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화기계 해부생리
1.1. 위장관계 기능
위장관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소화, 흡수, 배설 과정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고 소화하여 신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며, 불필요한 부분을 배출하는 것이다"" 구강에서 시작된 음식물은 연하 작용을 통해 하부 위장관으로 이동하며, 위와 소장에서 소화가 이루어지고 영양분이 흡수된다"" 그 후 대장에서 수분과 전해질이 재흡수되어 배설물이 형성된다""
위장관계는 입부터 항문까지 이어지는 긴 관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상부 위장관(oral cavity ~ duodenum)과 하부 위장관(jejunum ~ anus)으로 구분된다"" 소장과 대장을 나누는 기준은 직경의 차이로, 소장은 직경 1.5cm, 대장은 직경 5cm 정도이다""
1.2. 위장관계 구조
위장관계 구조는 입에서 항문까지 이어지는 긴 관으로, 상부 위장관과 하부 위장관으로 구분된다"" 상부 위장관은 구강, 인두, 식도, 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 위장관은 소장과 대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장은 직경이 1.5cm 정도로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분되며, 길이는 약 6~7m이다"" 소장은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는 주요 기관이다""
대장은 직경이 5cm 정도로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 결장, 직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약 1.5m이다"" 대장은 수분과 전해질 흡수, 잔여 물질의 배출 등의 기능을 한다""
이처럼 위장관계는 구강에서 시작하여 항문까지 이어지는 긴 관으로, 각 부분에서 구조적 차이를 보이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1.3. 부속기관
부속기관에는 간(liver), 담낭(gallbladder), 췌장(pancreas)이 있다.
간(liver)은 소화기계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우상복부(RUQ)에 위치하며, 약 1.5kg의 무게를 가진다. 간은 약 500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기능은 단백질 합성, 해독작용, 담즙 생성 등이다. 간은 알코올 분해, 약물 대사, 독소 제거 등의 해독 작용을 통해 몸을 보호하며, 담즙을 생성하여 지방 소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혈당 조절, 비타민 합성, 호르몬 대사 등의 대사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간은 매우 중요한 소화기관이자 대사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담낭(gallbladder)은 우상복부(RUQ)에 위치한 pear-shaped 주머니로,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역할을 한다. 담낭은 약 50ml의 용량을 가지며, 식사 시 수축하여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배출한다. 담즙은 지방 소화와 흡수를 돕는 중요한 물질로, 담낭의 기능 이상은 소화불량,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췌장(pancreas)은 상복부 중심부에 위치하며, 내분비 기능과 외분비 기능을 모두 가진 특수한 기관이다. 내분비 기능으로는 인슐린, 글루카곤 등의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당 조절에 관여하며, 외분비 기능으로는 소화효소들(amylase, lipase, protease 등)을 분비하여 음식물의 소화를 돕는다. 따라서 췌장은 혈당 조절과 영양소 소화, 흡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간, 담낭, 췌장은 소화기계의 주요 부속기관으로, 각각 해독 작용, 지방 소화, 소화효소 분비 등의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 부속기관의 이상은 다양한 소화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소화기계 건강을 위해서는 이들 기관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2. 위장관계 질환
2.1. 염증성 장질환
2.1.1. 크론병
크론병은 소화기관 전체에서 불연속적인 분절 양상이 나타나는 만성적이고 재발률이 높은 염증성 질환이다. 주로 소장, 특히 회장과 결장 말단 부위에서 발생하며, 장벽의 전층을 두껍게 침범하는 특징을 보인다. 크론병은 점막하층에서 주로 발생하며, 재발과 합병증이 많다는 점에서 궤양성 대장염과 구별된다.
크론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유전적 성향, 환경적 요인, 면역조절의 결함, 세균, 효소의 파괴와 결함, 정서적 장애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데, 염색체 16q 유전자와 관련이 있으며 유럽 아슈케냐지 유대인들의 발병률이 4배나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크론병 환자는 심한 복통과 잦은 설사,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경험하며, 구내염, 치루, 항문 주변 농양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또한 복부 팽만감,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궤양성 대장염에 비해 설사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크론병의 치료는 증상 완화와 재발 예방을 목표로 한다. 약물 치료로는 살리실산염,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며, 영양 섭취 증진을 위해 경장 영양이나 총정맥영양 요법도 활용된다. 수술적 치료로는 소장의 부분 절제술이 주로 시행되며, 크론병은 재발률이 높아 합병증 치료를 위해서만 수술을 고려한다.
간호 중재로는 수술 전후 관리, 장루 관리, 영양 관리, 증상 완화, 합병증 예방 등이 포함된다. 크론병 환자는 자조 그룹 활동 참여를 통해 질병 관리와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있다.
2.1.2. 궤양성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결장)과 직장의 점막과 점막하층에만 발생하는 만성 재발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대장과 직장의 점막이 붉고 부어오르며 출혈, 궤양, 점액 및 화농성 분비물이 나타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궤양성 대장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