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경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면담의 필요성
1.2. 면담을 통해 기대되는 것
2. 본론
2.1. 면담 방법 및 과정
2.2. 면담 필사
2.3. 면담 분석
2.3.1. 폐경기와 관련된 건강 특성 파악
2.3.2.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간호과정 적용
2.4. 대상자 교육을 위한 팜플렛 제작
3. 면담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소감
4. 요약 및 종합적인 의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면담의 필요성
폐경기 여성과의 면담은 이론으로만 배웠던 폐경기 증상과 실제 증상을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폐경 전, 후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파악하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간호 진단을 세워 적절한 중재 방법을 알려줄 수 있다""
1.2. 면담을 통해 기대되는 것
면담을 통해 기대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면담자는 폐경 전, 후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비교하여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면담자는 이론으로 배운 지식을 통합하여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상자는 자신이 지닌 건강 문제를 알고 그에 따른 중재 방법을 실천할 수 있다. 대상자는 폐경 후의 올바른 건강관리 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2. 본론
2.1. 면담 방법 및 과정
면담 방법 및 과정은 다음과 같다""
면담자는 먼저 대상자에게 면담 내용을 녹음하겠다는 동의를 구하였다"" 그리고 면담의 모든 내용은 비밀이 보장되며, 여성건강간호학Ⅲ 보고서에만 사용될 것이라고 알렸다"" 대상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대상자의 집에서 1:1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에는 약 2시간이 소요되었다""
2.2. 면담 필사
면담 필사는 다음과 같다.
일시: 2020년 10월 25일 일요일, 14:00~16:00
장소: 대상자의 집
면담자: OOO
대상자: OOO(만 52세, 여, 현재 주부(3년 전까지 직접 밭농사하여 작물을 판매함))
면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면담을 진행할 OO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OOO입니다. 우선 면담 요청에 흔쾌히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면담은 폐경 과정과 이와 관련된 신체적·정신적 변화에 대해 알기 위해 시행합니다. 인터뷰의 모든 내용은 녹음될 것이며, 이 내용은 보고서 외에 어디에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다시 한번 알려드립니다. 그럼 지금부터 인터뷰를 시작하겠습니다.
언제부터 폐경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을 느끼셨나요?
대상자: 원래 제가 생리가 규칙적이었는데 한 1년 전부터 생리 주기가 길어지면서 불규칙적으로 됐어요. 그러다가 최근에는 생리를 3번 정도 건너뛰었어요. 그래서 이제 폐경이 오고 있다는 것을 느꼈어요.
면담자: 네 맞습니다. 보통 월경주기가 짧아졌다가 길어지고, 2~3달 동안 월경이 없다가 1~2년 후에 완전히 없어져 폐경이 오게 됩니다. 지금 폐경이 진행 중이신 것 같은데 전과는 다른 몸의 변화가 있으신가요?
대상자: 얼굴이 자주 달아오르면서 빨갛게 돼요. 그래서 밖에 나가는 게 민망하고 부끄러워요. 화장실 거울로 얼굴만 봐도 거슬리고 보기 싫네요. 그리고 예전보다 땀이 많아진 것 같아요.
면담자: 그렇군요. 얼굴이 확확 달아오르는 홍조는 폐경의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발한은 주로 언제 심한가요?
대상자: 밤에 잘 때 심한 것 같아요. 그래서 잠도 잘 못 자고 삶이 피폐해지는 것 같아요.
면담자: 잠도 잘 못 자서 힘드셨겠네요. 밤에 잘 때 홍조와 발한이 있는 증상을 야한이라고 해요. 지금 대상자분께서는 홍조, 발한, 야한이 있으시네요. 이 증상들은 폐경기의 혈관운동 증상인데 대다수의 폐경기 여성에게 나타나요. 증상이 심할 때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꼭 병원에 가셔서 의사와 상담한 후에 시작하셔야 합니다. 이제 다른 신체적 증상에 대해서도 질문해보겠습니다. 손발이 저리거나 쑤시는 듯한 증상이 있나요?
대상자: 아니요. 그런 느낌은 없어요.
면담자: 머리가 자주 아프거나 어지러운 적이 있나요?
대상자: 가끔 어지러움이 있는데 두통은 없어요.
면담자: 소변은 자주 보시나요?
대상자: 네. 예전과 다를 거 없이 잘 보고 있어요.
면담...
참고 자료
홍은경 “건강한 폐경이행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p1~3
서울대학교병원, 폐경이행기 및 폐경[menopausal transition, menopause],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90, 2019.09.19.
서울아산병원, 폐경(Menopause),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16, 2019.09.23
김금자외13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76p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1, 수문사, 2017, 309p
MEG GULANICK외1명,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 현문사, 2018, 100p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 Ⅰ, Ⅱ (제 9판). 수문사
Corfield, E. C., Martin, N. G., & Nyholt, D. R. (2016). Co-occurrence and symptomatology of fatigue and depression. Comprehensive psychiatry, 71, 1–10.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16.08.004
Arring, N. M., Millstine, D., Marks, L. A., & Nail, L. M. (2018). Ginseng as a Treatment for Fatigu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New York, N.Y.), 24(7), 624–633. https://doi.org/10.1089/acm.2017.0361
Howick, J., Moscrop, A., Mebius, A., Fanshawe, T. R., Lewith, G., Bishop, F. L., Mistiaen, P., Roberts, N. W., Dieninytė, E., Hu, X. Y., Aveyard, P., & Onakpoya, I. J. (2018). Effects of empathic and positive communication in healthcare consulta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111(7), 240–252. https://doi.org/10.1177/0141076818769477
Bjørklund, G., Dadar, M., Pen, J. J., Chirumbolo, S., & Aaseth, J. (2019). Chronic fatigue syndrome (CFS): Suggestions for a nutritional treatment in the therapeutic approach.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 Biomedecine & pharmacotherapie, 109, 1000–1007. https://doi.org/10.1016/j.biopha.2018.10.076
여성건강간호학 Ⅰ,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제9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