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축 공간을 재생하며 느낀 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재생 건축,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다
1.1. 머리말 : 주제 선정의 계기
1.2. 본론
1.2.1. 재생 건축의 개념과 정의
1.2.2. 재생 건축과 도시 재생 뉴딜 사업
1.2.3. 재생 건축의 사례
1.3. 결론 : 감상 및 느낀 점
2. 공간의 '재'활용 '새'활용
2.1. 답사 이유
2.2. 건축물의 특성 (공간 업사이클링을 중점으로)
2.3. 건축물의 답사 내용
2.4. 건축물의 단점
2.5. 건축물의 개선사항
2.6. 느낀점
3. 친환경 디자인 건축의 목표와 특징
3.1. 친환경 디자인 건축의 목표와 특징
3.2. 인상깊게 느꼈던 친환경 디자인 건축 사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재생 건축,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다
1.1. 머리말 : 주제 선정의 계기
누구나 세월의 야속함은 피해갈 수 없다. 유한성을 지닌 도시와 건축도 마찬가지이다. 도시가 오래될수록, 건축물도 함께 늙어간다. 곳곳에서는 낡은 건물을 무너뜨려 그 자리에 높고 화려한 건물을 짓는다. 부수고 새로 짓는 건축은 매정하게도 도시의 때가 묻은 역사성과 정체성도 함께 지워버린다. 도시와 오랜 시간 함께해온 오래된 건물들. 도시와 함께 공존해왔던 건물들이 효용성이 떨어졌다는 이유로 부서지는 모습이 안타깝게 느껴졌다. 낡은 건물이라면 무조건 부수고 새로 짓는 것만이 답일까? 도시의 특성을 잃지 않고 탈바꿈하는 대안은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청주시 상당구 성안길에 위치한 카페 '목간'이라는 곳에 방문한 뒤, 주거와 건축의 새로운 변화 양상에 눈을 뜨게 되었다. 목욕탕을 개조하여 만든 카페로, 실내 디자인은 목욕탕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목욕탕을 개조한 카페는 독특한 디자인과 개성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개조 카페를 통해서 건물의 개발이란 것이 꼭 부수고 신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만은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주거 형태와 역할에 대한 기존 사고방식의 틀을 깨면, 건물을 부수지 않아도 새로운 건물로 재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 적잖이 놀랐고, 나아가 재생과 재활용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2. 본론
1.2.1. 재생 건축의 개념과 정의
재생 건축의 개념은 "죽게 되었다가 다시 살아남" 또는 "낡거나 못쓰게 된 물건을 가공하여 다시 쓰게 함"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기반으로 한다. 건축 분야에서 재생 건축은 기존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거나 개조하여 새로운 기능과 용도의 공간으로 재생시키는 개념이다. 즉, 과거 건축물의 다양성과 가치를 끌어내어 현실화함으로써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재생 건축은 시간적·문화적 연속성을 유지하고 외부 변화로부터 보호하려는 노력을 통해 기존 건축물의 용도 전환이라는 건축 공간 재구성의 의미를 지닌다. 이때 기존 건축물의 구성 요소 중 일부를 반드시 보존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리폼과는 차별화된다. 재생 건축은 단순히 노후화된 건축물을 재사용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기존 건축물의 가치와 정체성을 살려내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개념이다.
건축에서 재생이 필요한 이유는 다양한데, 주로 생활 수준의 변화, 사회·경제·문화적 변화 등에 따라 기존 건축물의 기능과 역할이 상실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생 건축은 건축물의 폐기와 붕괴를 막고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1.2.2. 재생 건축과 도시 재생 뉴딜 사업
그렇다면 문재인 정부에서 발표한 '도시 재생 뉴딜' 사업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겠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9월 '도시 재생 뉴딜'이라는 새로운 도시 재생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는 기존 대규모 도시 재생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주도의 지속 가능한 도시 경쟁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국의 낙후 지역 500곳에 매년 재정 2조 원·주택도시기금 5조 원·공기업 사업비 3조 원 등 5년간 총 50조 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도시 재생사업이다.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의 비전은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여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도시 조성'이며, 이를 위해 4대 목표와 5대 추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4대 목표는 주거 복지 및 삶의 질 향상, 도시 활력 회복, 일자리 창출, 공동체 회복 및 사회 통합이며, 5대 추진 과제는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 환경 정비, 구도심을 혁신 거점으로 조성, 도시 재생 경제 조직 활성화 및 민간 참여 유도, 풀뿌리 도시 재생 거버넌스 구축, 상가 내몰림 현상...
참고 자료
서현정, 요코하마의 ‘창조도시 전략’에 있어서의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2, p.70
김영표, 들뢰즈의 ‘잠재성’ 개념에 의한 재생 건축의 디자인적 가치 특성 분석과 디자인 방법에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3, p.4~5
박상경, 노후화된 공장 및 주택 공간의 상업 시설로의 재생건축 계획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7, p.5~7
정영호, 이상윤, 도심 중 소규모 폐싼업시설 재생 건축 계획 특성 조사 연구-성수동 일대 복합문화공간 사례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대회 논문, 2019, p.25~27
석정은, 염위화, 임미, 황연숙, 재생 건축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 논문, 2019, p.1~4
황숙경, “도시 재생 뉴딜 사업 ”우리 마을, 다들 부러워하죠!“, 경남 공감 11월호, https://blog.naver.com/gnfeel/222135028043
신주현, [시사 기획 창] 재생 건축, 낡은 도시의 부활, KBS 뉴스(News), 2018.11.06.
배현미 외, 환경디자인, 보문당, 2002.
친환경 건축물의 실내건축과 정원 디자인, 탑이미지, 2022.
강연주, 국내 친환경 건축 디자인에 나타난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