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제왕절개분만의 개요 및 필요성
제왕절개 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Cesarean"이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자른다는 의미인 "cedasre"에서 유래한다.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비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제왕절개분만은 출산 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건강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시행되는 수술이다. 제왕절개분만의 주요 적응증으로는 ① 모체와 태아 측 요인: 아두골반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으로 난산일 경우 ② 모체 측 요인: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등의 모체 질병, 음부포진과 같은 중증감염,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③ 태아 측 요인: 태아 질식, 횡위, 둔위 등 선진부 이상, 다태아(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④ 태반 요인: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등이 있다.
제왕절개 수술은 피부 및 피하지방, 근막과 복막을 절개하여 자궁을 외부로 노출시킨 후 태아를 만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는 피부의 횡축 절개를 시행하나 응급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세로축 절개를 하기도 한다. 태아가 분만되면 탯줄을 자르고 신생아에게 필요한 처치를 하며, 태반 분리 후 자궁을 봉합하고 복막과 근막, 피하지방과 피부를 차례로 봉합한다.
제왕절개 분만은 다른 수술과 마찬가지로 과다 출혈, 자궁 무력증, 방광 및 장 손상, 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왕절개 수술 전후로 산모의 활력징후와 감염 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다태임신의 정의와 특징
다태임신(Multiple pregnancy)이란 둘 이상의 태아를 임신하는 것을 말한다. 다태임신은 다태분만으로 이어지며, 전체 출산의 2~3%를 차지한다. 그중 쌍태아 임신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최근에는 출산 연령이 늦어지고 난임 여성들의 시험관 시술 증가로 다태임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다태임신에는 일란성 쌍태아와 이란성 쌍태아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일란성 쌍태아는 하나의 수정된 난자에서 발생하므로 유전적 형질이 같고 동성이며, 혈액형과 신체적 모양이 거의 비슷하다. 반면 이란성 쌍태아는 두 개의 난자가 각각 두 개의 정자에 의해 수정된 것으로, 태반과 융모막이 각각 두 개씩이다. 따라서 외모와 성별, 유전형질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다태임신은 임신 10주경 초음파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여러 개의 임신낭이 분리되어 있거나 한 화면에서 두 개의 태아 머리를 관찰하면 다태임신을 진단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제왕절개분만
2.1.1. 제왕절개분만의 정의
제왕절개 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Cesarean'이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자른다'는 의미인 'cedasre'에서 유래하였다.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2.1.2. 제왕절개분만의 적응증
제왕절개분만의 적응증"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제왕절개분만이 필요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크게 산모 측 요인, 태아 측 요인, 산모와 태아 측 요인, 그리고 태반 요인으로 구분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모 측 요인으로는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등의 산모 질병과 음부포진 등의 중증감염,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난소종양이나 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