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 신우신염 병태생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1.1. 정의
1.2. 발생 현황
1.3. 특징
1.4. 원인
1.5. 감염경로
1.6. 병태생리
1.7. 진단
1.8. 증상 및 징후
1.9. 치료
1.10. 예후
1.11. 예방
2. 요로감염의 분류
2.1. 하부 요로감염
2.2. 상부 요로감염
2.3. 무증상 세균뇨
3. 급성 신우신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3.1. 급성 신우신염
3.2. 만성 신우신염
4.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
4.1. 신장의 구성 요소
4.2. 신우와 집뇨관계의 기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1.1. 정의
급성 신우신염이란 신장이나 신우의 세균감염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요로감염은 방광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지만, 신우신염은 세균이 신장을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키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주로 나타난다"이다.
1.2. 발생 현황
급성 신우신염은 소변길(요로)의 세균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그 발생 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요로감염증 중에서도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매년 약 3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응급실 내원 환자 중 약 1-2%가 급성 신우신염 환자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연령별로는 20-50대 여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는 여성의 요도가 상대적으로 짧아 세균이 방광을 거쳐 신장으로 쉽게 퍼져나가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임신, 당뇨, 전립선 비대증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항생제 남용으로 인해 그람음성균 감염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치료에 어려움이 있어 재발 및 합병증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1.3. 특징
급성 신우신염은 주로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성 신우신염의 가장 대표적인 발병 환자군은 사춘기와 장년기 여성이다. 어린이의 경우 남녀 차이가 거의 없지만, 사춘기와 장년기에 이르면 여성 환자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진다. 이는 여성의 해부학적 특성상 요도의 길이가 남성에 비해 짧아 세균이 요도를 타고 올라가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임신이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노년기에는 남성 환자도 증가하는데, 이는 전립선 비대증 등 소변 배출 장애가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둘째, 급성 신우신염은 주로 대장균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 80~90%에서 대장균 감염이 확인되며, 특히 처음부터 급성 신우신염이 발병한 경우 대장균이 주된 원인균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항생제 사용 증가로 인해 변형균이나 녹농균과 같은 그람 음성 간균 감염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셋째, 급성 신우신염은 주로 요로를 통해 상행 감염되어 발생한다. 방광염이나 요도염과 같은 하부 요로 감염이 상행하여 신우와 신장 실질을 침범하면서 급성 신우신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요로의 해부학적 이상이나 소변 배출 장애가 있는 경우, 혈행성 또는 림프행성 감염 경로를 통해 신우신염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급성 신우신염은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39도 전후의 고열과 오한, 옆구리 통증, 전신 쇠약감 등이 주된 증상으로, 이외에도 배뇨 장애, 혈뇨, 요의 탁해짐 등이 동반된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발열, 보챔, 식욕부진, 구토 등의 전신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다섯째, 급성 신우신염은 경과가 짧지만 재발이 빈번한 특징이 있다. 적절한 치료 후에도 20%가량의 환자에서 2주 이내에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 동안 항생제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원인
급성 신우신염의 주요 원인은 소변의 정체와 세균감염이다. 소변이 배출되지 않고 정체될 때 세균의 증식이 쉽게 이루어져 급성 신우신염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요로계 구조 이상, 임신, 당뇨, 요로 폐쇄, 방광에서 요관으로의 소변 역류, 신독성 물질에의 노출 등이 있다.
요도의 세균 감염이나 도뇨관 삽입, 방광경 검사 등으로 인해 세균이 신장으로 침입하여 신우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요로상행성 감염이 가장 많은 원인이다. 또한 혈행성 또는 림프행성으로 신장에 세균이 전달되어 감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세균감염의 대부분은 대장균에 의한 것이며, 최근에는 항생제 사용 증가로 인해 대장균 이외에도 녹농균 등 다양한 그람음성 간균에 의한 감염이 증가하고 있다. 젊은 여성의 경우에도 특별한...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 윤은자외 공저, 수문사, 제9판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2 : 감염, 깔때기콩팥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34155&cid=55649&categoryId=55649)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급성 신우신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40&cid=51007&categoryId=51007)
가천의대길병원 건강칼럼, 신우신염이란?(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0948&cid=63166&categoryId=51014)
간호학대사전, 급성신우신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88261&cid=60408&categoryId=55558)
서문자 외, 성인간호학(下), 수문사, 2000
이중달, 그림으로설명한병리학, 고려의학, 1991
송미순 외, 진단적검사와 간호, 현문사, 1996
http://my.netian.com/~wjpmlee/hlthdata/신우신염.htm
http://cyber.allmedicus.co.kr/common/sense/ren2.html
http://myhome.netsgo.com/mydoctor/정보/신우신염.htm
http://cs.sungshin.ac.kr/~med/Kidney/kidneyini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