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관상동맥우회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사례로 선택한 동기
2. 관상동맥 우회술(CABG)
2.1. 관상동맥이란?
2.2. 관상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2.3. 관상동맥 우회술의 목적
2.4. 관상동맥 우회술의 적응증 및 금기증
3. 간호과정
3.1. 자료수집
3.1.1. 개인력
3.1.2. 건강력
3.1.3. 과거력
3.1.4. 가족력
3.1.5. 영양력
3.2. 간호진단 및 중재
3.2.1. 비효율적 호흡양상
3.2.2. 심박출량 감소
3.2.3. 급성통증
3.2.4. 수술부위 감염
3.2.5. 불안
4. 수술 전 간호
4.1. 환자 사정
4.2. 수술 전날 환자 간호
4.3. 수술 당일 환자 간호
5. 수술 중 간호
5.1. 수술실 준비
5.2. 수술 부위의 피부 준비
5.3. 체위변경
5.4. 마취
6. 수술 후 간호
6.1. 마취 회복기 간호
6.2. 수술 후 병실 간호
6.3. 수술 후 합병증
7. 퇴원 시 간호(퇴원 계획)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장 근육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의 꾸준한 공급이 필요하다.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관상동맥이 이러한 혈액을 전달하는데, 이 동맥 한 개 이상을 좁히는 관상동맥 질환은 혈류를 차단하여 흉통(협심증) 또는 심장마비(심근경색증 또는 MI라고도 합니다)를 유발한다. 선진국에서는 관상동맥병이 남성과 여성 모두 주요 사망 원인으로, 모든 사망 중 약 1/3을 차지하는 질병이다. 관상동맥병 질환은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이라고도 말하며, 말 그대로 "동맥이 굳음"으로 동맥 벽에 지방 침착물이 형성되는 증상이며, 동맥 협착과 심지어 동맥 내 혈류 폐색으로 진행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 국민 중 48.7%(2018년)에 불과했고, 그렇기 때문에 사망률도 높다. 2018년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환자가 3만2000명으로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를 기록했다. 모든 질환이 그렇듯 관상동맥 질환도 예방이 최선이다. 따라서 관상동맥 질환을 가지고있는 대상자를 연구하여 문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간호 진단과 중재를 내려보면서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대상자에게 제공해야하는 간호는 무엇인지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1.2. 사례로 선택한 동기
지난학기동안 순환기 내과에서 실습하면서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내과적 문제에 대해 배울 수 있었기 때문에 이번학기는 흉부외과에서 실습하면서 관상동맥 질환의 외과적 치료에 대해 배우고 싶었다"" 관상동맥 질환자의 증상은 물론, 진단을 위한 검사, 수술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수술 전, 수술 후 간호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배울 수 있을 거 같아 □□님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2. 관상동맥 우회술(CABG)
2.1. 관상동맥이란?
심장 근육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의 꾸준한 공급이 필요하다.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관상동맥이 이러한 혈액을 전달하는데, 이 동맥 한 개 이상을 좁히는 관상동맥 질환은 혈류를 차단하여 흉통(협심증) 또는 심장마비(심근경색증 또는 MI라고도 합니다)를 유발한다. 관상동맥은 심장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혈관으로, 심장 근육 전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상동맥은 심장 근육의 생명줄이라고 할 수 있다"".
2.2. 관상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관상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이란 심장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협착되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은 심장의 혈관으로,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동맥이 협착되거나 막히게 되면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심장 질환이 발생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있다.
관상동맥 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다. 동맥경화증은 동맥 벽에 콜레스테롤, 지방, 칼슘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경화되는 현상이다. 이렇게 혈관이 좁아지면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게 되어 협심증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혈관이 완전히 막히게 되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협심증은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주로 운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와 같은 심장에 대한 부담이 증가할 때 증상이 악화된다. 심근경색증은 갑자기 극심한 가슴 통증이 발생하며, 때로는 호흡 곤란,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는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상태이다.
관상동맥 질환은 대표적인 만성 질환으로, 생활 습관 개선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금연,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등 생활 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하며, 약물 치료와 중재 시술, 수술 치료 등의 의학적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특히 협심증의 경우 관상동맥 확장제 등의 약물 치료와 함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아 혈관을 넓히는 치료를 받게 된다. 심근경색증의 경우 신속한 혈전용해술이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등의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관상동맥 우회술(CABG)과 같은 외과적 수술 치료를 받게 된다.
2.3. 관상동맥 우회술의 목적
관상동맥 우회술의 목적은 심장 근육에 충분한 산소 공급을 제공하여 증상을 완화 및 소멸시키고, 심장 돌연사를 예방하며, 증상의 재발을 방지하고 심장 기능을 향상시켜 환자의 운동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좌우 관상동맥의 주요 혈관 3개 이상에 70% 이상의 협착이 있거나 좌측 주관상동맥(LMCA)이 60% 이상 협착된 경우, 또는 PCI가 실패하거나 합병증이 생긴 경우, 지속적이거나 재발되는 협심증이 있는 경우 등에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여 심장 근육에 원활한 혈액 공급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증상 완화 및 소멸, 심장 기능 향상, 운동 능력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4. 관상동맥 우회술의 적응증 및 금기증
관상동맥 우회술의 적응증은 좌우 관상동맥의 주요 혈관 3개에 70% 이상 협착이 있는 경우, 좌측 주관상동맥(LMCA)이 60% 이상 협착된 경우, 좌심실부전이나 당뇨가 있는 경우, PCI가 실패했거나 합병증이 생긴 경우, 지속적·재발되는 협심증이거나 경색 후의 협심증인 경우 등이다.""
그에 반해 관상동맥 우회술의 금기증은 폐동맥 고혈압을 동반한 만성 심부전증과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예, 좌심실 구출율 20% 이하)인 경우이다.""이와 같이 관상동맥 우회술은 관상동맥의 심각한 협착이나 폐쇄, 또는 심부전과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반면 말기 심부전이나 심각한 좌심실 기능 저하 등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심장 근육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증상을 완화·소멸시키며, 심장 돌연사를 예방하고 심장 기능을 향상시켜 운동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관상동맥 질환의 증상 및 예후 개선을 위해 적응증에 해당하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3. 간호과정
3.1. 자료수집
3.1.1. 개인력
본 대상자는 68세 여성으로, 생년월일과 주소는 제공된 자료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종교와 보험 유무에 대한 정보 또한 확인되지 않는다. 경제 상태와 교육 정도 역시 명시되어 있지 않다. 입원 날짜는 3월 11일이며, 진단명은 'stable angina, ST segment elevation MI'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았다. 면담은 3월 11일에 진행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본 대상자의 개인력을 확인할 수 있다."
3.1.2. 건강력
대상자의 건강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3월 7일 심근경색으로 관상동맥 우회술(CABG)을 받았다. 대상자의 현병력으로는 stable angina, ST segment elevation MI, GB cancer, fungal sinusitis Rt, acute chelangitis with d CBD stone and IHD & EHD dilatation이 있었다. 대상자는 내원 15일 전부터 조이는 양상의 흉통 및 왼팔 저린감을 호소하여 방문한 기왕 병원에서 검사 상 관상동맥 협착이 발견되어 상급병원에서 CABG 수술을 받게 되었다. 대상자는 수술 후 전반적인 병원 ...
참고 자료
황옥남(2019).성인간호학(상권).현문사
송경애(2020).최신 기본간호학Ⅰ
성미혜(2019).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수문사
김성균, 이성호, 이선희, 송재준, 곽미정, 이희선, 임기정.(2017).어지럼 낙상 사고의 발생 유형 및 분석: 한국 3차 의료기관에서의 5개년간 분석
MSD 매뉴얼(https://www.msdmanuals.com/ko/)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아산병원 의료정보(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이병문.매일경제."가족력 있으면 더 신경써야"…심뇌혈관 질환 예방 9대 생활수칙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上』 (현문사, 2011)
이한기 외 『생리학』 (수문사, 2011)
김금순 외 『중환자 간호』 (군자출판사, 200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세브란스 심장혈과병원(2013). 심장혈관중재술실_검사 전 준비사항.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treatment/cardiovascular/view.asp?con_no=71312&page=&SearchField=&SearchWord=에서 2020.11.20. 인출
최신수술환자간호, 변영순 외, 2004 ,수문사
수술실환자간호, 윤혜상, 2004, 청구문화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관상동맥 우회술
HealthBreeze 헬스브리즈(2017). [시연용] c0234aako 관상동맥우회로술 안내(CABG수술) (13분 08초). https://www.youtube.com/watch?v=10vLFaFV1vA&t=0s&list=PLVMYKt08Uwy9eO7VU8X0EWpx4Cq5wRGHY&index=5&app=desktop에서 2020.11.16. 인출 - 영상
imagefact)2018). 관상동맥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1분 14초). https://www.youtube.com/watch?v=7GcQ09nogxc에서 2020.11. 16. 인출 - 영상
https://youtu.be/10vLFaFV1vA
윤은자 외 11명, 『아홉번째판 성인간호학Ⅰ』, 경기:수문사, 2019. 361-382
윤은자 외 11명, 『아홉번째판 성인간호학Ⅱ』, 경기:수문사, 2019. 768-769
고려대학교안암병원질병정보.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444&cPage=&DP_CODE=AACS&MENU_ID=004005.2020.11.15. 인출
서울아산병원 심장외과. 관상동맥질환. http://www.amc.seoul.kr/asan/departments/deptDetail.do?hpCd=D132&type=K&moduleMenuId=4425&contentId=3291에서 2020.11.16. 인출
메디포뉴스(2018). 심근경색, 부작용 · 위험성 낮은 관상동맥우회술 고려해야. http://www.medifonews.com/mobile/article.html?no=138592에서 2020.11.16. 인출
이영래(2006). 관상동맥 우회술 환자의 수술 전 중증도에 따른 수술 후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연세대학교. 1-101
전현정, 궁성수(2011). 당뇨병이 수술에 미치는 영향. 대한당뇨병학회. 12. 138-141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2007). 심장수술안내_관상동맥 우회술/심장판막수술. http://gs.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cardiology/disease/view.asp?con_no=15360에서 2020.11.16. 인출
손국희, 조광리, 김기봉(2006). 의식 있는 상태에서 경막외 마취를 이용한 심박동하 관상동맥우회술 : 초기경험. 대흉외지. 39. 598-603
메디컬업저버(2005). 부분마취로 관상동맥우회술 성공.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9에서 2020.11.16. 인출
삼성서울병원. 관상동맥우회술.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cardio&MENU_ID=001003009에서 2020.11.16. 인출
김명희 외 7명, 『성인간호 실무교육 수술환자 간호』, 경기:수문사, 2007. 40-42
변영순 외 9명 , 『최신 수술환자간호』, 경기:수문사, 2004. 230-238, 319-320
EBS 동영상 (2008. 11. 14.), 관상동맥 우회술
이영래, 2006, [관상동맥 우회술 , 수술 전 중증도 , 지각된 건강상태 , 건강관련 삶의 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2006, 관상동맥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관상동맥 우회술
성인간호학, 전시자 외, 2005, 현문사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2004, 수문사
성인간호학, 윤은자 외, 2019,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