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학생 학력 분석 및 문제점
1.1. 지도 대상 학년 및 수업 시수
지도 대상 학년 및 수업 시수는 다음과 같다.
3학년의 경우 1반~5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미분과 적분) 과목을 주 15시간 동안 지도하고 있다. 즉, 학급당 3시간씩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1.2. 전국연합 모의평가 학력 변화 추이 및 분석
1.2.1. 성적 변화의 특성
표준점수는 평균 105점대를 유지하여 전국 평균 대비 5점가량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백분위 평균은 60%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등급은 평균적으로 4.0에서 4.5대를 유지하고 있다"이다.
1.2.2. 성적 상의 문제점
상위권에 속한 학생들이 6월 모의고사부터 등급이 한 단계씩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수리 가형 선택 학생들의 경우 수학Ⅱ 과목과 미분과 적분 과목의 고난도 이해 관련 문제와 내적 문제해결 응용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적응력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수리 나형 선택 학생들의 경우 7월 모의고사에서는 성적이 많이 향상되었으나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적응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1.2.3. 내신 성적의 문제점
내신 성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상위권의 몇몇 학생들을 제외하면 내신 성적 관리에 소홀하다. 최상위권 학생들은 내신 성적을 잘 관리하고 있으나, 그 외의 학생들은 내신 성적 관리에 소홀한 경향을 보인다. 이는 내신 성적이 수능 준비와 직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향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학교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성적 변화가 심하며, 주관식(단답형, 서술형) 문제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진다. 학교 시험의 난이도나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성적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학생들이 주관식 문제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내신 성적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셋째, 내신 성적과 모의고사 성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부 학생들의 경우 내신 성적은 양호하지만 모의고사 성적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는 내신 공부와 수능 준비가 서로 연관성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학생 학습 방법 및 문제점
2.1. 학생 학습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학생 학습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선생님의 수업을 열심히 듣는 편이지만, 수업 내용에 대한 복습은 제대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습 대신 학원 수강, 인터넷 강의, EBS 방송 시청 등을 통해 선수학습을 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구체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1) 수업을 열심히 듣는 학생이 80%로 대부분이었지만, 2) 수업 내용을 시간을 내어 반드시 복습하는 학생은 42%에 불과했고, 나머지 학생들은 복습하지 않거나 가끔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복습 대신 학원, 인터넷 강의, EBS 방송 등을 활용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이들은 선생님의 수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수학 과목의 수능 영역 공부를 매일 하는 학생이 50%로 가장 많았지만, 거의 하지 않는 학생도 14%나 되었다. 5) 자율학습 시간에 수학 과목을 항상 공부하는 학생은 61%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는 잘 참여하지만, 복습이나 자율학습 시간에 수학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신 학원이나 개인과외 등을 통한 선수학습으로 수업을 대체하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수업 내용의 이해도가 부족하고 개념 학습보다는 문제 풀이에 치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2. 학생 학습 방법의 문제점 정리
학생 학습 방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충실히 복습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약 60%가 수업 시간 이후 복습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안 할 때가 더 많다고 답변하였다. 수학과 같이 개념과 원리가 중요한 과목의 특성상 복습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복습을 소홀히 하는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