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감염관리 대처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에이즈(AIDS)의 정의와 특성
1.1.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1.2. AIDS(후천성면역결핍증)의 정의와 특성
1.3. HIV와 AIDS의 차이
1.4. AIDS의 발병 유래와 역사
2. HIV 및 AIDS의 감염 경로와 관리
2.1. HIV의 주요 감염 경로
2.2. HIV 감염 예방 및 관리
2.3. 의료현장에서의 감염 예방과 관리
3. HIV/AIDS의 진단 및 치료
3.1. HIV 진단 검사의 종류와 방법
3.2. AIDS 치료 방법
3.3. AIDS의 질병 현황 - 세계와 국내
4. AIDS 예방 및 교육 활동
4.1. 에이즈 퇴치 연맹의 예방교육 활동
4.2. 세계 에이즈의 날과 레드리본 캠페인
4.3. 에이즈 예방 뮤지컬과 에이즈 관련 책자
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와 대응
5.1.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
5.2.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방안
5.3. 간호사의 역할
6. 코로나19 관련 보건의료정책
6.1. 국내 보건의료정책
6.2. 국외 주요국 보건의료정책
7. 이태원 클럽 발 코로나 집단 감염의 문제점
7.1. 집단 감염의 특성과 문제점
7.2. 시대와 문화가 반영된 사회문제
7.3. 코로나 시대의 대응 방안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에이즈(AIDS)의 정의와 특성
1.1.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일컫는 말로, 영어 명칭인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머리글자를 딴 명칭이다. HIV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되며 사람의 몸 안으로 들어와서 면역세포를 파괴시키는 바이러스이다.
HIV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말해 주듯이 사람의 면역 기능을 약화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HIV에 감염되면 인체의 CD4+ T 림프구가 점차 감소하여 면역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각종 기회감염이나 악성 종양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HIV 감염 자체만으로는 증상이 없지만,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인 '에이즈 전 단계'를 겪게 되다가 결국 에이즈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HIV는 주로 감염된 사람과의 성 접촉, 오염된 주사기 사용, 수직감염 등을 통해 전파되며,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파되지 않는다. HI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 주사기 공동 사용 금지, 산모-태아 간 HIV 전파 차단 등의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1.2. AIDS(후천성면역결핍증)의 정의와 특성
AIDS(후천성면역결핍증)란 우리말로 "후천성면역결핍증"이라고 하며,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되어 발생한다. HIV에 감염되면 인체의 면역기능 중 세포성 면역에 관계되는 CD4+T 림프구가 주로 파괴된다. AIDS는 HIV에 감염된 후 인체 방어 면역력이 떨어져 건강한 사람에게 잘 나타나지 않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원충 또는 기생충 등에 의해 각종 감염성 질환이나 악성 종양 등 여러 합병증이 발생하는 상황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즉, 면역력이 저하되어 각종 기회감염이나 악성 종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이 에이즈의 핵심적인 특성이다. 한편,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HIV 감염인은 체내에 HIV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총칭하는 말로 병원체 보유자, 양성판정자, 에이즈 환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반면 에이즈 환자는 HIV에 감염된 후 병이 진행하여 면역결핍이 심해져 기회 감염 또는 종양 등 합병증이 생긴 환자를 말한다. 그러나 에이즈 환자나 증상이 없는 HIV 감염인 모두 다른 사람에게 HIV를 전파시킬 수 있다.
1.3. HIV와 AIDS의 차이
HIV와 AIDS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HIV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일컫는 말로, 영어 명칭인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머리글자를 딴 명칭이다. HIV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되며 사람의 몸 안으로 들어와서 면역세포를 파괴시키는 바이러스이다. 반면 AIDS(에이즈)는 우리말 명칭인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HIV에 감염된 후 인체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면역세포가 파괴되어 면역기능이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즉, 에이즈는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건강한 인체 내에서는 활동이 억제되어 병을 유발하지 못하던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병원체로 재활하거나 새로운 균이 외부로부터 침입, 증식함으로써 발병하는 일련의 모든 증상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HIV 감염인은 체내에 HIV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총칭하는 말로 넓게는 병원체 보유자, 양성판정자, 에이즈 환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에 비해 에이즈 환자는 HIV에 감염된 후 병이 진행하여 면역결핍이 심해져 기회 감염 또는 종양 등 합병증이 생긴 환자를 말한다. 그러나 에이즈 환자나 증상이 없는 HIV 감염인 모두 다른 사람에게 HIV를 전파시킬 수 있다.
즉, HIV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이며, AIDS는 HIV 감염으로 인해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1.4. AIDS의 발병 유래와 역사
현재 에이즈(AIDS)는 중앙 아프리카가 그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아프리카 푸른 원숭이가 HIV 바이러스와 매우 비슷한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앙아프리카에는 에이즈 감염자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현재의 관점에서는 아프리카 푸른 원숭이가 보유하고 있는 바이러스(SIV)가 돌연변이나 다른 변화를 일으켜서 인간에게 감염되었고, 그것이 중앙 아프리카에서 아이티, 미국, 유럽으로 또는 직접 유럽으로 전파된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가 가장 강하다.
에이즈(AIDS)는 1981년 미국 질병통제예방 센터(CDC)가 동성애자 집단에서 폐포자충폐렴과 카포시 육종과 같은 질환이 현저하게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고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에이즈는 주로 남성 동성애자, 특히 많은 성상대자를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나면서 에이즈를 유발하는 원인체가 성행위를 통해 전달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1982년 수혈을 받은 혈우병 환자와 주사용 마약 사용자에게서 에이즈 사례가 보고되면서 혈액이나 정액과 같은 체액을 통해 에이즈의 원인체가 전달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1983년에는 주사용 마약 사용자의 여성 성상대자에게서 에이즈 발생 사례가 2건 보고되면서 에이즈의 원인체가 남성에서 남성뿐 아니라 남성에서 여성으로도 전파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1984년 Montagnier 등이 환자의 림프절에서 레트로바이러스를 분리함으로써 원인 바이러스가 규명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국제바이러스분류학회에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라고 명명되었다. 이후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가 확실히 규명되었지만 정확한 발병 유래와 역사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가 진행 중이다.
2. HIV 및 AIDS의 감염 경로와 관리
2.1. HIV의 주요 감염 경로
HIV의 주요 감염 경로는 크게 성 접촉, 오염된 혈액 및 혈액제제 노출, 그리고 수직감염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성 관계를 통한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전파 방식이다. HIV 감염인의 정액, 질분비물, 혈액 등에 존재하는 HIV 바이러스가 성관계 중 감염되지 않은 상대방에게 전달되면서 전파가 일어난다. 성별로 볼 때, 적절한 콘돔 사용 없이 성관계를 가지는 경우 남자에서 여자로 전파되는 경우가 반대의 경우보다 8배 정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V 감염인과의 성관계 시 보통 1회 성관계 당 HIV 전파 확률은 0.01~0.1% 수준이며, 폭력에 의한 성관계의 경우 1% 정도까지 증가한다.
오염된 혈액이나 혈액제제에의 노출도 HIV 감염 경로가 될 수 있다. HIV에 오염된 혈액을 직접 수혈 받거나 감염인의 혈액을 원료로 생산된 혈청이나 혈액제제를 투여 받는 경우 감염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헌혈 혈액에 대한 사전 HIV 검...
참고 자료
박찬웅, ‘간호사를 위한 감염 이야기’, 의학서원, 2013
이문호, ‘AIDS : 정체와 실태에서 예방법까지’, 서음출판사, 1996
서울아산병원 감염관리실, ‘감염관리와 예방지침’, 군자출판사, 2009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지침서,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한미의학, 2006
김경혜, ‘AIDS에 대한 간호사의 예방적 감염관리와 취약성 인지정도’,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1
에이즈(HIV,AIDS) 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2016
에이즈 예방 포스터, 질병관리본부, 2016
에이즈 검사 포스터, 질병관리본부, 2016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HIV/AIDS의 기초, 질병관리본부, 2011
국내 HIV 감염인의 HIV/AIDS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권고안, 질병관리본부, 2014
한국 에이즈 퇴치연맹(http://www.kaids.or.kr/?r=main)
UNAIDS (http://www.unaids.org/en/resources/fact-sheet)
iSHAP (http://www.ishap.org/)
KHAP (http://www.khap.org/)
한국성교육센터(http://www.ksec.or.kr/)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549783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2108000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11945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7752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37257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000299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5&aid=000001726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2&aid=0000043118
https://www.youtube.com/watch?v=9yC7R5P-HtA
http://www.kaids.or.kr/?c=2/38/45
중앙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