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인과 질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병과 건강에 대한 접근
1.1. 생의학적 관점
1.1.1. 생의학적 모형의 특성
1.1.2. 생의학적 접근의 장단점
1.2. 사회문화적 관점
1.2.1. 사회문화적 모형의 특성
1.2.2. 사회문화적 접근의 의의
1.3. 생의학적 접근과 사회문화적 접근의 통합
2. 의료인과 환자의 관계
2.1. 갈등론적 관점
2.1.1. 갈등론의 개념
2.1.2. 갈등론적 관점에서 본 의료인과 환자 관계
2.2. 현대사회에서의 변화 요인
2.2.1. 의료서비스의 상품화
2.2.2. 환자의 알권리 강화와 제도화
2.3. 갈등 해결을 위한 방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질병과 건강에 대한 접근
1.1. 생의학적 관점
1.1.1. 생의학적 모형의 특성
생의학적 모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과 질병의 판단 기준은 절대적이다. 생의학적 접근은 특정 생리학적, 심리학적 증세에 의존하여 건강과 질병을 판단한다. 이때 정상범주를 벗어나면 질병으로 규정되므로 절대적인 판단 기준을 가진다.
둘째, 질병 판단의 주체는 의사, 간호사 등 전문 의료인이다. 생의학적 접근에서는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진단한다. 환자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보다는 의료인의 객관적인 진단이 중요하다.
셋째, 질병 판단의 도구는 의학적 진단이다. 생의학적 접근은 특정 증상이나 검사 결과를 토대로 질병을 진단한다. 따라서 의학적 진단이 건강과 질병을 판단하는 주된 도구가 된다.
이처럼 생의학적 접근은 질병을 정상범주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고, 의사 등 전문가의 객관적인 의학적 진단에 기반하여 건강과 질병을 판단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1.1.2. 생의학적 접근의 장단점
생의학적 접근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은 첫째, 급성 감염성질환과 기관장애, 응급질환처치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생의학적 모형은 질병 원인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법을 제공하여, 감염성 질병이나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인공장기이식술, 항생제 출현으로 인한 감염성 질병의 치료가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생의학적 모형은 병인론에 기반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게 한다. 셋째, 극적인 상황에서 인간의 수명연장에 크게 기여했다는 것이다. 생의학적 접근은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을 통해 중증 질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
반면 단점은 첫째, 일탈(deviation)이라는 개념이 정상(normalcy)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다. 생의학적 모형은 질병을 정상 범주를 벗어난 것으로 규정하지만, 정상의 기준이 상대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생활수준의 향상 및 환경 개선 등으로 인해 특정적 병인론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현대 질병의 원인이 복합적이고 다양해짐에 따라 단순한 생물학적 접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셋째, 의학에서 규정하는 병리적 기준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이며, 따라서 건강과 질병의 개념 또한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생의학적 접근은 질병을 절대적인 것으로 보지만, 실제로 건강과 질병의 경계는 모호하고 복잡하다.
결국 생의학적 접근은 질병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제공하지만,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질병 양상과 건강에 대한 개념을 포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사회문화적 관점
1.2.1. 사회문화적 모형의 특성
사회문화적 모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건강과 질병의 판단 기준은 상대적이다. 사회적 기능, 역할수행 상태 또는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상태에 의존하여 판단한다. 판단의 주체는 사회의 주도적 집단 또는 준거집단이며, 판단의 도구는 사회적 검정이다.
사회문화적 접근에 따르면 사회적 검정 변수 10가지를 통해 질병을 관리한다. 그 변수는 ① 증상의 가시성, ② 주관적인 증상의 심각성, ③ 증상이 가정, 직장 및 사회 생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 ④ 증상의 지속성 및 재발 빈도, ⑤ 참을 만한 정도, ⑥ 판단자의 정보 및 지식, 문화적 과정의 이해, ⑦ 의료 이용을 거부해야 할 필요성, ⑧ 질병을 극복하려는 본인의 의지, ⑨ 증...
참고 자료
간호학특론. 김영임, 최윤경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19년 07월 25일
국가법령정보센터, 세계보건기구 헌장(WHO)
https://www.law.go.kr/trtyInfoP.do?mode=4&trtySeq=3258&vSct=%EC%84%B8%EA%B3%84%EB%B3%B4%EA%B1%B4%EA%B8%B0%EA%B5%AC
양미희. (의과학 칼럼)`전인적 치료`와 행복지수. 디지털타임스. 2014년 12월 23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260196?sid=102
조선일보, 2023.07.07. ““보호자 악성 민원에 문 닫는다” 어느 소아과의 폐업 안내문“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3/07/06/JWJOHCBKOJHYPOKQWJ2NA54XTQ/
보건의료사회학, 문창진, 신광출판사, 2001.
간호학특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원, 2014.
보건의료와 질병치료 연구, 이주미, 보건제도연구, 2019.
최윤경, 「의료인과 환자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특론 강의자료 4강』, 2019
최윤경, 「건강과 질병의 개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특론 강의자료 1강』, 2019.
곽성순, 「논란과 우려 속 시행되는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청년의사』,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