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아심폐소생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아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소아 심정지의 특성
1.2. 소아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2. 영아(0-1세)의 기본 소생술
2.1.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2.2. 영아의 심폐소생술 방법
2.3. 일반인의 영아 심폐소생술
3. 소아(1-8세)의 기본 소생술
3.1. 소아 심정지의 주요 원인
3.2. 소아의 생존 사슬
3.3. 소아 기본 소생술 절차
3.3.1. 환자의 안전 확인
3.3.2. 반응 확인 및 신고
3.3.3. 호흡 확인
3.3.4. 가슴 압박
3.3.5. 인공호흡
4. 소아의 제세동기 적용
4.1. 구조자에 따른 제세동기 사용
4.2. 소아 제세동 에너지 용량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아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소아 심정지의 특성
소아 심정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에 비해 소아 심정지의 원인이 다양하다. 소아에서는 심실세동에 의한 심정지보다 호흡부전이나 쇼크 등으로 인한 질식성 심정지가 더 흔하다. 즉, 성인과 달리 소아 심정지의 상당수가 예방이 가능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둘째, 소아 심정지 환자의 5~15%에서만 심실세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아 심정지 환자는 제세동 처치보다는 기본 소생술, 특히 인공호흡이 더욱 중요하다.
셋째, 소아 심정지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한다. 하지만 소아가 심정지에 빠지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소아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넷째, 소아의 기도와 폐는 성인에 비해 작고 취약하기 때문에 호흡 관리와 인공호흡이 보다 어렵다. 또한 소아는 성인에 비해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에 더욱 취약하다.
이처럼 소아 심정지는 성인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보건의료 현장에서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1.2. 소아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소아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은 성인과는 구분되는 몇 가지 특징으로 인해 더욱 강조된다. 첫째, 소아의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이 심장 질환이 아닌 호흡부전이나 패혈증 등으로 인한 질식성 심정지라는 점이다. 따라서 소아에서는 성인과 달리 인공호흡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소아 심정지 환자의 5~15%가 심실세동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 경우 제세동이 매우 중요한 치료 방법이 된다. 마지막으로 소아는 성인에 비해 심정지의 발생 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의료진들이 경험 부족으로 인해 소아 소생술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소아 심폐소생술의 적절한 수행은 소아 환자 생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영아(0-1세)의 기본 소생술
2.1.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영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은 영아 사망의 39%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이다. 이는 생후 6개월 이내의 영아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남아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고 겨울철에 주로 발생한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영아가 엎드려 자거나 분유나 이유식을 먹고 바로 잠들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아 돌연사 증후군이 발생하는 경우 현장에서의 신속한 심폐소생술 실시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나 주변인들이 당황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아 돌연사 증후군 발생 시 즉각적인 심폐소생술이 매우 중요한데, 영아의 입과 코 주변의 구토물을 깨끗이 제거하고 가슴 압박(심장...
참고 자료
Coulter 외(2016), Africa Health, Vol.38 Issue4, p.36-37
장원경 외(2015), 제6부:소아 전문소생술, 대한응급학회지 제27권 제4호
제상모(2015), 분당차병원 소아응급실, youtube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DCDjCxDx54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소아전문소생술
2020년+한국심폐소생술+가이드라인
영아돌연사증후군과 응급심폐소생술(2019.11.14)
http://www.withinnews.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97&item=&no=20382
응급간호, 병원 및 병원 전 처치 - 수문사, 이은자 외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