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렴의 정의
폐렴은 말초 기관지와 폐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폐 실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 질환이다.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또는 독성 물질 등에 의해 기관지에 급성으로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폐렴은 직접 걸릴 수 있고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2. 폐렴의 분류
2.1. 지역사회 획득 폐렴
지역사회 획득 폐렴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입원한 지 48시간 이전에 발생하는 폐렴으로, 겨울철에 주로 많이 발생한다"" 지역사회 획득 폐렴은 건강한 자, 다른 위험요인을 동반한 외래환자, 병동입원환자, 중환자실 입원환자 등 4개 군으로 분류된다""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주된 원인균은 폐렴구균이며, 세균성 폐렴의 경우 항생제 치료를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폐렴의 경우 세균성 폐렴으로 간주하고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하며, 이후 원인균이 밝혀지면 그에 맞는 항생제로 변경한다"" 스스로 호흡이 불가능할 정도로 중증인 경우에는 중환자실에서 기계환기기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지역사회 획득 폐렴은 호흡기 질병과 인플루엔자에 노출된 적이 있거나 만성 폐질환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에 잘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군에게는 폐렴구균 백신과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
2.2. 병원 감염성 폐렴
병원 감염성 폐렴은 병원에 입원 후 48시간이 지나서 발생하는 폐렴이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폐렴에 걸리기 쉬우며, 특히 기계 환기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발생 빈도가 더 높다"" 병원 감염성 폐렴의 주된 원인균은 녹농균, 엔테로박터,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이다""
병원 감염성 폐렴은 처음부터 지역사회에서 획득된 것이 아닌 병원에 입원하면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지역사회 획득 폐렴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병원 내 감염원에 노출되어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병원 내 감염원은 의료진의 손, 오염된 의료 기구, 병실 환경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로 인해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점이 특징이다""
병원 감염성 폐렴은 다른 병원 감염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면역력 저하, 기저 질환, 침습적 의료 시술 등의 위험 요인이 있을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장기 입원 환자, 기계 환기 치료를 받는 환자, 면역 억제제를 투여 중인 환자 등이 고위험군에 해당된다""
이러한 병원 감염성 폐렴은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의료진의 손 위생 준수, 환자 방 청소 및 소독, 의료기구 관리 등 병원 내 감염관리 지침 준수가 필수적이며, 고위험 환자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 투여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2.3. 흡인성 폐렴
흡인성 폐렴은 구토물이나 위산 같은 위내용물이 폐로 들어가 발생하는 폐렴이다. 의식수준이 저하되어 기침반사와 연하반사가 억제된 환자나 비위관 급식을 하는 환자에게 주로 발생한다."
흡인성 폐렴은 위 내용물의 흡인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때 산성 위액의 직접적인 화학적 손상과 함께 미생물 감염이 동반된다. 폐의 우상엽과 하엽의 폐첨부위에서 가장 흔히 발생한다."
흡인성 폐렴의 병원균은 주로 혐기성 세균인 Bacteroides melaninogenicus, Streptococci, Fusobacteria 등이다. 입원 환자의 경우 녹농균, E. coli, Enterobacter cloacae 등 그람음성 세균도 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