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뷰티풀마인드이상행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 선택 이유
1.2. 영화에 나오는 이상행동 정의와 특성
2. 본론
2.1. 영화 줄거리
2.2. 영화에 나타난 병적 증상
2.2.1. 환시
2.2.2. 환청
2.2.3. 피해망상
2.2.4. 과대망상
2.2.5. 관계망상
2.2.6. 사고의 부적절성
3. 결론
3.1. 소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 선택 이유
뷰티풀 마인드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다양하고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정신질환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서 선택하게 되었다."
1.2. 영화에 나오는 이상행동 정의와 특성
영화에 나오는 이상행동의 정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환시란 대상물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물체가 보이는 것을 말한다. 영화 속에서 존 내쉬는 무수한 숫자판 중 그 어떤 숫자도 빛을 내고 있지 않은데 일부 숫자만 빛이 나는 것을 보거나, 대학교 때 만난 룸메이트가 실제로는 존 내쉬가 만들어낸 가상 인물이었다는 환시를 경험한다.
환청이란 주위에 사람이나 소리나는 사물이 아무것도 없는데도 어떤 소리나 사람 목소리가 들려오는 증상을 말한다. 영화 속에서 존 내쉬는 "숫자들이 나에게 말을 걸고 있어"라거나 대학교 때 만난 룸메이트와 자주 대화하는 환청을 경험한다.
피해망상이란 타인이 자신에게 해를 입힌다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을 가리킨다. 영화 속 존 내쉬는 "작은 소리로 이야기해야 돼. 소련이 도청할지도 몰라", "누군가 나를 감시하고 있어. 아까 우편함에 기밀문서를 넣을 때 검은차가 나를 감시했어", "검은 차에 탄 남자가 총을 들고 우리 차를 쫓고 있어"라며 피해망상을 보인다.
과대망상이란 자신의 지위·재산·능력·용모·혈통 등을 과장하고 그것을 사실로 믿는 증상을 말한다. 영화 속 존 내쉬는 "나는 국방부에서 나라를 위해 암호를 해독하고 국가기밀 문서를 확인하고 있어"라고 말하며 과대망상을 보인다.
관계망상이란 아무 근거도 없이 주위의 모든 것이 자기와 관계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며 자기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진 것이라고 생각하는 망상을 말한다. 영화 속 존 내쉬는 "이 뉴스는 암호로 이루어졌고 내가 해독해야만 해"라며 관계망상을 나타낸다.
사고의 부적절성이란 상대방의 ...
참고 자료
뷰티풀 마인드, 감독 론 하워드, 출연진 러쉘크로우, 200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