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는 둘 이상의 전문 분야가 참여하여 환자의 치료나 건강증진과 같은 목표와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서 활동을 계획하고 의사전달을 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여러 분야가 상호작용하는 협력은 공식적으로 혹은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조화되고 공식적인 협력의 형태가 팀(team)이다. 즉, 공식적인 팀이 함께 활동하는 것을 팀워크(team work)라고 한다.
최근 들어 의료 환경 안에서 팀 협력이 증가되고 있지만, 여러 분야의 전문직들이 팀을 이루어 일을 하다보면 역할 갈등이나 기능의 혼선이 발생하여 팀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조직 내에서 팀 구성원간의 파워를 중심으로 하는 몰이해, 혹은 팀 구성원 간의 능력차이나 팀 구성원의 개인적인 성격상의 문제로 팀 협력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보건의료 영역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그들이 속한 팀 내에서 다른 팀 구성원보다는 집단의 역동성이나 집단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팀 협력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나 훈련과정이 없어서 이론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효율적인 운용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지역사회간호 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팀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 간호사가 팀 협력에 대해 이론적으로 배우고 훈련과정을 가지게 된다면 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는 환자의 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해 필수적이며, 팀워크를 통해 전문직 간의 상호이해와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업무조정 역할의 필요성과 중요성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업무조정 역할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보건의료 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복된 노력의 방지와 전문분야 간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보다 효율적인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보건의료 기관에서는 간호사, 의사,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등 다양한 전문분야의 인력들이 상호 협력하여 환자의 진료와 건강증진을 도모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각 전문분야의 독립적인 업무 수행과 전문성에 대한 강조로 인해 구성원 간의 역할 혼선과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업무조정 역할의 필요성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중복된 노력을 방지하고,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통해 공동의 목표 달성을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