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enomic DNA 추출 결과 및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1.1. 실험명: Genomic DNA 추출 및 PCR
1.2. 실험 목적
1.3. 실험 이론 및 방법
1.3.1. DNA 추출 방법
1.3.2. Nano Drop을 통한 DNA 농도 측정
1.3.3. 흡광도 측정 원리
2. 실험 재료 및 기구
2.1. 시약
2.1.1. Bioneer AccuPrep Genomic DNA Extraction Kit
2.1.2. 에탄올 및 기타 시약
2.2. 실험 기구
3. 실험 과정
3.1. DNA 추출
3.2. DNA 농도 측정
4. 실험 결과 및 고찰
4.1. DNA 농도 및 순도 분석
4.2. 오차 발생 원인 고찰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명: Genomic DNA 추출 및 PCR
Genomic DNA 추출 및 PCR 실험은 인간의 구강세포에서 DNA를 채취하여 PCR 장치를 통해 DNA를 증폭시킨 후 Agarose gel 전기영동 장치를 이용하여 남녀의 게놈 DNA 크기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이 실험은 DNA 추출 및 농도 측정, 흡광도 분석 등의 방법으로 진행된다.
먼저, DNA 추출 방법은 세포 용해, RNase 처리, 단백질 침전, DNA 침전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세포 용해 시 EDTA, Glucose, Lysozyme, NaOH, SDS 등의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세포벽과 세포막을 파괴한다. RNase 처리로 DNA 외에 존재하는 RNA를 제거하고, 페놀/클로로폼 추출법으로 단백질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해 DNA를 침전시키고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DNA의 농도와 순도를 Nano Drop 분광광도계를 통해 측정한다. DNA는 260nm 파장의 빛을 흡수하므로 이를 이용해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260/280, 260/230 비율을 확인하여 DNA의 순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정상적인 DNA 순도 범위는 260/280이 약 1.8, 260/230이 2.0~2.2 정도이다.
이 실험에서는 추출한 DNA를 PCR 증폭하여 Agarose gel 전기영동으로 남녀의 게놈 DNA 크기를 확인한다. 남자는 X, Y 염색체를 가지므로 X 염색체(467bp)와 Y 염색체(341bp)의 두 종류 밴드가 나타나고, 여자는 XX 염색체이므로 467bp 한 종류의 밴드만 나타난다. 이를 통해 성별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오차 발생 요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피펫으로 피를 옮길 때 오염이 발생하거나, Proteinase K 처리가 불충분해 DNA가 부분적으로 응고되어 오차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추출한 DNA를 적절한 온도에서 보관하지 않아 DNA가 변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Genomic DNA 추출 및 PCR 실험은 DNA 추출, 농도 및 순도 분석, PCR 증폭 및 전기영동 분석 등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기술은 유전체 분석, 질병 진단, 범죄 수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1.2. 실험 목적
각자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Nano Drop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DNA의 농도와 순도를 측정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이 실험을 통해 DNA 추출 방법과 Nano Drop을 이용한 DNA 농도 및 순도 측정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실험 결과를 통해 DNA 추출 및 정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1.3. 실험 이론 및 방법
1.3.1. DNA 추출 방법
DNA 추출 방법은 세포 용해, RNase 처리, 단백질 침전, DNA 침전 과정을 거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세포 용해 단계에서는 EDTA와 Glucose를 이용하여 세포벽을 파괴하고 세포 내 DNA를 유출시킨다. EDTA는 세포벽을 구성하는 칼슘이온과 결합하여 세포벽을 약화시키고, Glucose는 세포의 삼투압을 유지하여 세포 용해를 돕는다. 또한 Lysozyme은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세포벽을 분해한다. 이후 NaOH와 SDS와 같은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세포막을 용해시킨다.
다음으로 RNase 처리 단계에서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RNA를 제거한다. 이를 통해 순수한 DNA만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단백질 침전 단계에서는 페놀/클로로폼 추출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제거한다. 단백질은 페놀에 의해 변성되어 물층과 유기용매층 사이에 침전되며, DNA는 수용성 상층부에 남게 된다.
마지막으로 DNA 침전 단계에서는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판올을 ...
참고 자료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260644/figure/F1/
이우주, 이우주 의학사전, 2012, 군자출판사
미생물학백과, 한국미생물학회
화학대사전
안전보건공단(MSDS), 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위키피디아, Nucleic acid quantitation, 2022.09.09.,
https://en.wikipedia.org/wiki/Nucleic_acid_quantitation
위키피디아, Solid-phase extraction, 2022.09.09.,
https://en.wikipedia.org/wiki/Solid-phase_extraction
위키피디아, DNA separation by silica adsorption, 2022.09.09.,
https://en.wikipedia.org/wiki/DNA_separation_by_silica_adsorption
위키피디아, 단백분해효소 K, 2022.09.09.,
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B%B0%B1%EB%B6%84%ED%95%B4%ED%9A%A 8%EC%86%8C_K
위키피디아, Vortex mixer, 2022.09.09.,
https://en.wikipedia.org/wiki/Vortex_mixer
위키피디아, Centrifugation, 2022.09.09.,
https://en.wikipedia.org/wiki/Centrifugation
위키피디아, Incubator, 2022.09.09.,
https://en.wikipedia.org/wiki/Incubator_(culture)
DNA binds to silica, Researchgate, 2022.09.09.,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DNAbinds-to-silica-in-the-presence-of-high-salt-concentration_fig17_279725996
silica-based methods, Biolabs, 2022.09.09.,
https://international.neb.com/applications/cloningand-synthetic-biology/nucleic-acid-purification/silica-based-methods
ethanol used in DNA-extraction, AAT bioquest, 2022.09.09.,
https://www.aatbio.com/resources/faq-frequently-asked-questions/Why-is-ethanol-used-inDNA-extraction
the basics how ethanol precipitation of DNA and RNA works, bitesizebio, 2022.09.09.,
https://bitesizebio.com/253/the-basics-how-ethanol-precipitation-of-dna-and-rna-works/
Assessment of Nucleic Acid Purity Brian Matlock, Thermo Fisher Scientific, Wilmington, M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