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스피스간호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법적 근거
1.1. 정의 및 간호사의 역할
1.2. 법적 근거
1.3. 연명의료결정법 시행규칙 제20조 1항(호스피스전문기관의 지정기준-간호사)
2. 호스피스 전문인력 교육과정
2.1.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 전문인력 e-learning 교육과정
2.2.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양성(간호사 외 인력도 포함)
3.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황
3.1. 현황 및 이용실태
3.2. 2021년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정현황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실무 멘토링 전문가인력풀제
4.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향후 전망
5. 호스피스·완화의료 자료조사 후 느낀 점
6. 호스피스 관련 영화
6.1. 뜨거운 안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법적 근거
1.1. 정의 및 간호사의 역할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간호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완화의료는 말기 환자의 고통을 경감 및 해소하기 위하여 완화적, 지지적 호스피스를 제공하거나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는 '적절한 임상경험이 있으며, 임상수련을 포함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교육을 이수한 간호사'를 지칭하며, 말기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간호 영역에서 실무, 교육 및 상담 업무를 담당하는 간호사이다.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는 죽음이란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이라는 것을 환자에게 인식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정신적, 육체적 고통이 완화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환자의 통증을 확인하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간호하며, 말기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상태를 평가하고 심리사회적 접근으로 간호하고 교육한다. 마지막으로 사별을 겪은 환자 가족들을 위로하고 간호한다.
1.2. 법적 근거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제4장 호스피스·완화의료 제21조∼제30조, 시행령 제11∼12조, 시행규칙 제16∼24조에 근거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 제공 및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법은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고 자기결정을 존중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3. 연명의료결정법 시행규칙 제20조 1항(호스피스전문기관의 지정기준-간호사)
연명의료결정법 시행규칙 제20조 1항(호스피스전문기관의 지정기준-간호사)에 따르면, 호스피스전문기관의 간호사 인력 및 교육 기준은 다음과 같다.
입원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간호사는 호스피스 병동의 병상 10개당 간호사 1명 이상으로 두어야 한다. 단, 병상 10개당 병상 수를 계산한 후 남은 병상이 10개 미만인 경우에는 1명을 추가로 두어야 한다.
가정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간호사는 호스피스전문간호사, 가정전문간호사 또는 호스피스전문기관에서 2년 이상 호스피스 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1명 이상 두어야 한다.
자문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간호사는 호스피스전문간호사, 종양전문간호사 또는 호스피스전문기관에서 2년 이상 호스피스 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1명 이상 두어야 한다.
교육 이수 기준으로, 입원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간호사(호스피스전문간호사 제외)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60시간 이상의 호스피스 교육을, 가정형 및 자문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간호사(호스피스전문간호사 제외)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76시간 이상의 호스피스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호스피스전문간호사의 경우 16시간의 호스피스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또한 입원형 호스피스 전문기관에는 간호사실을 1개 이상, 병동의 각 층마다 1개 이상 설치해야 하며, 안전시설(입원실/목욕실/화...
참고 자료
Carol Taylor, Carol Lillis and Pamela Lynn. (2022). 기본간호학Ⅰ(전미양 외 역). 경기도: 수문사. (원서출판 2015).
유양숙 외. (2022). 성인간호학 상권 (제8판). 서울특별시: 현문사.
선정주. (2003). 가정호스피스 간호제공에 따른 말기 암 환자의 통증과 삶의 질 변화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9354804
배영란. (2001).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지각 및 수행과 호스피스 환자의 기대 및 만족정도. 호스피스논집 5, 23-36.
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 센터. (연도미상). 호스피스·완화의료 정의. https://hospice.go.kr:8444/?menuno=9
고신정. (2019. 09. 16). '편안한 죽음을' 호스피스 접근법 확실히 달랐다. 의협신문.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931
홍준기. (2019. 06. 25).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률 5년간 30%까지 높인다. 동아일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5/*************.html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수문사 기본간호학2
한국 민속 대백과사전
보건복지부,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황, 2017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 13 권 제 1 호 2010, 13-23 -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HIRA_정책동향 9권 6호, 2015 –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 현황 및 발전방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427&cid=42116&categoryId=42116
중앙호스피스센터,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정현황 https://www.hospice.go.kr/pain/stat.do
남택수, 뜨거운 안녕,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