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암 개요
1.1. 정의 및 역학
폐암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한다. 폐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전체 암 중에서 매우 높은 편이며, 대표적인 치명적인 암 질환 중 하나이다.
폐암은 국내 암 발생률 4위이며, 남녀 모두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국가암등록사업에 따르면, 국내 폐암 발생률은 남성에서 2위, 여성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국내 폐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2.5%로, 발생률 상위 5개 암종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폐암은 예후가 좋지 않아 사망률이 높은 암 질환에 해당한다.
국제적으로도 폐암은 주요 관심 질병으로 파악되고 있다. OECD 국가들의 경우, 남녀 모두에서 폐암이 3대 주요 암종 중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생활양식이 점차 서구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폐암 발생률의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폐암의 가장 중요한 발병 요인은 흡연이다. 흡연은 폐암 발생의 약 90%와 관련되어 있다."" 간접흡연까지 포함하면 흡연이 폐암 발생의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석면, 비소, 크롬 등의 유독성 물질에 대한 장기적인 노출(직업적 요인), 벤조피렌과 우라늄, 라돈 같은 발암물질(환경적 요인), 그리고 가족력(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폐암을 일으킨다."" 특히 흡연과 직업적 또는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면 폐암 발생의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폐암의 발생은 크게 개인의 생활습관, 직업, 환경,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첫째, 흡연은 가장 중요한 폐암의 위험 요인이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 발생 위험이 10배 이상 높다."" 또한 간접흡연도 폐암 위험을 증가시킨다."" 둘째, 직업적인 요인으로 석면, 우라늄, 크롬 등의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폐암 발생의 위험이 높다."" 셋째, 대기오염이나 자연방사선 등의 환경적 요인도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폐암 발생의 위험이 더 높다.""
1.3. 분류
폐암은 크게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rcinoma, SCLC)과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SCLC)으로 분류된다.
NSCLC는 전체 폐암의 약 80-85%를 차지하며, 다시 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 등으로 나뉜다. 선암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폐 말초부에 생기며, 편평상피세포암은 중심부 기관지에 주로 발생하고, 대세포암은 비교적 드물게 나타난다.
SCLC는 약 15-20%를 차지하며, 매우 빠르게 자라나고 림프관 또는 혈관을 통해 빨리 전이되는 특징이 있다. 소세포암종은 다른 폐암에 비해 공격성이 강해 예후가 매우 좋지 않다.
따라서 폐암은 크게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구분되며, 이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조직학적 분류는 폐암의 치료 방법 선택과 예후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4. 임상양상
폐암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 당시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주요 임상양상으로는 전신증상, 국소증상, 그리고 전이증상 등이 나타난다.""
전신증상으로는 체중감소, 피로감, 식욕부진, 빈혈, 발열 등이 있다. 국소증상으로는 기침, 객혈, 호흡곤란, 흉통, 천명음 등이 있다. 기관이나 기관지를 침범하는 경우에는 연하곤란, 쉰목소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횡격막 신경을 압박하여 횡격막 마비로 인한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다. 상대정맥 증후군은 종양이 상대정맥을 압박하여 얼굴과 상지의 부종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전이증상으로는 두통, 현기증, 운동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 복통, 황달, 복수 등의 간전이 증상, 골통증 등이 있다.""
2. 진단 및 병기 설정
2.1. 진단 검사
폐암의 진단 검사는 크게 초기 진단을 위한 검사와 병기 설정을 위한 검사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초기 진단을 위한 검사로는 객담 세포진 검사와 흉부 X선 검사가 있다. 객담 세포진 검사는 객담 내에 암세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로, 진단의 민감도는 약 60%이다. 또한 흉부 X선 검사는 폐암 병변을 발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병변을 발견하기는 어려워 조기 진단에는 한계가 있다.
다음으로 병기 설정을 위한 검사로는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