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
2.1. 현행 영유아교육과정의 체계
2.2.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
2.3.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의 구체적인 예시
2.3.1. 교육 목표
2.3.2.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2.3.3. 교수학습 방법
2.3.4. 평가
3.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3.1. 자유놀이의 개념 및 의의
3.2.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3.3.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예시
3.3.1. 개방적 놀이재료
3.3.2. 점토 놀이
3.3.3. 놀이 확장을 위한 교사 개입
3.3.4. 역할 놀이에서 TBC 적용의 예
3.3.5. 유형별 놀이 개입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1세기 들어 교수학습의 방법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가 주요 원인이다. 과거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참여를 강조하고, 학습 환경을 다양화하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교육의 형태를 크게 바꾸어 놓았으며, 학습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유연한 학습 환경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플립러닝, 블렌디드 러닝, 문제 중심 학습(PBL), 그리고 맞춤형 학습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들은 전통적인 교육과 달리 학습자 중심의 접근법을 강조하며,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플립러닝의 경우, 학생들이 수업 전에 학습 자료를 미리 공부하고, 수업 시간에는 토론과 문제 해결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인다. 블렌디드 러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을 결합하여 학습자에게 다양한 학습 경로를 제공한다. 문제 중심 학습은 학생들이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을 습득하게 하는 방식으로,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들은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육 현장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2.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
2.1. 현행 영유아교육과정의 체계
영유아교육과정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유아교육과정에서 행하는 교육과정이다. 모든 단계의 교육이 대상자의 발달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은 특히 개인의 개별성과 개인차에 따른 발달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영유아교육과정은 대체로 넓은 의미의 발달 목적에 근거한 영유아교육과정과 보다 세부적인 목표에 초점을 둔 영유아교육과정으로 구분된다.
영유아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영유아의 행복한 삶을 위한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야 하며 영유아들이 바람직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하고 행동의 올바른 변화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목표이다. 출생에서부터 초등입학 전까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영유아교육의 효과를 위해 부모의 참여가 요구되므로 영유아뿐만 아니라 부모까지도 포함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와의 연계를 강조하므로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영유아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영유아교육은 무엇을 가르치는가 하는 내용과 어떻게 가르치는가 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영유아교육의 내용은 영유아의 관심과 욕구를 반영하여 영유아들이 흥미를 가져야 하며,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도움이 되거나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유의미한 것이어야 한다. 영유아교육의 방법은 영유아의 수준과 발달에 적합한 방법이어야 하고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뿐만 아니라 이에 적합한 환경이 제공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유아의 발달 수준과 함께 각 개별 영유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개별화되면서도 통합적인 교육방법으로 접근한다.
2.2.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참여를 강조하고, 학습 환경을 다양화하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플립러닝, 블렌디드 러닝, 문제 중심 학습(PBL), 맞춤형 학습 등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학습자 중심의 접근법을 강조하며,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예를 들어 플립러닝에서는 수업 전 학생들이 사전 학습을 하고, 수업 시간에는 토론과 문제 해결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블렌디드 러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을 결합하여 학습자에게 다양한 경로를 제공한다. 문제 중심 학습은 실제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을 습득하게 하는 방식으로,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이러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은 학습 참여도 및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 따르면 플립러닝을 도입한 수업에서 학습 성취도가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15%가량 높아졌으며, 블렌디드 러닝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율을 20% 이상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구현하고, 학습자의 다양성을 고려하며, 학습의 유연성을 확대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2.3.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의 구체적인 예시
2.3.1. 교육 목표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에서는 내러티브 사고방식으로 지식을 구성하고 생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는다. 내러티브 사고는 인간 마음의 본질이며, 의미를 구성하고 거기에 기초하여 자아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아에 대한 이야기를 만드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의 목표는 앎에 머무르지 않고 삶의 실천이 되어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 내러티브에 기반한 영유아교육의 목표는 내용적으로는 이야기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경험과 삶의 모습, 개인과 사회의 모습을 통해 간접체험을 확장해 나가는 것을 포함한다. 영유아들은 이야기 속의 내용과 자신의 삶을 비교하기도 하고 거기에서 자신의 삶을 형성해 가는 요소를 발견해 갈 수 있다. 이야기는 살아있는 간접 경험으로써 직접 경험으로 전이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영유아는 경험의 폭을 확장해 갈 수 있는 것이다."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수-학습에서는 내러티브 사고방식으로 지식을 구성하고 생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는데, 이는 인간 마음의 본질인 내러티브 사고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자아에 대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교육의 목표는 앎에 그치지 않고 삶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하므로, 내...
참고 자료
이영애 유준호(2024). 영유아교수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Bredekamp, S. (2017). Effective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uilding a Foundation (3rd ed.). Pearson.
Gordon, A. M., & Browne, K. W. (2019). Beginnings & Beyond: Found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1th ed.). Cengage Learning.
Edwards, C. P., Gandini, L., & Forman, G. E. (2011).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Experience in Transformation (3rd ed.). Praeger.
동명대학교, 변윤희, 유아 사회교육, 2022
https://inno.tu.ac.kr/em/623bf97a2b92c
부산광역시 육아종합지원센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실제 2, 2021
https://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common/DownloadBoardFile.jsp?BBSGB=50&BID=87216&ATCHMNFLSEQ=1
교육부, 보건복지부, 놀이이해자료 ,2019
https://www.jccic.or.kr/2018/down/2019_%EA%B0%9C%EC%A0%95_%EB%88%84%EB%A6%AC%EA%B3%BC%EC%A0%95(%EB%86%80%EC%9D%B4%EC%9D%B4%ED%95%B4%EC%9E%90%EB%A3%8C).pdf
이영애 유준호(2024). 영유아교수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영옥 (2020). 유아교육과정. 경기: 공동체.
강현석 (2022). 내러티브 기반 지식교육의 대전환. 서울: 학지사.
교육부‧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 자료. 세종: 교육부.
엄나현‧강현석 (2023). 내러티브 모형에 기반한 유아 놀이 활동 중심 단원 개발. 인격교육.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이정금‧임부연 (2018). 교사의 상상력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 관한연구. 유아교육연구.
김명순․조항린․이영신(2013). 보육교사의 놀이 신념과 자유놀이 참여시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고 선(2022). 개방적 놀이재료(Loose Parts) 기반 어린이집 2세반 영아의 놀이 양상과 교육적 의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미란(2021).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원장의 경험과 의미 탐색.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