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제 판매되는 여행상품 우수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행상품마케팅 7P 전략
1.1. 7P 전략 이론적 배경
1.1.1. 상품전략(Product)
1.1.2. 가격전략(Price)
1.1.3. 유통전략(Place)
1.1.4. 촉진전략(Promotion)
1.1.5. 과정(Process)
1.1.6. 물리적 근거(Physical Evidence)
1.1.7. 사람(People)
1.2. 아모레퍼시픽의 마케팅 믹스 전략 분석
1.2.1. 제품
1.2.2. 가격
1.2.3. 유통
1.2.4. 촉진
1.2.5. 과정
1.2.6. 물리적 근거
1.2.7. 사람
2. 관광정책론 연구 주제 및 방법
2.1. 코로나 사태 이후 새롭게 등장한 관광 형태
2.2.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2.3.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국내외의 대응 정책
2.4. 국내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의 실태
3. 쿠팡 기업 경영 분석
3.1. 쿠팡 기업소개
3.1.1. 기업 개요
3.1.2. 기업 선정 배경
3.1.3. 기업 연혁
3.1.4. 기업 매출액 분석
3.2. 쿠팡 기업 대표 서비스
3.2.1. 로켓배송
3.2.2. 리뷰어 신뢰도 시스템
3.2.3. 정기배송시스템
3.2.4. 로켓페이
3.3. 쿠팡 기업 분석
3.3.1. 쿠팡 마케팅 전략(4P)
3.3.2. 쿠팡 SWOT
3.3.3. 쿠팡 STP
3.3.4. Five Forces Model
3.4. 향후 전략 및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여행상품마케팅 7P 전략
1.1. 7P 전략 이론적 배경
1.1.1. 상품전략(Product)
상품은 마케팅 믹스(4P's)의 첫 번째 요소로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장에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상품전략은 마케팅 활동의 근거이며, 기업이 수익을 얻는 수단으로써 상품을 생산 판매하고 상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상품을 구매, 사용한다. 이러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기업의 목적을 달성시켜 주는 수단이자 고객과 기업을 연계시켜 주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상품은 유형재와 무형재, 산업재와 소비재로 구분되며 상표, 포장, 디자인, 보증, 고객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기업의 상품에서 우위는 우수한 품질과 같은 속성을 의미하며, 이는 전체 수출성과의 측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경쟁자들에 의해 쉽게 모방될 수 없는 요인이다. 따라서 상품은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마케팅 활동의 바탕이 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상품의 기본기능과 부가기능은 고객의 니즈(needs)에 맞게 특성을 고려하여 아이디어, 디자인 브랜드 네이밍, 타깃, 포장, 서비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등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상품믹스는 상품라인(produce line), 품목(item), 스타일(style)로 구성되며 이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상품구색이 만들어진다.
1.1.2. 가격전략(Price)
가격전략(Price)은 마케팅 믹스의 핵심요소로, 상품의 가격설정에 관한 것이다. 가격은 소비자가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하며,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결정은 기업체의 최고 경영층과 마케팅 부서장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복잡한 의사결정 사항 중 하나이다. 가격은 품질과 더불어 전통적으로 소비자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실제적으로는 기업이 책정한 가격 내에서 구매하는 한정적 의미도 있다. 따라서 가격은 상품의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소비자가 구매여부를 결정하는데 기본적인 고려요인이 된다.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의 가격은 해당 서비스의 품질과 수준을 나타내는 증거로 이용되고 있다. 이은형(2003)의 연구에 따르면 같은 가격 수준이라 할지라도 여러 소비자에 의해 다른 수준으로 지각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가격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개념으로, 유사 비교 상품 등에 의해 평가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중국 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화장품 가격은 유통경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한국 내 가격과 비슷한 중저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중국 시장 진출 초기 비용회수와 고급 이미지 구축을 위해 고가 전략을 지양하고, 소비자들이 수긍할 수 있는 합리적인 가격대를 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적극 홍보하여 가격에 대한 합리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한편, 중국 시장에서는 메이크업 제품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가격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 여성 소비자들은 메이크업 제품보다 기초화장품을 더 중요하게 여기므로, 기초화장품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게, 메이크업 제품은 낮게 책정하는 전략을 취한 것이다.
이처럼 가격전략은 상품의 가치와 품질을 반영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지불 의향을 고려해야 하는 매우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이다. 기업은 시장상황과 소비자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차별화된 가격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1.1.3. 유통전략(Place)
유통전략(Place)은 상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방법과 경로에 관한 전략이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시기에 편리한 장소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계획된다. 유통은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사회적 과정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인격적·장소적·시간적 차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통전략은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우수한 품질의 상품을 생산하더라도 이를 적절한 유통 경로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면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 유통믹스는 주로 입지와 시설 및 편의성으로 대변될 수 있는데, 입지는 소매기업이 사업을 영위하는 점포의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소매업은 입지산업이라 할 만큼 입지의 중요성이 크므로, 좋은 입지를 선점한 점포는 성공할 확률이 높다.
유통믹스의 또 다른 요소인 시설 및 편의성 전략은 소매점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경쟁이 아닌 서비스경쟁, 고객만족을 위한 편의시설을 통한 경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편의점들이 고객 편의시설을 확충하거나 매장 인테리어를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적절한 유통전략은 기업의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며, 입지 선정과 편의성 제고 등을 통해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기업은 고객들이 원하는 시기와 장소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1.1.4. 촉진전략(Promotion)
촉진전략(Promotion)은 고객들에게 자사의 상품을 알리고 고객들이 자사의 상품을 선택하게 하려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며, 광고, 인적판매, 판매촉진, 공중관계(PR)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촉진의 목적은 정보를 제공하고,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설득하며, 최종적으로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주어 구매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서비스 기업은 기존고객뿐만 아니라 잠재고객에게도 서비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린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통해서 받은 혜택이 무엇인가를,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알려야 한다. 고객을 설득한다는 것은 경쟁브랜드가 아닌 자사의 상품을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만족과 효용을 얻을 수 있음을 고객이 깨닫게 하는 것을 말한다.
촉진의 하위개념인 판매촉진은 소비자에게 또는 중간상에게 어떤 특정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조기 또는 다량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대개 단기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설계된 다양한 마케팅 기법들로 구성되어있다. 미국 마케팅협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가 내린 정의에 의하면 판매촉진은 인적판매, 광고, 홍보 등을 제외한 마케팅 활동으로서, 고객의 구매나 유통업자의 효율을 자극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판매 촉진은 홍보와는 다른 것으로 고객이나 중간상에게 상품을 구입하도록 설득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진출 시 TV광고, 포털사이트 메인 광고, 지하철 및 버스 광고 등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하였다. 또한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자체적으로 운영하여 타 기업에 비해 SNS를 이용한 광고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타 기업인 11번가와 함께 제휴를 맺어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며, 유명 연예인을 광고 모델로 내세워 대중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하였다.
이처럼 촉진전략은 기업이 자사의 상품을 고객에게 알리고 고객들의 구매를 이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특히 서비스 기업의 경우 기존고객과 잠재고객 모두에게 서비스 이용 방법과 혜택을 명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시장 진출 시 대중매체 광고와 함께 SNS, 제휴 마케팅 등 다양한 촉진수단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진출을 이뤄낼 수 있었다.
1.1.5. 과정(Process)
서비스는 하나의 과정을 통해 생산되고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만족을 증대하기 위한 서비스 생산 및 전달시스템 설계가 대단히 중요하다. 아울러 고객이 생산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적정한 서비스 전달 단계의 수와 고객들의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고 또한 고객들이 서비스 품질을 느끼게 되는 서비스 접점관리(service encounter)가 강조된다.
1.1.6. 물리적 근거(Physical Evidence)
물리적 근거(Physical Evidence)는 서비스가 무형적이기 때문에 고객들이 서비스 품질을 느끼게 해주는 유형적 단서를 의미한다. 서비스 기업들은 고객들에게 서비스 품질을 인식시키기 위해 물리적 근거를 활용한다.
물리적 근거에는 실내 온도, 조명, 소음, 색상 등의 주변적 요소와 서비스 매장의 공간적 배치와 기능성, 표지판, 상징물과 조형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물리적 근거는 고객과 종업원들의 인지적, 정서적,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결과적으로 외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내 매장 디자인에 있어 한국의 미와 동양의 미가 돋보일 수 있도록 공간과 제품을 진화시켰다. 160여곳의 설화수 매장과 제품 용기는 강렬한 색감과 화려한 장식을 통해 중국 고객들의 취향을 고려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한율 브랜드의 경우 로고 디자인까지 변화를 주어 차별화를 도모했다.
이처럼 아모레퍼시픽은 물리적 근거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중국 고객들의 선호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는 단순히 제품 자체뿐만 아니라 매장, 포장, 디자인 등 서비스 전반에 걸친 물리적 환경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친환경 소재 사용 등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물리적 근거 전략도 주목받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참고 자료
안동규, 마케팅개론, 두남, 2016
이정학, 관광마케팅, 기문사, 2019
에릭스 강, K-뷰티, 해외시장이 답이다, 북마크, 2019
전영식, 마케팅의 꽃 세계의 10대 화장품 회사, 키메이커, 2015
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1-04,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 진단과 정책대응 방향 https://www.kcti.re.kr/web/board/boardContentsView.do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전염병 확산에 따른 관광수요 변화와 대응방안 –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2020 http://www.ekta.kr/?act=board&bbs_code=sub3_3&bbs_mode=view&bbs_seq=203
이미혜, 2022, 메타버스 기반 한국관광공사 관광 콘텐츠 사례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vol.79 pp 335-34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35550
김성환, 2021, ‘한국관광 100선’을 통한 관광자원 특성 변화 분석, 국토리지학회지, 제55권 3호 pp355-36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63413
홍민정·오문향, 2020,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 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사)대한관광격영학회, vol.35 pp47-6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2890
[네이버 지식백과] 소셜커머스 - 오늘 하루만 반값 할인 (용어로 보는 IT)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344&cid=59088&categoryId=59096
뉴스워커, 염정민 기자, 2017-12-08
[유통의 호랑이] 김범석 쿠팡 대표...1부 ‘성장’독특한 이력과 과감한 투자성공」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847
세계뉴스, 김정환 기자, 2017-11-30, 「쿠팡, 매출 신기록 퍼레이드」
http://www.segye.com/newsView/20171130002336
시크뉴스, 2013-12-13, 「쿠팡, 짝퉁 논란부터 허위광고까지 ‘다사다난’」
http://fashion.mk.co.kr/view.php?no=1279158&year=2013
한국경제, 김용준 기자, 2017-06-12 「‘감동의 실종’...쿠팡의 위기는 거기서 시작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3780506
매경이코노미, , 2017-12-04 「매출 3조 돌파, 투자금 고갈... 기대, 우려 교차하는 쿠팡」
http://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17&no=80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