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반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골반염이란?
2.2. 골반염의 원인
2.3. 골반염의 병태생리
2.4. 골반염의 증상
2.5. 골반염의 진단
2.6. 골반염의 치료
2.7. 골반염의 합병증
3. 연구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1.1. 일반적 사정
4.1.2. 입원시 상태
4.1.3. 현재 산과력
4.1.4. 현재 병력
4.1.5. 과거/가족 병력
4.1.6. 질병과 관련된 사회심리적 정보
4.1.7. 건강검진
4.1.8. 임상검사
4.2. 간호과정
4.2.1. 주관적 자료
4.2.2. 객관적 자료
4.2.3. 간호진단
4.2.4. 간호목표
4.2.5. 간호계획
4.2.6. 이론적 근거
4.2.7. 간호수행
4.2.8. 간호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반 염증성 질환(PID: Pelvic Inflammatory Disease)은 생식기관인 자궁, 난소, 난관 등과 그 주변에 여러 종류의 균을 통하여 염증이 생긴 것으로 여성 생식기 질환에서 흔하면서도 중요한 질환이다. 대부분 클라미디아균이나 임질균 등의 세균으로 인한 질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해서, 자궁 내막을 거쳐 나팔관에 감염을 일으키고 결국 골반에까지 균이 침투해서 발병하게 된다. 그리고 한 번 골반염을 앓은 사람이나 성 상대자가 많은 사람, 루프를 끼고 있는 사람에서 다소 많이 발생한다. 치료 후에도 재감염이 잘되고 비교적 쉽게 걸릴 수 있는 질환이기에 여성의 생식기관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질환에 대한 이론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질병의 원인과 병태 생리 및 그 간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고 대상자의 임상증상을 사정하여 대상자의 문제에 중점을 둔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자하는 목적을 둔다."
2. 문헌고찰
2.1. 골반염이란?
골반염(pelvic inflammatory disease)이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관으로부터의 감염이 자궁내부를 거쳐 나팔관을 통해 퍼지거나, 혈관이나 림프선을 따라 세균이 골반강으로 퍼져 염증을 일으키는 속발성 질환을 말한다. 대개 질염이나 자궁경부염이 치료되지 않고 방치된 경우에 세균이 자궁을 통해 위로 올라가면서 골반염이 생긴다. 대부분의 경우 난관염에서 부터 시작되면 2차적으로 난소와 골반 복막으로 퍼져나가는 양상을 보인다. 많은 예외는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급성으로 시작하여 완전히 치료되거나, 혹은 계속적으로 재발되는 만성 과정으로 이동한다.""
2.2. 골반염의 원인
골반염의 원인은 주로 성병이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골반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균은 자궁경관염을 잘 일으키는 임균(Neisseria gonorrhoeae)과 클라미디아균(Chlamydia trachomatis)이다. 이 외에도 혐기성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그람 음성과 양성 세균 등의 질내 세균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화농성균, 폐렴구균, 질내 발견되는 내인성균 중 특히 gardnerella vaginalis 등도 원인이 된다. 이러한 성병에 의한 감염 외에도 산부인과적 수술, 산후 감염, 유산 후 감염 등도 주된 원인 경로가 된다. 성병에 의해 감염되거나 산부인과적 수술, 산후 감염이나 소파 수술 등의 감염이 주된 원인 경로가 된다"."
2.3. 골반염의 병태생리
골반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1) 원인균
골반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은 임균(Neisseria gonorrhoeae), 클라미디아균(Chlamydia trachomatis),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등이다.
임균은 사람의 감염을 주로 성교를 통해 일으키며, 면역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재감염이 가능하다. 여성에게서 요도염, 질염, 자궁내막염, 난관염, 복막염 등을 유발한다.
클라미디아균은 성교를 통한 직접 감염으로 발생하며, 성인 질환 중 가장 빈도가 높다. 여성에서는 난관염, 불임, 자궁외 임신, 만성 골반통이 발생할 수 있다. 임질과 함께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무증상의 잠복기 후 나타나므로 골반염증성 질환의 감별진단에 클라미디아 감염 검진이 필요하다.
마이코플라즈마(M.hominis, M. grnitalium)는 주로 비뇨생식기에 발생하며, 성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이 균들은 무균성 요도염, 질염 등 병원성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고 비병원성 균주도 있어 비뇨생식기 점막에 흔히 서식한다. 또한 관절에서 만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화농균(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등 혐기성균), 박테로이드속, 푸소박테륨 등의 질내 세균도 골반 내 농축적에서 성장하여 골반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이 된다. 특히 산후나 유산 후에는 화농성균에 의한 감염이 잘 발생한다.
(2) 전파 경로
골반염은 크게 성전파성 감염과 비성전파성 감염으로 구분된다. 성전파성 감염은 자궁경부에 집락을 이룬 임균, 클라미디아균, 마이코플라즈마균이 점막을 따라 상행성으로 난관, 난소, 복막, 자궁주위 등으로 퍼져나가면서 발생한다.
비성전파성 감염은 주로 분만이나 유산 후 자궁경부염, 자궁내막염이 있을 때 화농성균이 자궁 주위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 골반 주위와 난관으로 파급되어 발생한다.
(3) 위험 요인
골반염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은 이전 골반염증성 질환이나 성병의 병력이다. 대부분의 골반염은 성전파성 감염의 결과이므로, 질염, 자궁경부염, 이전 골반 내 염증 또는 성병 병력, 자궁 내 피임기구 삽입, 잦은 질 세척, 유산·분만·산과적 수술, 성병 있는 파트너와의 성관계, 다수와의 성접촉 등이 위험 요인이 된다. 특히 성 활동이 활발한 청소년과 가임기 여성에서 감염 기회가 더 높다.골반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주요 원인균은 성매개 감염균인 임균, 클라미디아균, 마이코플라즈마균 등이다. 이들 균은 자궁경부에 집락을 형성하고 점막을 ...
참고 자료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등 (2021).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MEG GULANICK, JUDITH L. MYERS, 박은영 외 5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2022),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N의학정보–골반염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68
삼성서울병원-건강정보-여성질환-골반 내 염증성 질환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1b3&CONT_SRC=CMS&CONT_ID=2244&CONT_CLS_CD=0010200010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유해영, 『여성건강간호학II 4판』, 현문사, 2019, p.311~314.
네이버지식백과, “골반염”, 2020.05.1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43&cid=51007&categoryId=51007
W31병동 Cardex 조회, 검사결과(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료 수집함)
서울아산병원, “골반염”, 2020.05.20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5
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약품요약정보
www.naver.com 이미지 첨부
골반염 감염경로”, https://blog.naver.com/green4leaf/220356945906, 2020.05.21
네이버지식백과, “임균 감염증”,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06&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지식백과, ”화농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84275&cid=60408&categoryId=55558
네이버지식백과, “마이코플라스마”,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5675&cid=60261&categoryId=60261
네이버지식백과, “클라미디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5081&cid=61232&categoryId=6123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I』 수문사, 2018. 02. 2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II』 수문사, 2018. 02. 22
박영주 외 (2017) , 여성건강간호학Ⅱ ,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8) , 여성건강간호학Ⅱ , 수문사
성미혜 외 (2017) ,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제2판, JMK
김진학 외 (2010) , 약리학 , JMK
약학정보원 _ 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_ http://www.snuh.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