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사정도구
1.1. 가계도 또는 가족구조도
가계도 또는 가족구조도는 3세대 이상에 걸친 가족 구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를 도표로 작성한 것이다. 가계도는 가족 전체의 구성과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가족의 체계나 변화, 가족 문제, 가족의 질병력 및 상호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가족의 전통적인 족보라 할 수 있으며 가족의 구조적 특성을 보여준다. 개인의 인적 사항 및 사회적 정보를 표시하고 세대 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가계도 작성 시에는 가족구조를 도식화하고 가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가족사정 시 체계적인 질문이 가능하고 자료수집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2. 가족밀착도
가족밀착도(family attachmentgram)는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관계와 밀착 정도를 도식화하여 가족 관계의 본질을 파악하는 도구이다. 가족밀착도를 통해 평소에 인지하지 못하던 가족 간의 관계를 확인하거나 새롭게 조명할 수 있으며 가족의 전체적인 상호작용과 정서적 지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호작용의 원인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중재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심층적인 자료를 사정하도록 유도한다.
가족밀착도의 작성방법은 먼저 가족 구성원을 둥글게 배치하여 남자와 여자로 표시한 후, 구성원의 가족 내 위치와 연령을 표시하고 각 구성원과의 관계를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선이나 꺾은선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간의 밀착관계와 상호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가족의 구조뿐만 아니라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관계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문제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3. 외부체계도, 생태도
외부체계도, 생태도(ecomap)는 가족을 둘러싼 다양한 외부체계와 가족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외부체계와 가족의 상호작용의 성격, 질, 지지와 자원의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유용한 자원과 스트레스 자원, 부족한 자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이다.
외부체계도의 작성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