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인간관계의 중요성
인간관계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으며, 성공적인 인간관계는 삶에 대한 자신감과 열정을 갖게 해주고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게 해준다. 그러나 인간관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스트레스와 갈등을 겪게 되며 우울증이나 자살과 같은 극단적 결과를 불러오기도 한다. 인간관계는 그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선택할 수 없는 우연의 경우가 훨씬 더 많다. 누구나 살아온 지난날을 돌이켜보면 본인이 선택할 수 있었던 관계보다 선택의 여지없이 주어진 인간관계가 확실히 더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람은 누구나 고유한 행동양식과 대인관계방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런 불확실한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의 성격과 자아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1.2. 보고서의 목적
이 보고서의 목적은 교류분석이론에 대한 심화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인성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교류분석의 이론적, 임상적 패러다임을 자신이 향후 사회 활동에 유리한 위치에 도달함에 있다.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사회의 일꾼으로 인재인 본인의 자신의 성격을 인지하고 있는가가 더 효율적인 인간관계 형성 및 유지를 위해서는 본인의 자기이해증진과 자기능력부여에 관한 학습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되어서, 구체적인 목표를 계약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주제의 선정은 오늘날 한국의 학교 교육현장에서 취업 예비인력들이 겪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 중 특히 그들의 심리적 문제를 전제로 하고, 그것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의 모색을 시도하는데 본 보고서의 의의를 두었다.
2. 이론적 배경
2.1. Eric Berne의 상호교류 분석이론
2.1.1. 상호교류분석이란?
상호교류분석(TA : Transactional Analysis)이란 1958년 미국의 정신의학자 에릭 번(Eric Berne)이 개발한 인간행동의 심리요법으로,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위한 체계적인 성격이론이다. 상호교류분석은 인간관계가 존재하는 모든 장면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이며 심리치료 기법으로, 개인의 성격기능 강화를 통한 성격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비교적 평이하고 인간의 긍정성을 확인하며, 자신이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하고, 사고, 감정, 행동을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분석을 해 나아갈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는 자신발견의 방법으로서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알기 쉬우면서도 배운 것을 즉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2.1.2. 상호교류분석 이론의 기본전제
상호교류분석 이론(TA)은 인간과 사회적 환경 안에서의 인성 발달과 관련된 사회적 관계를 중요시하는 개인 상호 이론이다. Berne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는 자극의 욕구, 안정적 욕구, 자세의 욕구, 구조의 욕구가 있다고 하였다.
모든 인간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자극을 받고자 하는 자극의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사랑 받고자 하는 갈망이라 할 수 있을 것으로 발단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자극의 욕구는 '인간을 인식하는 기본' 단위로서 상호교류분석 이론에서는 얼러주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인간은 아기이든 성장한 사람이든 간에, 기분 좋게 느끼는 긍정적이든, 기분 나쁘게 느끼는 부정적이든 간에 또 자극 받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인간의 자극의 갈망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신체적 접촉 및 얼러주기에서 언어적 인정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통로가 바뀌는 것이다. 인정에 대한 욕구는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해 주는 데 사용되는 모든 행동의 총체를 의미한다. 자극의 욕구와 인정의 욕구에 굶주리게 되면 영아는 발달에 손상을 입고 죽음에 이르게 되며 성인의 경우엔 정서적 혼란 경험을 경험하고 신체적인 쇠퇴를 맞게 된다.
자세의 욕구란 자녀가 6세 이전까지의 부모행동에 반응하는 태도에 따라 달라지는 욕구로서 개인의 생활자세에 따라 형성되는 살아가는 방법이다. 부모들이 자녀에 대하는 태도는 자녀의 생활자세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구조의 욕구란 한 개인이 살고 있는 환경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사람과 기쁘고 즐겁게 시간을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아동은 시간을 구조화하는데 회피, 관습, 활동, 시간보내기, 게임, 친밀감 등의 여섯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2.1.3. 상호교류분석 이론의 주요개념
상호교류분석 이론의 주요개념은 다음과 같다.
자아상태: 사람은 모두 '부모의 자아상태(P)', '성인의 자아상태(A)', '아동의 자아상태(C)'의 세 가지 자아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관찰 가능한 현상이다. 자아상태는 역동적이어서 말하는 내용, 몸짓, 태도 등으로 나타난다.
부모자아상태(P)는 부모나 양육자로부터 습득한 태도와 행동으로 이루어지며, 비판적 부모자아(CP)와 양육적 부모자아(NP)로 나뉜다. 성인자아상태(A)는 합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