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울대 미술관(MoA) 소개
1.1. 건축 개요
서울대 미술관(MoA)의 건축 개요는 다음과 같다.
서울대 미술관은 서울 관악구 신림동 산 56-1번지에 위치한다. 이는 서울대학교 내 부지에 해당한다. 해당 지역은 자연녹지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건축 설계는 세계적인 건축가 렘 쿨하스와 그의 사무소 OMA, 그리고 국내 건축사무소인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공동으로 진행하였다.
대지면적은 3,889,012㎡이며, 건축면적은 1,363.5㎡, 연면적은 4,486.47㎡이다. 건폐율은 5.76%, 용적율은 20.2%이다. 지하 3층, 지상 3층 규모의 단일 건물로 설계되었다. 구조는 철골조와 철근콘크리트조가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외부마감재로는 THK7 U-profiled glass, THK5 알루미늄 시트, THK28 투명복층유리가 사용되었고, 내부마감재로는 THK3 알루미늄 바닥재, THK16 폴리카보네이트(clear), 150x20 알루미늄 루버 천장재 등이 사용되었다.
1.2. 대지 분석
서울대 미술관(MoA)의 대지는 서울대학교 구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악산 공원과 면해 있어 전방향으로 운동장 및 시각적 방해물이 적고 개방적인 환경이다. 이 대지는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어 캠퍼스 외부와 내부를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대지는 사람 동선과 차량 동선이 적절히 분리되어 있어 좋은 배치의 모습을 보이며, 미술관을 기점으로 동선 상의 적절한 위치에 버스정류장 및 차량 진입 동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서울대 미술관의 대지는 캠퍼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줄 수 있는 전략적인 위치에 자리잡고 있으며, 대지의 지형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건축계획
1.3.1. 초기 설계안
제 1설계안에서는 현재의 지형보다 대지의 고저차가 큰 두 개의 언덕을 브릿지 형태로 연결해주는 것이 주요한 설계 개념이었다. 기존의 지형과 식생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브릿지 하단 부분을 비워내서 미술관 로비를 계획하는 동시에 레벨차가 적은 통로로서 이용되도록 하여 캠퍼스와 외부 지역사회를 연결할 수 있는 건축물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내부의 전시공간에 관해서는 쿤스트할이나 에듀카토리움 등에서 볼 수 있는 커튼요소를 이용한 공간의 분리, 회전 가능한 벽의 가변성이 전시공간과 오디토리움 등에서 아이디어로 제시되고 있다.
1.3.2. 최종 설계안
최종 설계안에서 렘 콜하스는 서울대 미술관의 디자인을 캠퍼스와 지역 커뮤니티 간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결고리가 프로젝트의 형태론을 정의내리는 핵심이었다.
건축물의 형태는 직육면체 매스를 지형에 맞추어 경사지게 조각내는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캠퍼스 간의 보행자 통로를 자연스럽게 생성시킬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