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학 인상 연구 2019 강의 교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상 형성의 요소
2.1. 외적 특성
2.1.1. 얼굴 생김새
2.1.2. 옷차림
2.2. 비언어적 행동 단서
2.3. 귀인 과정
3. 인상 형성의 일반적 경향
3.1. 후광효과
3.2. 초두효과
3.3. 긍정적 편향
4. 개인의 인상 분석
4.1. 자신의 인상에 대한 분석
4.2. 주변인물의 인상 분석
5. 인상 형성에 대한 깨달음
5.1. 인지적 오류 인식의 중요성
5.2. 균형 잡힌 시각 유지의 필요성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사회적인 동물로써 혼자 살아 갈 수 없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매일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겪고, 또 마주친다. 사람간의 첫인상이 어떠한지가 전체적인 대인관계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총 경험을 통해 첫인상을 예상하고, 그 사람의 성격, 능력, 감정들을 파악한 다음 그 내용들을 토대로 상대방의 행동을 미래 예측하고 나의 대응방안까지 간구한다. 이러한 과정들은 무의식적으로, 또 자연학습된 것들도 있으나 보통 의식적으로 더 집중하며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이, 우리는 나와 타인의 이미지의 평가로 사회생활을 해나가는데 있어서 도움이 된다. 본론에서는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교재에서 1장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내 인상과 내 주변인의 인상을 살펴보고 분석까지 해보도록 하겠다.
2. 인상 형성의 요소
2.1. 외적 특성
2.1.1. 얼굴 생김새
얼굴 생김새는 인상형성에 가장 중요한 단서이다. 사람들은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의 성격, 능력, 감정 상태 등을 무의식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얼굴 생김새가 호감이 가면 그 사람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상을 가지게 되며, 반대로 얼굴 생김새가 좋지 않으면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된다.
특히 표정은 얼굴 생김새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상대방의 표정을 통해 그 사람의 기분이나 감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미소를 띠고 있는 사람은 "친절하고 긍정적인" 인상을, 찌푸린 표정의 사람은 "불편해 보이고 부정적인" 인상을 주게 된다.
또한 얼굴의 생김새 자체도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큰 눈과 작은 코, 또는 또렷한 이목구비를 가진 사람은 "매력적이고 호감가는" 인상을 주는 반면, 작은 눈과 큰 코를 가진 사람은 "평범하거나 못생긴" 인상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얼굴 생김새는 다른 사람에 대한 첫인상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단서로, 사람들은 처음 보는 사람의 얼굴을 보고 무의식적으로 그 사람의 성격이나 능력 등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얼굴 생김새는 대인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1.2. 옷차림
옷차림은 사람들의 인상 형성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옷은 한 사람의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수준, 직업, 가치관, 흥미, 성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옷 스타일의 유행 정도, 단정함의 정도, 품질, 색상 등에 따라서 인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의복은 상황적 요인에 따라 적절성이 평가되는데, 같은 옷이라도 사적인 장소와 공적인 장소에서는 다른 인상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한 아웃도어 스타일은 사적인 장소에서 적절할 수 있지만, 중요한 회의에는 세미정장 차림이 더 어울린다. 즉, 적절한 장소와 상황에 맞는 복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옷차림은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를 드러내는 수단이 되므로, 타인에게 자신을 어떻게 보이고 싶은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2.2. 비언어적 행동 단서
비언어적 행동 단서는 제스처, 몸의 움직임, 자세, 표정, 시선 등 말 이외의 여러 가지 요소를 통해 상대방의 감정, 성격, 태도 등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비언어적 행동 단서들은 인상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활발한 제스처와 빠른 몸의 움직임을 보이는 사람을 성격이 급하고 활동적인 사람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개를 끄덕이며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는 자세는 상대방을 친근하고 대화에 적극적인 사람으로 인식하게 한다. 반면 팔짱을 끼고 굳은 표정으로 상대방을 바라보는 행동은 그 사람을 차갑고 폐쇄적인 사람으로 여기게 만든다.
이처럼 비언어적 행동 단서는 상대방의 내면적 특성을 추론하는 데 활용되며, 때로는 언어적 표현보다 더 강력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첫 만남에서 비언어적 행동 단서는 상대방에 대한 초기 인상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사람들은 상황에 따라 비언어적 행동 단서를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특정한 인상을 주려 노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면접 상황에서 지원자들은 자신감 있는 자세와 친근한 미소로 면접관...
참고 자료
하혜숙ㆍ강지현(2017),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이훈구(2014), 인상심리학 (얼굴에 담긴 인생, 심리학으로 밝힌다), 학지사
엘시 링컨 베네딕트ㆍ랠프 패인 베네딕트(2013), 인상을 보면 인생이 보인다, 세종서적
김혜남(2011),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대한민국 30대를 위한 심리치유 카페), 갤리온
윌리암 피취(2004), 인간 만남 그리고 창조, 민훈당
하혜숙·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하혜숙·강지현, 2017,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하혜숙·황매향·강지현, 2018, 심리치료의 비밀-뇌, 마음, 관계를 바꾸는 대화
윌리암 피취, 2004, 인간 만남 그리고 창조. 민훈당
배르밸 바르데츠키, 2002, 따귀맞은 영혼. 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