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사소통유형 분석
1.1. '개인의 의사소통유형' 4가지 이해
Satir(1972)는 의사소통을 일치적 의사소통과 비일치적 의사소통으로 나누었다. 비일치적 의사소통유형에는 비난형, 회유형, 초이성형, 부적절형 등 4가지의 형태로 구분하였다.
비난형은 자신의 의견과 상황만을 중요시하고 타인의 가치를 무시하는 방식이다. 지배적이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으며, 상대방을 비난하며 문제의 원인을 상대에게 돌린다.
회유형은 상대방의 의견이나 감정을 존중하지만, 자기 자신의 가치는 억누른다. 자신의 의사보다는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려고 애쓰는 유형으로, 자신을 희생하고 상대방의 기분이 상할까봐 선뜻 반대 의견을 말하지 못한다.
초이성형은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모두 중요하지 않게 여기고,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만을 강조한다. 지나치게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을 추구하면서, 감정적 소통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부적절형은 자신과 타인의 생각과 감정, 대화의 맥락까지 모두 무시하며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화의 흐름이 산만하고 요점이 없으며, 상대방은 혼란스러움을 느끼게 된다."
1.2. 가족과의 대화 관찰
1.2.1. 의사소통유형 및 하위 유형
비난형은 자신의 의견과 상황만을 중요시하고 타인의 가치를 무시하는 의사소통 유형이다. 이들은 지배적이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기적으로 주위 사람들을 비난하지만 내면은 성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약점을 수용할 수 없어 외로움을 많이 느낀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잘못하지 않았다면 모든 것이 잘되었을 것이라고 외부를 향해 비난의 화살을 돌린다.
회유형은 자신의 의사보다는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려고 애쓰는 의사소통 유형이다. 이들은 관계를 중시하는 사람들로서 자신보다는 주변의 사람들을 우선 고려하여 물질적인 희생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자유까지 희생하면서도 주위 사람들과 상대방에게 비위를 맞추려고 최선을 다한다. 따라서 회유형은 상대방에게 "나는 가치가 없다.", "나를 사랑해 줄 사람이 없다.", "모든 것이 내 탓이다."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초이성형은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모두 중요하지 않게 여기고,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만을 강조하는 의사소통 유형이다. 이들은 지나치게 이성적이고, 지나치게 상황만을 직시하고 객관적이면서 정보와 논리의 수준에서 이성적으로 기능하려고 하지만, 감정적인 교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부적절형은 자신과 타인의 생각과 감정, 대화의 맥락까지 모두 무시하며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의사소통 유형이다. 이들은 계속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거나 새로운 생각, 제안을 내놓지만 한 가지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한 모습을 보인다.
1.2.2. 관찰 결과 및 대화 예시
<관찰 결과 및 대화 예시>
동생과의 대화에서 나는 비난형 의사소통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동생이 시험기간 중 SNS를 하고 있는 것을 보고 나는 "너 또 SNS하고 있었지? 맨날 시험기간 중에 SNS만 하니까 성적이 그 모양이잖아."라고 비난하였다. 이에 동생은 자신이 잠깐 쉬면서 SNS를 한 것이라고 설명하였지만, 나는 "뭐 잠깐만 SNS했다고? 너는 왜 항상 거짓말을 해?"라며 계속해서 동생을 비난하였다. 이처럼 동생의 행동을 문제로 지적하며 비난하는 것은 나의 비난형 의사소통 특성을 잘 보여준다. 나는 동생의 실수를 지적하고 싶었지만, 그 과정에서 지나치게 부정적이고 비난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동생에게 상처를 줄 수 있었다.
엄마와의 대화에서는 회유형 의사소통이 관찰되었다. 엄마가 마트에서 구입한 티셔츠를 보여주며 "너가 입으면 예쁘겠다"고 하자, 나는 "너무 예쁜 옷이네요"라고 화답하였다. 엄마는 "그래 너가 마음에 들어서 다행이다. 내일부터 입고 다녀."라고 말했고, 나는 "네 내일부터 입고 다닐께요"라고 응답하였다. 비록 그 티셔츠가 내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엄마의 기분을 상하게 하고 싶지 않아 솔직한 의견을 말하지 못하고 엄마의 말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내가 가족과의 대화에서 회유형 의사소통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1.2.3. 본인 의사소통의 장단점
가족과의 의사소통에서 나는 회유형 의사소통의 장점은 가족 간의 갈등을 줄이고 상황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나 자신의 감정이나 요구가 묻히기 쉬워서 나중에 스트레스가 쌓일 수 있다는 것이다.
친구와의 의사소통에서 나의 비난형 의사소통의 장점은 문제의 원인을 명확하게 지적하여 해결책을 찾으려는 목적에 맞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방이 나의 비난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여 상처를 입거나 방어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직장에서의 초이성형 의사소통의 장점은 문제 해결 능력이 높아지고, 논리적 대화를 통해 명확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감정적 요소를 무시하게 되어 상대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