외 반출이 임가공계약에 따라 이루어졌고, 제3국으로의 수출도 위탁자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므로 재화의 공급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위탁가공무역의 경우 국내에서 무환반출하는 원자재가액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아니며, 완성된 제품의 인도가액을 과세표준으로 하게 된다. 다만 재반입조건부 위탁가공무역의 경우에는 관세당국과 부가가치세법상 취급이 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수탁가공무역의 경우, 국내의 다른 사업자가 비거주자 등과 계약에 의하여 인도받은 재화를 그대로 반출하거나 제조·가공 후 반출할 때에는 영세율이 적용된다. 수탁가공무역에 의한 국내사업자에게 인도하는 재화가 영세율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① 국외의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과 직접 계약에 의하여 공급할 것, ② 대금을 외국환은행에서 원화로 받을 것, ③ 비거주자 등이 지정하는 국내의 다른 사업자에게 인도할 것, ④ 국내의 다른 사업자가 비거주자 등과 계약에 의하여 인도받은 재화를 그대로 반출하거나 제조·가공 후 반출할 것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 경우 재화의 공급시기는 선(기)적일이 아니라 가공된 재화를 인도(입고)하는 때가 된다.

즉, 위탁가공무역의 경우 원자재 반출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아니며 완제품 인도가액이 과세표준이 되고, 수탁가공무역의 경우 가공된 재화 인도시 영세율이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1.4. 위탁가공무역계약서

위탁가공무역계약서는 어느 한 나라의 업체가 다른 나라의 업체에 원자재를 제공하고, 생산을 위임받은 후 생산된 제품을 다시 들여오거나 제3국에 수출하는 무역거래 형태를 규정하고 있다. 이 계약서에는 생산되는 제품의 사양과 수량, 원자재의 제공, 가공비 지불, 완성품의 인도, 배송 등 위탁가공무역 거래에 필요한 주요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약서에는 첫째, 위탁가공 대상 제품과 가공비 지급 조건이 명시되어 있다. 갑 업체는 을 업체에 원자재를 상업적 가치 없이 공급하고, 을 업체는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제조한 후 완성품을 갑 업체에 납품하며 그에 대한 가공비를 지급받는다.

둘째, 원자재 및 부자재의 관리와 관련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을 업체는 갑 업체가 제공한 원자재 및 부자재가 갑 업체의 소유라는 점을 인정하고 이를 선량한 관리자로서 관리해야 하며, 이에 대한 보험 가입 의무도 있다.

셋째, 생산 및 납품과 관련된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을 업체는 갑 업체가 제시한 샘플 및 사양에 따라 제품을 제조해야 하며, 갑 업체의 기술 지시와 작업 지시를 준수해야 한다. 또한 완성된 제품에 대한 통관 및 선적 업무는 갑 업체의 주문에 따라 진행된다.

넷째, 가공비 지급, 클레임 처리, 분쟁 해결 등 계약 당사자 간 권리와 의무에 관한 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갑 업체는 을 업체가 제시한 선적 서류 등을 확인한 후 가공비를 ...


참고 자료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kconsult&logNo=221602603147 수탁가공무역과 위탁가공무역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qoosmine&logNo=221487044763 수위탁 가공무역방식에 의한 수출입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wookwook5265&logNo=220850754461 위탁가공무역방식의 수출
http://busan-hcmc.org/cyber_trade/Lectures/Lesson01/lesson01_04.html 무역실무기초개념
https://blog.naver.com/moonpen/222501297886 해외 위탁가공무역
https://blog.naver.com/klhsto/221665735649 외국인도수출, 중계무역, 위탁가공무역, 위탁판매수출
https://blog.naver.com/hohosik77/222528119725 애플과 폭스콘으로 살펴본 위탁가공무역&수탁가공무역
https://blog.naver.com/omegatax/222225518124 위탁가공무역 수출과 국외 원재료 매입
https://blog.naver.com/jhcs19/221799836241 수탁가공무역방식에 의한 수출입
http://www.etaxkorea.net/sub/haesul/haesul_juje_Comment_content.php?year=2013&code=03-04-01-09&table=t0203000_k001_new
이코리아, KB국민은행 "전략적 부동산자산 관리 방법은?”, 2015.11.20.
AI타임즈, 보수적인 부동산 업계에도 부는 AI 바람... 이미 미국·유럽은 '프롭테크' 세상, 2022.2.11.
매경이코노미, 상상초월 ‘프롭테크’…부동산, 메타버스·블록체인·3D를 입다, 2021.8.2.
“1억 명 피해자 낳은 캐피탈원 침해 사고, 클라우드 보안 인식 바꿔” 보안뉴스, 문가용기자, 2022.06.2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