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안화 평가절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과 중요성
2.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의 전개과정
2.1. 위안화 환율 변동 추이
2.1.1. 월별 위안/달러 흐름
2.1.2. 일별 위안/달러 흐름
2.2. 2015년 8월 위안화 평가절하
2.2.1. 평가절하 배경
2.2.2. 평가절하의 영향
3. 위안화 평가절하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3.1. 원화 환율 변동
3.2. 수출입, 무역수지 영향
3.3.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4. 한국의 대응방안
4.1. 환율 변동에 대한 대비
4.2. 수출구조 다변화
4.3. 중국 의존도 완화 전략
5. 결론
5.1. 요약
5.2. 정책적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의 배경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 마이너스 성장으로 인한 경기둔화 압박이다. 지난 7월 중국의 수출입이 8% 이상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같은 기간 생산자물가지수도 전년 동월 대비 5.4% 하락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중국 경기둔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으며, 중국 정부는 수출경쟁력 강화를 통해 경기 부양을 도모하고자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섰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위안화의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바스켓 편입을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 IMF는 올해 5월부터 위안화의 SDR 바스켓 편입을 논의해왔으나, 최근 편입이 내년 6월으로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중국 정부가 이번 위안화 조치를 통해 IMF가 요구해온 환율 자유화에 대한 개혁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SDR 편입 지연을 막으려 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국 내 저물가 장기화와 디플레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1.6%에 그쳐 장기적인 저물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에 따른 디플레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위안화 평가절하 카드를 꺼냈다는 것이다. 채권왕 빌 그로스는 "위안화 절하는 중국이 디플레이션을 다른 나라에 수출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넷째, 신흥국 통화가치 약세에 따른 중국 수출기업의 경쟁력 약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 미국 금리인상 움직임으로 인해 다른 신흥국 통화가치가 줄곧 약세를 보였지만, 중국 위안화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유지해왔다. 이에 중국은 위안화를 절하함으로써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회복하고자 했다고 해석된다.
이처럼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 배경에는 경기부양, 환율개혁, 디플레이션 대응, 수출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1.2. 연구의 목적과 중요성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의 연구 목적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최근 중국은 달러화에 대한 자국의 위안화 가치를 평가절하 하였다. 이는 중국경제의 지속적이며 비약적인 발전을 위해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중국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위안화 환율문제가 중국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거나 심지어 중국경제 전반과 관계되는 핵심 요소로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의 배경과 그 영향을 살펴보고, 이것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의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첫째, 중국경제의 비약적 발전과 함께 부각되고 있는 위안화 환율문제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관련 분야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위안화 평가절하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중국과 한국 간 경제협력 관계를 고려할 때,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양국 간 경제정책 조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의 전개과정
2.1. 위안화 환율 변동 추이
2.1.1. 월별 위안/달러 흐름
월별 위안/달러 흐름은 중국 위안화 환율의 장기적인 변동 추이를 보여준다. 2000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위안화는 8.277위안 수준을 유지하다가 2005년 8월 7.32위안으로 평가절하되었다. 이후 2008년 7월까지 위안화가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2008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는 위안화가 6.82위안 수준을 유지하다가 다시 2010년 6월부터 2012년 2월까지 6.31위안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2012년 7월부터 2014년 1월까지는 위안화를 평가절상하여 6.07위안까지 상승했지만, 2014년 1월부터 다시 위안화를 절하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4년 5월 6.47위안까지 상승하다가 2015년 1월까지 하락하는 등 위안화 환율의 등락이 반복되었다. 이와 같은 위안화의 약세 기조는 중국 경기 둔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2012년, 2014년, 2015년 경기 부진 시기에 위안화를 절하하여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자 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2.1.2. 일별 위안/달러 흐름
중국 인민은행은 2015년 8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을 대폭 낮추는 평가절하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위안화 환율은 3일 연속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구체적으로 8월 11일에는 위안화가 달러 대비 1.86% 절하되었고, 8월 12일에는 1.62%, 8월 13일에는 2.11% 절하되어 3일간 총 4.66% 평가절하가 이루어졌다. 이는 지금까지 있었던 위안화의 변동 폭 중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
중국 정부는 이번 일련의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를 통해 그동안 IMF와 국제금융기구가 요구해온 위안화 환율의 자유화와 시장화를 더욱 실현하고자 ...
참고 자료
가오센민, 장카이화, 『중국은 무엇으로 세계를움직이는가』, (주)하니커뮤니케이션즈, 2004.
http://ecos.bok.or.kr/
http://cafe.naver.com/kotrabeijing/1225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H21&newsid=02187766609466336&DCD=A00802
http://blog.naver.com/skeun9?Redirect=Log&logNo=220473477006
http://cafe.naver.com/minecraftmodcreators/13687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fromurl=na[뉴스핌Newspim]강소영기자 (jsy@newspim.com)
http://dl.nanet.go.kr/index.do권태신, 위안화 절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한국경제연구원장, 2015
http://dl.nanet.go.kr/OpenFlashViewer.do 김도훈, 위안화 절하시 주력산업의 주출 영향및 대응방향, 산업연구원원장, 2015.
http://dl.nanet.go.kr/OpenFlashViewer.do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2015.
http://dl.nanet.go.kr/OpenFlashViewer.do 오정근, 위안화 평가절하의 배경과 영향 및 대응전략, 한국경제연구원초빙연구위원. 2015.
한국일보 기사
디지털타임즈 기사
대신증권, 2015. 8
중국 위안화 절하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904632.html
중국이 환율조작국이 된다면?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72157
미-중 무역전쟁 : 꼭 알아야할 3가지https://www.bbc.com/korean/news-48184616
미-중 무역전쟁, 위기를 기회로 만들려면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43046?no=243046
미-중 무역분쟁과 위안화 ‘포치’ 한국 경제엔 어떤 영향? http://www.bizhankook.com/bk/article/18288
미-중’코로나’냉전 격화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0/05/497568/
미-중 무역전쟁 불안감.https://www.asiae.co.kr/article/202005110817492324
[통상리포트]포스트 코로나시대 미-중관계의 향방
https://kita.net/cmmrcInfo/cmercInfo/cmercReport/cmercReportDetail.do?pageIndex=1&no=2056&classification=4
‘미-중’ 무역분쟁, 환율 이슈로 재부각 가능성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62275
미-중 무역전쟁과 대한민국 생존전략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2392
트럼프의 생존 전략,무역분쟁
http://www.paxnet.co.kr/WWW/data/researchCenter/attach/20200515092903535.pdf
미-중 무역분쟁 치명타 1위 중국, 2위는 中에 의존하는 한국
http://www.kc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2134
미-중 무역분쟁과 중소기업 대응 - 중소기업중앙회www.kbiz.or.kr>download
미-중 무역분쟁 격화, 국내외 경제.산업에 미치는 영향
(https://now.k2base.re.kr/portal/trend/main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34228&menuNo=200004&searchSubj=09&pageInde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