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diverticulitis 게실염 불안, 수면장애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1.1. 게실질환의 정의
1.2. 게실질환의 특징
2. 게실질환의 병인
2.1. 다발성 게실증의 원인
2.2. 게실염의 원인
3. 게실질환의 증상
3.1. 게실증의 증상
3.2. 게실염의 증상
4. 게실질환의 진단
4.1. 임상적 검사
4.2. 영상학적 검사
5. 게실질환의 치료
5.1. 내과적 치료
5.2. 외과적 치료
6. 게실질환의 간호
6.1. 안위 증진
6.2. 활동 제한
6.3. 변비 예방
6.4. 염증 관리
7. 사례 연구
7.1. 사례 소개
7.2. 진단적 검사
7.3. 투약
7.4. 기타 간호 중재
8. 간호 과정 적용
8.1.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8.2. 간호 과정 적용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요
1.1. 게실질환의 정의
게실질환이란 식도, 위, 소장, 대장의 약해진 장벽이 늘어나 꽈리 모양의 주머니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대장에 발생하며, 특히 우측 결장에 잘 생긴다. 게실의 종류에는 가성 게실, 진성게실, 게실증, 게실염 등이 있다. 가성 게실은 돌출되는 대장벽이 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되는 경우이며, 진성 게실은 근육층을 포함한 장벽의 전층이 돌출되어 주머니를 형성하는 경우이다. 게실증은 게실이 있지만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고, 게실염은 게실에 소화 안 된 음식물, 세균 정체로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1.2. 게실질환의 특징
게실질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장, 대장에서 발생하며 특히 S상 결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는 직장으로 변을 밀어내기 위해 높은 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둘째, 메켈 게실(Meckel's diverticulum)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셋째, 60세 이상의 비만한 경우에 호발하며, 남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넷째, 게실은 장벽의 약한 부분에서 장내 압력이 증가하면 이 부분이 부풀어 올라 생기게 된다. 특히 S상 결장에서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직장으로 변을 밀어내기 위해 높은 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대부분의 게실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게실염이 발생하면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2. 게실질환의 병인
2.1. 다발성 게실증의 원인
다발성 게실증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대장의 동맥경화가 진행되어 탄력성이 떨어지고 혈관과 장관의 근육 사이에 틈이 생기면서 발생한다"" 또한 변비 등으로 인해 대장이 과도하게 수축하면 대장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대장 벽의 약해진 부분에 주머니처럼 부풀어 게실이 생기기도 한다"" 서구화된 식단으로 인한 고단백, 고지방, 저섬유질 식이를 하는 경우 좌측 대장, 특히 에스상 결장에 가성 게실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식생활의 서구화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대장 게실 질환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2.2. 게실염의 원인
게실염의 원인은 주로 게실 내에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덩어리가 있을 때, 게실 부분에 혈액 공급이 감소되고 게실 안에 세균이 만연되어 발생한다. 또한 옥수수, 팝콘, 토마토나 씨가 있는 오이 같이 소화되지 않는 섬유질 식품을 게실이 있는 사람이 섭취한 경우, 이 음식물들이 게실의 개구부를 막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노화로 인한 장관벽의 긴장도 저하도 게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게실에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나 세균이 정체되면서 염증이 발생하여 게실염이 생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게실 내에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덩어리가 쌓이면 이로 인해 게실 부분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고 세균이 증식하게 된다. 이렇게 지속되면 게실 부위에 염증이 생기면서 게실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게실이 있는 사람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섬유질이 많은 식품, 예를 들어 옥수수, 팝콘, 토마토 등의 씨가 있는 과일 및 채소를 섭취할 경우, 이러한 식품들이 게실의 입구를 막아서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장관벽의 긴장도가 떨어지는 것도 게실염의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장관벽의 긴장도가 저하되면 장내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게실이 더 잘 생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균과 음식물이 게실 내에 정체되면서 염증이 발생하여 게실염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3. 게실질환의 증상
3.1. 게실증의 증상
게실증의 경우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게실증 환자의 대부분은 증상을 호소하지 않으며, 가끔 복부 팽만감이나 복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게실의 발생 부위에 따라 증상의 차이가 있는데, 우측 대장에 생긴 게실은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좌측 대장에 생긴 게실은 더 빈번한 증상을 나타낸다. 대장에 생긴 게실 중에서도 특히 에스결장에 발생한 경우 가장 많은 증상을 보인다.
무증상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증상이 발생하거나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게실증 환자의 약 15% 정도에서 직장 출혈이 나타나며, 대변에 점액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복부 내압을 증가시키는 긴장, 기침, 무거운 것 들기 등의 행동으로 인해 증상이 유발될 수 있다.""
3.2. 게실염의 증상
게실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게실염에서는 좌하복부에 미열이 동반되는 경련성 통증, ...
참고 자료
국제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2018)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2017)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2017)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2017)
MDedge, “diverticulitis”, https://www.mdedge.com/familymedicine/article/168973/gastroenterology/first-time-mild-diverticulitis-antibiotics-or
scielo, "diverticulitis CT scan", https://www.scielo.b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100-*************0126
약학정보원, “Winuf Peri, 포도당가엔에이케이주, 세트리손, 메트리날, 타미풀, 판토라인, 데노간, 트리돌”, http://www.health.kr/main.asp
성인간호학 1 <수문사> 김금순 외, 2012
표준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현문사> 서울대학교 간호부, 2007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김강미자 외, 현문사, 2006)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네이버 지식백과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심리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 이완요법
최신병리학(2014), 이한기 외, 수문사
NANDA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2009), 김정애, 장은정, 현문사
기본간호학1(손정태 외, 2011), 현문사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김조자 외, 2008),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