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숙인에 대해 기능론적 시각과 갈등론적 시각으로 각각 바라보고 두 시각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여 과제는 서론, 본론, 결론의 형식을 갖춰 작성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노숙인의 개념
1.2. 노숙인 문제의 등장배경
2. 기능론적 관점에서의 노숙인
2.1. 기능론적 시각의 특징
2.2. 기능론적 관점에서의 노숙인 이해
3. 갈등론적 관점에서의 노숙인
3.1. 갈등론적 시각의 특징
3.2. 갈등론적 관점에서의 노숙인 이해
4. 기능론과 갈등론의 비교
4.1. 사회에 대한 관점 차이
4.2. 노숙인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 차이
5. 종합적 관점의 필요성
5.1. 기능론과 갈등론의 한계
5.2. 균형적 시각의 중요성
6. 결론 및 정책적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노숙인의 개념
노숙인은 일정한 주거 없이 상당한 기간 거리에서 생활하거나 그에 따라 노숙인 쉼터에 입소한 18세 이상의 자를 말한다. 노숙인과 부랑인은 일정한 주거와 생업수단 없이 상당한 기간 거리를 배회 또는 생활하거나 그에 따라 시설에 입소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노숙인은 경제위기로 인한 실직에 의해 쉼터나 거리에서 생활하는 사람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흔히 노숙인이라고 통칭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노숙인과 부랑인을 구분하여 지칭하고 있다. 부랑인은 일정한 주거와 생업수단 없이 상당한 기간 거리를 배회 또는 생활하거나 그에 따라 부랑인복지시설에 입소한 18세 이상의 자로 정의된다. 즉, 노숙인과 부랑인은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지만, 노숙인은 실직 등의 이유로 거리나 쉼터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2. 노숙인 문제의 등장배경
노숙인 문제의 등장배경은 다음과 같다.
IMF 경제위기 이후 대량실업사태가 발생함에 따라 실업자가 170만 명 이상을 넘어서는 등 실업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미처 실업에 준비하지 못했거나 사회안전망에 사각지대에 놓인 실직자들이 노숙자로 전락하여 양적으로 노숙자가 증대되면서 사회문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과거부터 서구 사회에서는 익숙해졌던 홈리스(homeless)문제가 IMF와 함께 우리나라에도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경기 상황 악화와 함께 개인의 능력과 노력만으로는 자신의 삶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면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노숙자 문제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노숙인 문제는 IMF 경제위기로 인한 실물경제의 위기와 실업자 증가에 따라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2. 기능론적 관점에서의 노숙인
2.1. 기능론적 시각의 특징
기능론적 시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능론적 관점은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에 비유하여 이해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사회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적합한 기능을 수행하며 서로 상호 연관되어 있다고 본다"". 즉, 개인들도 사회의 한 부분으로서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능론적 관점은 사회에서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규범이나 가치는 합의의 산물이며 사회 변화 또는 갈등은 일시적이고 부정적인 현상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기능론적 관점은 사회의 안정, 조화, 질서, 균형을 강조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 사회 갈등이나 변화는 사회에 문제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변동은 부정적이라고 본다"".
2.2. 기능론적 관점에서의 노숙인 이해
기능론적 관점에서의 노숙인 이해는 다음과 같다.
기능론적 관점에서 볼 때, 노숙인은 196...
참고 자료
성기선, 유정상, 이해주 공저, 「교육사회학」, 201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오욱환, 「한국 교육사회학의 토대 강화를 위한 이론과 주제의 확대」, 2001, 한국교육사회학회
네이버블로그, 글쓴이‘모마’ 2004,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ice020202)
김준호. [2010] 거리노숙인이 생산하는 차이의 공간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양규. [2008] 홈리스에 관한 경찰법적인 보호규제 방안.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준영. [2007]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관계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장준오. [2011] 범죄의 가해자와 피해자 경계인으로서의 노숙인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30
김병성 <교육사회학>, 학지사, 2017에릭 올린 라이트 <계급 이해하기>, 산지니, 2017
한국산업사회연구회 <계급과 한국사회>, 한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