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마케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간호서비스의 특성 및 발전과정
3. 간호서비스 마케팅의 필요성
4. 간호서비스 마케팅 믹스
4.1. 제품(Product)
4.2. 가격(Price)
4.3. 유통(Place)
4.4. 촉진(Promotion)
5. 서비스 제품의 마케팅 믹스
6. 간호서비스 마케팅 믹스 관리
6.1. 제품 전략(Product)
6.2. 수가 전략(Pricing)
6.3. 유통 전략(Place)
6.4. 촉진 전략(Promotion)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 마케팅(nursing service marketing)은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고객들에게 알리고 소개하면서 그들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간호사의 활동을 말한다. 이 활동은 병원 종사자 모두가 해야 하지만 간호사가 환자들과 가장 많이 접촉하기 때문에 간호사가 최적의 수행자이다. 병원에 따로 의료 마케팅팀이 존재하지만 실절적으로 마케팅을 해야하는 것은 간호사이다. 간호사가 병원 조직의 그 누구보다도 고객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최적의 종사자이기 때문이다. 간호서비스에서 만족을 느끼는 고객들은 그 사실을 친지나 이웃들에게 전파하면서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촉진하게 된다. 이때 간호사는 병원과 함께 마케팅의 지원 활동인 마케팅 믹스를 수행하게 된다. 간호사가 병원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임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도 간호 마케팅은 필요하다. 병원의 시설이나 의료진 못지않게 간호사는 환자들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존재이며, 간호서비스가 의료서비스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간호 마케팅은 고객 가치의 창조, 병원과 고객 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 간호서비스의 차별화, 병원 수익의 증대 등 경쟁력의 중요한 원천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또 간호 마케팅은 병원 수익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간호서비스의 개선 여부에 따른 병원 수익의 차이가 구체적인 수치로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조직의 경쟁력에서 가장 중요한 원천이 인적 자원임을 감안 한다면 간호사가 병원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한 진실이다.
2. 간호서비스의 특성 및 발전과정
간호서비스는 의료와 같은 특성을 가진 서비스로 개인적, 직접적, 사회봉사적인 개념이 강하다"" 이처럼 간호서비스에는 영리적 측면보다는 사회적 가치가 더 중요시되어 왔다"" 1989년 전 국민 의료보험이 실시됨에 따라 의료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양질의 의료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서비스에 마케팅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는데, 이는 단순히 수익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인 환자 및 가족에게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하고 서비스 제공자인 간호사나 간호조직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이익 증대와 간호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자극함으로써 간호 활동의 사회적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간호서비스 마케팅의 목적이다""
3. 간호서비스 마케팅의 필요성
최근의 보건의료 환경과 같이 경쟁적이고 자원 억제적인 환경에서는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꾀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마케팅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마케팅의 개념을 적용하여 간호관리자는 환자들의 욕구를 비용 효과적으로 충족시켜줄 수 있고 마케팅 활동은 소비자의 욕구와 환자상태 및 만족도, 서비스의 질을 강조하게 되어 간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간호 마케팅(nursing service marketing)은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고객들에게 알리고 소개하면서 그들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간호사의 활동을 말한다""이 활동은 병원 종사자 모두가 해야 하지만 간호사가 환자들과 가장 많이 접촉하기 때문에 간호사가 최적의 수행자이다""병원에 따로 의료 마케팅팀이 존재하지만 실절적으로 마케팅을 해야하는 것은 간호사이다""간호사가 병원 조직의 그 누구보다도 고객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최적의 종사자이기 때문이다""
간호서비스에 만족을 느끼는 고객들은 그 사실을 친지나 이웃들에게 전파하면서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촉진하게 된다""이때 간호사는 병원과 함께 마케팅의...
참고 자료
이병숙 외 5인, 간호관리학 4판, 학지사메디컬
이성애(2005), 너싱홈운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수요자 욕구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주희 교수, 메디포뉴스, 간호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및 전략 활용, 메디포뉴스, 2016. 10. 12.
(https://www.medifonews.com/mobile/article.html?no=111591)
오미정 외, 「간호서비스와 마케팅」, 수문사, 2018. 10. 25
정면숙 외,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 관리학 제 4판」, 현문사, 2020. 03. 02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2011년 5월.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1, 65-73, May,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