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베트남의 임신 및 출산 문화
1.1. 임신 알림 및 태도
옛날 베트남 사람들은 임신을 하면 보통 친정 어머니에게 알리고 친정 어머니는 이것을 사위에게 곧 아버지가 된다고 알렸다. 이러한 습속을 베트남어로 "띤 뭉(Tin mung: 기쁜 소식)"이라고 불렀다. 당시에 여성들은 임신한 사실을 부끄럽게 생각했기 때문에 배가 불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천으로 동여매는 일이 많았다.
1.2. 임신기 관리와 행동
옛날 베트남 사람들은 임신한 여자가 운동을 해야 했고, 그러한 운동은 보통 가사를 돌보는 것이었다. 앉아서 쉬는 것은 좋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이다"이다. 부유한 집안의 여자들도 임신을 하면 평상시 일을 하지 않았지만 임신 중에는 일을 해야 했다.
유교의 영향으로 남아선호 풍습이 남아있어 임산부에게 기혈에 좋은 약을 섭취하게 하거나, 조상의 묘를 찾거나 불교사원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하여 아들을 낳도록 하는 노력을 했다. 또한 임신한 여자의 배 모습, 아기의 움직임, 임신한 여자의 꿈 내용 등을 토대로 아들 또는 딸을 예측하려는 습속이 있었다.
1.3. 남아선호 풍습
유교의 영향으로 베트남에서는 남아선호 풍습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임산부는 아들을 쉽게 가질 수 있도록 기혈에 좋은 약을 섭취하거나, 조상의 묘를 참배하거나 불교사원을 찾는 등의 방법을 동원하였다.
또한 아들을 낳기 위해 다양한 민간 신앙적 방법들을 동원하였는데, 배의 위치나 태아의 움직임, 임신부의 꿈 등을 통해 아들인지 딸인지를 예측하려 노력하였다. 예를 들어 임신한 여자가 걸어갈 때 뒤에서 불러서 좌측으로 돌아보면 아들, 우측으로 돌아보면 딸이라고 믿었고, 배가 펑퍼짐하면 아들, 동그랗게 올라오면 딸이라고 생각하였다. 태아의 움직임이 조용하면 아들, 격렬하면 딸이라고 여겼으며, 꿈에서 용맹한 동물을 보면 아들, 작은 동물을 보면 딸이라고 믿었다. 또한 임신한 달과 출산 예정 달, 부부의 나이를 계산하여 아들 딸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베트남 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아들을 선호하는 풍습이 깊게 자리 잡고 있었으며, 이는 유교 문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계 계승과 노후 부양의 문제에서 아들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러한 남아선호 가치관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1.4. 출산 의례와 금기
베트남의 출산 의례와 금기는 다음과 같다. 아기생일은 그 애의 운명과 관련 있으므로 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