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기관절개관 관리의 중요성
기관절개관 관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기관절개관은 목의 첫 번째나 두 번째 기관연골 아래를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삽입하는 장치로, 이를 통해 기도를 개방하고 분비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완전 기도폐쇄, 기관 내 삽관의 장기화, 기관지화상 등의 경우에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기관절개관 관리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간호술기라고 할 수 있다."
1.2. 핵심 기본간호술기 평가의 필요성
핵심 기본간호술기 평가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기본간호학의 술기는 임상현장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데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여러 가지 능력 중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실무능력이다. 간호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요구된다. 특히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기관절개관 관리 술기는 통합간호와 개인위생관리 등 다양한 기본간호학적 지식을 포함하고 있어, 간호대학생의 통합간호능력을 측정하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간호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기관절개관 관리 술기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학생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실습교육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 목적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관절개관 관리에 대한 핵심기본간호술기를 평가하여, 그들의 지식과 수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올바로 수행하지 못하는 항목이 어떤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기관절개관 관리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2. 본론
2.1. 기관절개관 관리 지식
2.1.1. 기관절개관의 정의 및 목적
기관절개관은 목의 첫 번째나 두 번째 기관연골 아래를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삽입하는 관으로, 이 구멍이 계속 열려 있어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분비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기관절개관의 주요 목적은 완전 기도폐쇄가 있으면서 기관 내로 삽관이 불가능할 때, 기관 내 삽관을 하고 있는 기간이 길어질 때, 그리고 기관지화상, 지속적 무의식, 호흡근육의 마비 등으로 급성 기도관리가 요구될 때 사용된다.
2.1.2. 기관절개관 드레싱 시 사용 용액의 특성
기관절개관 드레싱 시 사용 용액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과산화수소는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생성물이 무해하여 분석 시약의 산화제, 견사나 양모 등의 표백제, 플라스틱 공업에서 비닐중합의 촉매로도 사용된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과산화수소로 소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사용하는 과산화수소는 2.5~3%를 포함하고 있다. 과산화수소가 소독작용을 일으키는 이유는 피부 조직 내 생체 촉매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산소가 피부소독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생리식염수에는 일반생리식염수와 멸균생리식염수가 있다. 일반생리식염수는 외부상처, 비강, 구강의 헹굼, 콘택트렌즈의 세척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생리식염수로 의약외품이며 아이콘액 이라고도 한다. 반면 멸균생리식염수는 주사용이나 흡입용의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염수로서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멸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