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준 인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의 전개 과정과 사회복지사의 자질
1.1. 사회복지실천의 전개 과정
1.1.1. 종교의 개입
1.1.2. 미국과 일본의 사회복지 실천 영향
1.1.3. 사회복지실천 분야의 미확보
1.1.4.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의 괴리
1.1.5. 영역의 확장과 방법의 다양화
1.2. 사회복지사의 자질
1.2.1.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전문성
1.2.2. 사회복지사의 장점과 성장 방향
2. 로저스의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2.1. 로저스의 인본주의 이론 배경과 개념
2.1.1. 이론 배경
2.1.2. 이론 개념
2.2. 로저스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
3. 환경 속의 인간과 사회복지실천
3.1. 환경 속의 인간
3.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중요성
3.3. 사회복지실천과 '환경 속의 인간'의 연관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의 전개 과정과 사회복지사의 자질
1.1. 사회복지실천의 전개 과정
1.1.1. 종교의 개입
본래 사회복지란 종교에서 시작되었다"" 본래 사회복지는 종교적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사회복지는 단순히 결식 빈민들에게 식량 등을 원조하는 수준에 머물렀으며, 종교적 전파가 주된 목적이었다. 1920년대 이전까지 사회복지에 대한 체계적이거나 계획적인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당시의 사회복지는 빈민들의 사회적 재활보다는 의식주 해결 차원에 그쳤다""
고려시대에는 사찰에서 불교 행사를 통해 빈민 구휼이 이루어졌고, 조선시대에는 흉년 시 국고에서 곡물을 백성들에게 나누어주기도 했다. 이처럼 초기 사회복지는 종교적 활동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1.1.2. 미국과 일본의 사회복지 실천 영향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실천과정은 미국에서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일본에서는 사회복지실천사업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미국에서 오는 선교사(교회)의 영향과 일본의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 통치 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과 일본이 근대에 한국의 도시화와 공업화를 추진하면서 생기는 사회 문제를 존재 자체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정부 체계를 대신하여 해결하려는 모습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1.1.3. 사회복지실천 분야의 미확보
사회복지실천 분야의 미확보는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에서 사회복지사의 업무 진행에 대한 전문성 필요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실천은 프로그램의 의도대로 진행되고, 목적이 제대로 달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사회복지사를 전문직으로서 인정하는 곳은 별로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과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1.1.4.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의 괴리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의 괴리는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제도의 의도와는 다르게 그 행동이 다르게 흘러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도의 의도와 실제 실천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괴리로 인해 자원의 낭비와 효과성,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이런 제도와 실천의 괴리를 감지하여, 제도와 실천이 일관성을 가지도록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천 과정에서 제도의 취지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바로잡아 제도와 실천이 일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제도와 실천의 괴리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1.5. 영역의 확장과 방법의 다양화
사회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보통 한 가지에 머물지 않으며, 그 범위는 무궁무진할 수 있고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의 실현에 있어서 행동 반경과 방법의 제약이 없어야 그 효과성이 확실해진다"" 사회복지실천의 영역이 점점 더 확장되고, 그 방법 또한 다양화...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론 교안 p.20 ~ p.22
인보관운동과 자선조직협회(2020, 우리미래신문)
이근홍,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06
칼 로저스, 한성열공역, `칼 로저스의 카운셀링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998
윤찬중, [사회복지의 기초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2005. - 이인정, 최해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출판, 1998.
엄명용 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1.
김형태,「상담심리학」동문사, 2005.
김춘경 외,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0.
김성봉 (2010). 인간주의 교육의 실천방향. 파주:한국학술정보(주).
이근홍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15
최옥채, 박미은 외 2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