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질환 환자의 치과치료와 임플란트와, 술 후 유지 관리에 대하여 목차를 써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0.03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전신질환 환자의 치과치료와 임플란트와, 술 후 유지 관리에 대하여 목차를 써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플란트의 정의 및 역사
1.1. 임플란트의 정의
1.2. 임플란트의 역사

2. 임플란트의 적응증 및 금기증
2.1. 임플란트의 적응증
2.2. 임플란트의 금기증

3. 임플란트의 장단점
3.1. 임플란트의 장점
3.2. 임플란트의 단점

4. 임플란트의 종류
4.1. 연결 방식에 따른 분류
4.2. 시술 방식에 따른 분류
4.3. 식립 위치에 따른 분류
4.4. 식립 시기에 따른 분류
4.5. 표면 처리에 따른 분류
4.6. 형태에 따른 분류

5. 임플란트 수술 준비 및 술식
5.1. 수술 전 환자 교육 및 검사
5.2. 임플란트 수술 장비 및 기구
5.3. 2회법 임플란트 술식
5.3.1. 1차 수술
5.3.2. 치유기간
5.3.3. 2차 수술
5.3.4. 보철 단계

6. 임플란트 주위 관리
6.1. 수술 후 관리
6.2. 전문가에 의한 관리
6.3. 환자의 자가 관리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플란트의 정의 및 역사
1.1. 임플란트의 정의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체 수복하기 위해 치조골 또는 악골 내에 매식되어 자연치아와 같은 역할을 하게 하는 생체친화적인 인공치근을 의미한다. 결손치를 수복하기 위한 영구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골 내에 식립되는 장치로, 환자의 건강과 구강기능, 심미성, 편안감을 회복시켜준다. 현대 치의학에서는 고정성 또는 가철성 보철물의 유지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점막 또는 골막층 하방, 그리고 골조직 내부 등의 구강조직에 매식되는 이물성형 재료의 보철 장치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는 골조직 내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가 대부분 사용되므로 골 내에 삽입된 장치로 정의해도 무방하다.


1.2. 임플란트의 역사

임플란트의 역사는 오래전부터 이어져왔다. 고대 이집트(B.C. 6000)에서는 이미 동물의 치아나 상아로 깎은 인공치아의 이식이 행해졌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골내 임플란트 수복은 19세기에 시작되었다. 1939년 vitallium 소재의 골내 임플란트와 1941년 골막하 임플란트 등 다양한 재료와 형태의 임플란트가 개발되고 연구되었다. 그 후 1960년대 스웨덴의 정형외과의사 브레네막과 그의 동료들이 뼈가 손상된 후 골조직의 재생에 필요한 조건들을 알아보기 위해 탄탈룸과 티타늄으로 포장한 챔버를 동물 뼈 속에 넣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제거하였을 때 티타늄이 뼈와 붙어 한 덩어리로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이 효시가 되어 1965년 브레네막 임플란트로 명명된 임플란트가 환자에게 식립되면서 오늘날의 임플란트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2. 임플란트의 적응증 및 금기증
2.1. 임플란트의 적응증

임플란트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한 치조골 흡수로 가철식 의치의 유지가 결여된 경우이다. 무치악 환자에게서 치조골의 지속적인 흡수로 인해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이 저하되는 경우, 임플란트를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가철성 의치 장착을 거부하는 경우이다. 일부 환자들은 불편감이나 심미적 문제로 인해 가철성 보철물의 사용을 꺼리는데, 이 경우 임플란트를 통해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셋째, 가철성 의치의 안정을 저해하는 근육의 부조화와 비기능적인 습관이 있는 경우이다. 환자의 근육 기능이나 구강 내 악습관으로 인해 가철성 의치의 유지와 안정이 어려운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넷째, 잔존 지대치의 부적절한 위치와 수가 있는 경우이다. 치아 상실 부위의 지대치가 부족하거나 위치가 적절하지 않아 보철물 제작이 어려운 경우, 임플란트를 활용하여 대체할 수 있다."

다섯째, 보존적인 치료를 원하는 환자로, 건전한 치아의 삭제를 거부하는 경우이다. 임플란트는 인접 치아의 삭제 없이 결손치를 수복할 수 있어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여섯째, 구토 반사가 심한 경우이다. 구토 반사가 강한 환자의 경우 가철성 의치의 장착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로 대체할 수 있다."

일곱째, 부착치은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이다. 결손된 치아 부위의 부착치은이 충분하지 않아 보철물 제작이 어려운 경우 임플란트를 활용할 수 있다."

여덟째, 구강 내 상황을 포함한 일반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우이다. 전신적인 건강 상태와 구강 내 조건이 양호한 환자에게 임플란트 치료가 적합하다."

아홉째, 악골의 성장이 정지된 상태인 경우이다. 악골이 성장이 완료된 성인 환자에게 임플란트 치료가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상처가 정상적으로 치유되는 경우와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환자의 완전한 인지가 있는 경우에도 임플란트 치료가 적응증이 된다."

이처럼 임플란트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데, 환자의 전신건강, 구강 상태, 보철 요구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응증을 판단해야 한다."


2.2. 임플란트의 금기증

임플란트의 금기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충분한 골용적이나 골질을 가진 경우이다. 골용적이나 질이 부족하면 임플란트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려워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골이식술 등을 통해 충분한 골량과 질을 확보한 뒤에 임플란트 시술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개구장애나 교합이상의 증례로 교합공간이 부적절한 경우이다. 구강 내 공간이 협소하거나 교합관계가 불량하면 적절한 보철물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이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는 선행 교정치료나 악궁확장술 등을 통해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경조직이나 연조직에 국소적 병변이 있는 경우이다. 감염이나 염증이 있는 부위에는 임플란트 식립이 금기되며, 이를 사전에 치료해야 한다.

넷째, 조절되지 않고 있는 당뇨병, 고혈압 환자이다. 이러한 전신질환들은 임플란트 시술에 실패할 위험을 높이므로 반드시 조절되어야 한다.

다섯째, 급성 질환을 지닌 환자이다. 급성기 질환이 있으면 수술 부위 치유가 지연되고 감염 위험이 높아지므로 임플란트 시술은 금기된다.

여섯째, 생명 위독의 말기 질환을 가진 환자이다. 이런 환자들은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고 수명이 짧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이 적합하지 않다.

일곱째, 임신 중인 사람이다. 임신 중에는 방사선 노출, 약물 복용 등의 위험이 있어 임플란트 시술이 금기된다.

여덟째, 임플란트 식립부위에 대해 방사선 조사를 받고 있는 암환자나 골다공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이다. 이런 경우 골유착 실패 위험이 높아 임플란트 시술은 금기된다.

마지막으로, 임플란트에 대한 부정적 기대를 가지고 있는 환자도 금기 대상이다. 임플란트에 대한 이해와 동기부여가 부족하면 술 후 관리가 소홀해져 실패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3. 임플란트의 장단점
3.1. 임플란트의 장점

임플란트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치에 비해 구강 내 이물감이 적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와 같이 치조골 내에 식립되어 구강 내에서의 이물감이 적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반해 의치는 구개나 구강저에 지지되어 이물감을 주고 발음 등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둘째, 초기 적응 기간이 가철성 의치보다 짧다. 임플란트는 인공치아를 즉시 장착할 수 있어 식음료 섭취나 발음 등 치아기능의 회복이 빠른 편이다. 반면 의치의 경우 구강 점막과의 적응 과정이 필요하여 초기에는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셋째, 틀니에서와 같은 발음장애나 과도한 뼈 흡수가 적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발음에 큰 지장을 주지 않고, 의치 장착으로 인한 치조골 흡수 또한 적다.

넷째, 자연치아와 유사한 강한 저작력을 발휘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치조골 내에 견고히 식립되어 자연치아...


참고 자료

최성호 외 18명 치주학 220~244
여인성 외 치과보철학 277~283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apoever64&logNo=220885431049&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적응증, 금기증)
https://www.youtube.com/watch?v=AZ8MOQU5A_Q (하악 사진 참고)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4/gacheon/kimheeeun1/4.pdf (상악 사진 참고)
http://www.acrodental.co.kr/index.php?mid=sub_1_06 (수술용 엔진 사진 참고)
https://ko.aliexpress.com/i/33027387855.html (핸드피스 사진 참고)
http://www.dt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68997 (드릴 사진 참고)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ko.aliexpress.com%2Fi%2F1000005191682.html&psig=AOvVaw3jEIhzG5SI4a3KdemlCNUr&ust=1609684759548000&source=images&cd=vfe&ved=2ahUKEwjv386Tvf3tAhVBb5QKHbYACm0Qr4kDegUIARCoAQ (견인기 사진 참고)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3A%2F%2Fm.blog.naver.com%2Fleejk910409%2F220244161277&psig=AOvVaw2Asvn5DbF4dr3RLBgNHGgV&ust=1609684401736000&source=images&cd=vfe&ved=2ahUKEwjz0v_ou_3tAhUK8ZQKHScjAXkQr4kDegUIARCiAQ (기구 사진 참고)
치과보철학(고문사), 치주학(대한나래출판사), 현대치과임상(고문사)
고문사-치과보철학 제5판
고문사-임상실습 지침서 제4판
고문사-NCS를 기반으로 한 최신 구강악안면외과학
고문사-치과임상전단계
고문사-치주과학 제5판
고문사-치면세마총론 제7판
대한치과의사협회지 제52권 제7호,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주과학교실 김성태-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의 외과적 치료방법과 예후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