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정책론 차별 주제 영화 드라마 책 선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애인 차별 사례
2.1. 영화 "도가니"에서 나타난 장애인 차별
2.2. 우리 사회의 장애인 차별 현황
3. 장애인 차별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
3.1. 법적 보호와 제도적 보완
3.2. 관련 종사자 인식 개선 교육
3.3. 장애인 인권 보호를 위한 감시 및 감독 체계 강화
3.4. 장애인 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장애인에 대한 차별은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 중 하나로, 도가니법 제정 이후에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2011년 개봉한 영화 '도가니'는 청각장애 학생들이 교사들로부터 성폭력과 학대를 당한 사건을 다루며, 장애인 인권 문제를 사회적으로 공론화시켰다. 그 결과 장애인에 대한 성폭력 처벌을 강화하는 '도가니법'이 제정되었지만, 최근의 사건들은 여전히 우리 사회가 장애인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장애인을 보호하고 지원해야 할 의무가 있는 사회복지사들마저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폭력을 일삼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보호 체계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났다. 이러한 현실은 도가니법이 제정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여전히 근절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다가온다. 이번 사건은 도가니법 이후에도 장애인에 대한 보호와 인권 보장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법적 장치가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여전히 일상에서 차별과 폭력을 경험하는 현실은 우리 사회가 진정으로 장애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도가니법의 한계와 그 이후의 변화를 분석하고, 장애인 차별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부족과 제도적 미비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장애인 차별 사례
2.1. 영화 "도가니"에서 나타난 장애인 차별
영화 "도가니"에서 나타난 장애인 차별은 청각장애 학생들이 교사들로부터 지속적인 성폭력과 신체적 학대를 당하는 끔찍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장애인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겪는 비인간적인 학대와 억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이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 영화는 장애인들이 사회적으로 얼마나 쉽게 차별받고, 그들의 인권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영화 "도가니"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부족과 법적 보호 장치의 미비를 고발하며, 이 사건을 계기로 '도가니법'이 제정되는 등 장애인 인권 보호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2. 우리 사회의 장애인 차별 현황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이 겪는 차별은 매우 복잡하고 다층적인 문제로,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차별은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하며, 그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정상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먼저, 교육 분야에서의 장애인 차별은 그들의 초기 성장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장애 학생들은 일반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적절한 교육 환경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러한 차별은 장애인 학생들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교육 기회를 누리지 못하게 하며, 이는 그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사회에서 겪게 될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킨다.
고용 분야에서도 장애인 차별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다. 많은 기업이 장애인 고용 의무를 회피하거나, 장애인을 고용하더라도 단순하고 저임금의 업무에만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장애인들이 자기 능력과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만들며, 경제적 자립을 어렵게 만든다. 실제로 많은 장애인들이 직장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거나, 승진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의료 서비스 접...
참고 자료
시설 장애인 감금·폭행한 사회복지사들, 한현묵, 세계일보, 2024.06.05,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605506793?OutUrl=naver
장애인 가장 많이 겪는 차별은 이동·대중교통, 김향미, 경향신문, 2023.02.24,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302241432001
도가니, 공지영, 창비, 2009
소위 ‘도가니법’(장애인 성폭력 관련법)의 내용, 의의, 과제, 황지성, 여/성이론(제26호), 266-276, 2012,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916850
장애인 차별금지 및 인권보장에 관한 담론 연구, 김지운,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3(5), 195-200, 2022, https://doi.org/10.15207/JKCS.2022.13.05.195
장애인 인권의 현황과 과제, 이병화, 장애인뉴스, 2017.11.22,
https://www.welvoter.co.kr/25635
SDGs 달성을 위한 장애인복지정책 현황 및 방향, 조윤화, 통계청
https://kostat.go.kr/boardDownload.es?bid=12301&list_no=418820&seq=1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차별해소방안,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4,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KWDI00020840&otpSeq=0&popup=P
장애인의 차별실태와 정책과제, 김성희, 보건복지포럼, 2015,
https://www.riss.kr/link?id=A103530714
서울시 사회복지시설의 장애인 인권침해 실태 : 타 시설 이용자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오문준, 장애인고등교육연구, 3(2), 1-29. 2024,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69630892
2021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건복지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3.02.2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4414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입법평가, 한국법제연구원, 2009,
https://www.klri.re.kr/kor/publication/802/view.do
편집부. (2020). 시사포커스 ① 미국의 인종차별, 불이 붙다. 「유레카」,(440): 132-135.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 기념대회 참가자. (2022). 2022년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 기념대회 선언문 인종차별은 폭력이다! 차별금지법 제정하라!. 「정세와노동」,(179): 165-166.
전준혁. (2018). 타자의 목소리 - 영화 <겟 아웃>으로 본 억압과 지배. 「기초조형학연구」, 19(5): 631-642.
김광순. (2023). 흑인대통령 시대의 탈인종적 환상과 자유주의적 인종차별?영화 <겟 아웃>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21」, 36(4):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