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스피스간호에 대한 나의 생각과 의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호스피스의 정의와 개념
1.2. 호스피스 간호의 필요성
2.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의 현황
2.1. 호스피스 전문기관 현황
2.2. 암 환자 호스피스 이용률
2.3. 정부의 정책 방향
3.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의 향후 전망
3.1. 고령화와 호스피스 이용률 증가
3.2. 가정형 호스피스 사업의 확대
3.3. 기술 발달과 호스피스 서비스 질 향상
4. 향후 간호사의 역할
4.1. 심리적 안정감 제공 역할 증대
4.2. 임종을 전제로 한 의료 서비스 종사
5. Netflix "엔드게임"을 보고 느낀 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호스피스의 정의와 개념
호스피스는 "죽음을 앞둔 말기 환자와 그 가족들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이다. 호스피스는 치료보다는 돌봄을,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양적인 측면보다는 질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환자 삶의 마지막 몇 주 또는 몇 일간의 지나친 기술적 개입이나 생명연장을 위한 전략 등에 지배를 받지 않는다. 호스피스의 핵심철학은 인간존엄성의 회복이라고 할 수 있다.
호스피스는 환자의 죽어가는 과정 속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가족들이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그들의 안위를 도모한다. 호스피스는 완치가 불가능하며 죽음이 예견되는 말기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증상들을 가족을 한 단위로 하여 팀을 구성하여 함께 돌보아 주어 삶의 질을 높이는 의료 활동이다.
호스피스에 대한 개념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웹스터 사전(1972년)에서는 "여행자를 위한 숙소 또는 병자나 매우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집(inn)"으로 설명하고 있고, NHO(National Hospice Organization)에서는 "말기환자와 가족에게 입원간호와 가정간호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정의하고 있다.
1.2. 호스피스 간호의 필요성
호스피스 간호의 필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질병구조의 변화와 의학기술의 발달로 말기 환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병 구조의 변화로 우리나라에서는 사망자의 4명 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할 정도로 말기 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말기 환자 케어에 대한 가족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말기 환자에게 인간다운 죽음의 권리를 보장하고, 말기 환자의 의학적 요구를 수용하며, 의료자원의 낭비를 막는 대안으로 호스피스 간호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호스피스 간호가 필요한 이유는 ① 말기 환자 및 가족의 고통 경감, ② 말기 환자의 삶의 질 향상, ③ 적절한 의료자원 활용이다. 말기 환자와 가족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고통을 겪게 되는데, 호스피스 간호는 이를 완화시켜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호스피스 간호는 말기 환자의 남은 생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불어 무의미한 생명 연장 치료를 지양하고 적절한 의료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의료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꾀한다.
즉, 호스피스 간호는 말기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완화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한편 의료자원의 낭비를 막는 대안으로서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의 현황
2.1. 호스피스 전문기관 현황
우리나라 호스피스 전문기관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19년 5월 기준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상은 2008년 282개에서 2017년 1,337개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후 소폭 증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2021년 기준 호스피스 관련 완화의료 전문기관은 총 56개로, 7개의 전국 지역권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201...
참고 자료
동아닷컴, “20년뒤 3명중 1명 노인”... 한국, 고령화속도 가장 빠른데 노인빈곤율 OECD 1위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217/105457565/1)
연합뉴스, “가정 호스피스” 도입으로 집에서 임종하는 암환자 늘어
(https://www.yna.co.kr/view/AKR20180130079000017)
의약뉴스, 호스피스 / 완화의료, 이용하고 싶어도 못해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762)
조선비즈, 말기 암환자 호스피스 만나면 평균 32일 후 ‘소천’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27/2019022701787.html)
Netflix
박미라, & 제남주. (2018).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1(4), 124-136.
이윤경. (2019). 인구 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19(1), 19-31.
최금희, 권수혜(2018),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학회지, Vol.21 NO.1, 14-22.
김숙남, 김현주(2016),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학회지, Vol.19 NO.2, 136-144.
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2015),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환자 돌봄 경험, 중앙간호연구, Vol.15 No.4, 264-275.
나카무라 진이치(2012),편안한 죽음을 맞으려면 의사를 멀리하라, 경기도: 위즈덤하우스.
전북일보 뉴스기사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07522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15031&cid=50370&categoryId=50370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55006&cid=43659&categoryId=43659
cpbc NEWS- 법률이슈토크
http://www.cpbc.co.kr/CMS/news/view_body.php?cid=702470&path=201711
매일경제 뉴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105259
최금희,and 권수혜.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김건희. "한국 호스피스 운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21. 부산
국립 암센터 중앙호스피스센터 https://hospice.go.kr/
가톨릭대학 의정부 성모병원 ‘호스피스 소개’ www.cmcujb.or.kr
아산병원 ‘호스피스 완화 의료’ https://www.amc.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