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흉막삼출 진단과 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질환 개요
2.1. 흉막 구조와 기능
2.2. 흉수의 발생 기전
2.3. 흉수의 유형
3. 증상 및 징후
4. 진단 및 검사
4.1. 흉부 영상 검사
4.2. 흉막액 검사
5. 치료
5.1. 여출성 흉수의 치료
5.2. 삼출성 흉수의 치료
5.3. 흉강경과 수술적 치료
6. 간호중재
6.1. 호흡 돕기
6.2. 출혈 예방
6.3. 통증 관리
7. 간호과정
7.1. 흉막 내 삼출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7.2.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7.3. 흉관 삽입과 관련된 급성통증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이번 호흡기 내과로 실습을 나가게 되어서 다양한 호흡기 장애 대상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중 저희 병동 대상자의 주요 질환은 Tuberculosis, Pneumonia, Pleural effusion, malignant neoplasm bronchus or lung, COPD이다. 제가 'Pleural effusion'을 선정한 이유는 결핵, 폐 감염 등의 문제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기도 하며, 실제로 흉관을 꼽고 있는 대상자를 관찰하는 기회가 다른 경우보다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핵이나 COPD의 경우 학교에서 중요하다며 자세하게 배운 기억이 있어서 이번 기회에 다른 것들도 자세하게 공부해보고자 하는 생각으로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을 선택하였다.
2. 질환 개요
2.1. 흉막 구조와 기능
흉막은 2겹의 장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흉벽, 횡격막 및 종격동의 표면을 둘러싸는 벽쪽 흉막과 폐를 둘러싸는 폐쪽 흉막으로 구분된다. 이 두 겹의 흉막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흉막강이라고 하며, 이 공간에는 정상적으로 5-10mL의 소량의 윤활액이 존재한다. 흉막의 기능은 폐와 흉벽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으로, 이 윤활액이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흉막강의 음압은 폐 확장을 돕고 팽창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흉막은 폐와 흉벽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며, 폐의 확장과 수축을 도와 호흡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2. 흉수의 발생 기전
흉수의 발생 기전은 다음과 같다.
흉막액은 정상적으로 소량 존재하는데, 이는 흉막강 내에서 벽쪽 흉막에 분포된 모세혈관으로부터 삼출되어 나오고 장측 흉막의 모세혈관이나 림프관으로 재흡수되어 균형을 유지한다. 대순환계의 일부인 벽쪽 흉막 모세혈관압은 25mmHg이고, 소순환계의 일부인 장측 흉막 모세혈관압은 10mmHg이므로 두 압력차이에 의해 벽쪽 흉막에서 장측 흉막으로 체액이 이동한다. 이처럼 흉막액의 분비와 재흡수는 교질삼투압, 모세혈관 투과성, 림프관 및 배출경로의 개방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면 흉막 내에 삼출액이 고이게 된다.
이러한 흉수는 발생 기전에 따라 크게 여출성과 삼출성으로 나뉜다. 여출성 흉수는 전신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주로 심부전, 신부전, 간경변증과 같은 질환에 의한 이차적 결과로 나타난다. 반면 삼출성 흉수는 흉막 자체의 국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세균성 폐렴, 결핵, 악성 종양 등의 질환에 동반되어 나타난다."
2.3. 흉수의 유형
흉수의 유형은 크게 여출성 흉수와 삼출성 흉수로 나뉜다."
여출성 흉수는 전신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심부전, 신부전, 간경변증 등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을 때 2차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체액이 모세혈관에서 흉막강으로 유출되어 흉수가 생성된다."
반면 삼출성 흉수는 흉막 자체의 국소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데, 세균성 폐렴, 결핵, 악성 종양 등과 같은 질환에서 동반되어 나타난다. 이 경우 염증반응이나 암세포로 인해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체액이 유출되어 흉수가 생성된다."
3. 증상 및 징후
흉수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흉막성 흉통이 발생한다"" 이는 기침이나 깊은 숨을 쉴 때 흉벽 쪽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말하며, 흉수의 양이 많은 경우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원인에 따라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4. 진단 및 검사
4.1. 흉부 영상 검사
흉부 영상 검사란 흉수 진단을 위해 이용되는 대표적인 영상학적 검사 기법이다. 흉수가 있으면 일반적으로 흉부 X선 검사에서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 흉부 X선 촬영은 가장 기본적인 흉수 진단 검사로, 300mL 이상의 흉수가...
참고 자료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논문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Caroline-Faria-6/publication/334081013_Tuberculous_pleural_effusion_diagnosis_management/links/5eb969b3299bf1287f7d1580/Tuberculous-pleural-effusion-diagnosis-management.pdf
흉막 삼출 사진
https://ko.oldmedic.com/pleural-effusion
chest X-선 사진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jloveu2&logNo=220845519089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흉막삼출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흉막 [pleur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흉수 [pleura effusion]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21, 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통증관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1, 현문사, 2021, 활력징후
약학정보원, 의약품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안전 나라, 의약품 통합정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