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태평동 녹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0.03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성남 태평동 녹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성남시 개관
1.1. 지리적 특성
1.2. 역사적 배경
1.3.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2. 성남시의 산업 현황
2.1. 산업구조
2.2. 주요 산업단지
2.3. 상업활동

3. 성남시의 도시 발전 과정
3.1. 구 성남시의 형성
3.2. 분당 신도시 건설
3.3. 판교 신도시 개발

4. 성남시의 주요 문화 자원
4.1. 문화유산
4.2. 문화시설
4.3. 주요 축제 및 행사

5. 성남시의 도시 문제와 개선 방안
5.1. 쓰레기 소각장 문제
5.2.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의 격차
5.3. 교통 인프라 구축
5.4. 주민 참여 및 행정 체계 개선

본문내용

1. 성남시 개관
1.1. 지리적 특성

성남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141.90㎢이다. 동쪽으로는 광주시, 서쪽은 과천시와 의왕시, 남쪽은 용인시 수지읍, 북쪽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송파구, 하남시와 접하고 있다.

성남시의 기반암은 주로 선캄브리아대의 호상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의 중앙을 탄천이 남에서 북으로 흘러 성남시를 양분하고 있다. 탄천을 중심으로 형성된 평야지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광주시와 접하는 북동부 지역은 청량산과 남한산성이 가파른 고개를 이루고 있으며, 그 남서쪽 기슭으로부터 중앙저지까지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성남시는 내륙산지 지역으로 한서의 차가 심하여 연평균기온이 12.4℃, 1월 평균기온 -5℃ 내외, 8월 평균기온 24℃ 내외로 연교차가 크다. 강수량은 1,300mm 내외이며 여름철 강우량이 1년 강수량의 3/4을 차지한다.

또한 성남시 일대는 백제 시조 온조왕이 도읍지로 정했던 하남위례성의 옛터로 추정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1.2. 역사적 배경

백제 시조 온조왕이 도읍지로 정한 하남 위례성의 옛터로 추정되는 지역이 성남시의 역사적 배경이다. 474년 고구려 장수왕이 남하하여 한산성을 함락하고 북한산군을 설치하였고, 553년 신라 진흥왕이 한산성을 빼앗아 신주를 설치하였다. 557년(진흥왕 18)에는 신주를 폐하고 북한산주를 설치하였으며, 568년(진흥왕 29)에는 북한산주를 폐지하고 남천주를 설치하였다. 662년(문무왕 2)에는 남천주가 설치되고, 664년 한산주로 개칭되었으며, 767년(경덕왕 16)에는 한주로 바뀌었다. 940년(태조 23) 신라 말까지 '한주'라고 부르던 성남지역이 '광주'로 개칭하여 불리게 되었고, 983년(성종 2) 전국에 12목을 설치할 때 광주목이 되었다. 995년(성종 14)에 12목제 대신 12주 절도사제와 10도제를 병행 실시하여 경기도에 속한 봉국군 절도사를 두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양광도에 속하고 안무사를 설치하였다. 1310년(충선왕 2)에 전국 주군의 읍호를 고칠 때 지주사로 강등되어 8목에서 제외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광주목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고려 말 행정 구획인 양광도에 예속된 상태로 지속되었고, 1395년(태조 4) 양광도를 경기 좌우도로 나누어 광주목은 경기좌도에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 경기좌우도를 통합한 경기도에 소속된 채로 16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 1504년(연산군 10)에는 연산군 비방 벽보사건으로 광주목을 폐지하였고, 1506년 중조반정으로 연산군이 축출되면서 광주목이 다시 주로 복귀되었다. 1559년(명종 14)에는 목사가 파견되었고, 1566년(명종 21)에 겸방어사로 1573년(선조 6)에는 겸토포사로, 1577년(선조 10)에는 광주부로 승격되어 부윤이 임명되었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에 겸수어부사로, 1623년(인조 원년)에는 유수로 승격되었다. 1652년(효종 3)에 부윤겸수어부사로 변경, 1683년에 유수겸수어부사로 승격되고, 1750년(영조 26)에 다시 수어사를 파하고 광주유수로 복귀 유수겸수어사를 설치하였고, 1795년(정조 19)에 유수겸수어사로 설치되어 19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1895년(고종 32) 한성부에 속한 광주군이 되었고, 1896년 경기도 광주부가 되었다가, 1906년 광주군으로 강등되어 광주군수를 두었다. 1946년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설치되고, 1964년 광주군수 직할 지휘감독 체제로 전환되었다. 1960년대 말 서울이 계속 팽창하자 인구와 공장 그리고 부족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에 있는 농촌지역에 계획도시를 만들었다.


1.3.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성남시의 행정구역은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3개 구와 44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정구에는 신흥 1~3동, 태평 1~4동, 수진 1~2동, 단대동, 산성동, 양지동, 복정동, 신촌동, 고등동, 시흥동이 있다. 중원구에는 성남동, 중동, 금광 1~2동, 은행 1~2동, 상대원 1~3동, 하대원동이 있다. 분당구에는 분당동, 수내 1~3동, 정자 1~3동, 서현 1~2동, 이매 1~2동, 야탑 1~3동, 판교동, 금곡동, 구미동, 운중동이 있다.

성남시의 인구는 2001년 기준 93만 7,780명이며, 세대수는 31만 6,818세대이다. 구별로는 분당구가 41만 941명으로 가장 많고, 중원구가 27만 5,006명, 수정구가 26만 498명 순이다. 이 중 경제활동인구는 전체의 70.3%, 유소년층이 21.2%, 노년층이 8.5%이다. 남녀비율은 50.2% 대 49.8%로 비교적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성남시는 서울 및 경기지역의 주요 위성도시로 발전해 왔으며, 1970년대 이후 계속되는 도시 팽창과 함께 인구와 행정구역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1989년 분당 신도시 건설 이후 성남시의 인구는 크게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기존 중심지와 신도시 간의 격차 해소, 균형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2. 성남시의 산업 현황
2.1. 산업구조

성남시의 산업구조는 1968년 ...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