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 질 향상 논문 5"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료 관련 감염의 전파 경로와 예방
1.1. 의료 관련 감염의 정의 및 발생 현황
1.2. 의료 관련 감염의 전파 경로
1.3. 의료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한 표준주의 지침
1.4. 의료진의 휴대전화 오염과 감염 전파
2.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 관련 감염관리 활동
2.1.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인지도, 안전환경 및 수행도
2.2.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관리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수행도
2.3. 의료 관련 감염관리 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의료 관련 감염 관리
3.1. 의료 관련 감염 발생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3.2. 의료기관 규모와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 향상 전략
3.3. 의료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한 기본 원칙과 행동 계기 향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료 관련 감염의 전파 경로와 예방
1.1. 의료 관련 감염의 정의 및 발생 현황
의료 관련 감염이란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감염으로, 원인균이 주로 병원 내에서 전파되어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이러한 의료 관련 감염은 다양한 근원으로부터 획득한 미생물이 환자의 피부나 점막을 통하여 침범하여 환자의 면역력을 넘어서면 발생한다.
의료 관련 감염이 발생하면, 치료를 위하여 재원 기간이 길어지고 직간접적으로 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주어 사망에 이르게 하기도 하며 결과적으로 의료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간호서비스의 질도 낮아지게 된다.
의학과 의료 기술의 발전 및 고령화로 인하여 이전보다 면역 기능이 저하되고 다양한 기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도 적극적이고 침습적인 치료를 하게 되면서 의료 관련 감염 발생의 위험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실제로 국내 입원환자의 낙상 발생률은 연 입원 환자 1,000명당 3.87건, 연인원 1,000명당 0.55건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환자안전법이 시행된 2016년 7월부터 2017년 9월을 기준으로 1,522건(49.7%)의 낙상사고가 발생하여 약물 오류 857건(28.0%)과 검사사고 194건(6.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료 관련 감염은 현대 의료 현장에서 매우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환자의 예후와 의료 비용 상승뿐만 아니라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의료 관련 감염의 전파 경로
의료 관련 감염의 전파 경로는 주로 직간접적인 접촉, 공기나 비말을 통해서 전파되며 그 외에도 오염된 물이나 음식, 투약 등을 통해서 전파되는 경우도 있다"" 폐결핵, 수두, 홍역은 공기 전파가 가능한 대표적인 감염이며 인플루엔자, 백일해, 수막알균 감염은 비말 전파가 가능한 감염의 예이다"" 또한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성 미생물의 전파 경로에 따른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를 질환에 맞추어 잘 적용해야 할 뿐 아니라 모든 환자에 적용되는 표준주의, 즉 손 위생과 기침 에티켓 그리고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노출 우려 시 적절한 개인 보호구를 착용하는 기본 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흔히 환자 간의 전파를 통해서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에 노력해야 할 뿐 아니라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해외 유입 신종 감염병에 대해서도 격리 원칙 및 개인 보호구 착탈의 지침을 갖추고 평시에 잘 훈련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1.3. 의료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한 표준주의 지침
표준주의는 감염성 미생물 감염 혹은 보균 여부에 관계없이 의료기관내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되는 주의로서 의료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하여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표준주의에는 손 위생, 기침 에티켓,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경우 일회용 가운과 장갑, 고글이나 안면보호대와 같은 적절한 개인 보호구의 착용 등의 원칙이 포함된다.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성 미생물의 전파 경로에 따른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를 질환에 맞추어 잘 적용해야 할 뿐 아니라 모든 환자에 적용되는 표준주의, 즉 손 위생과 기침 에티켓 그리...
참고 자료
황지혜 외(2010),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균형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6권 제1호, No.1, 27-37p
정명실(2013), 「낙상예방교육이 내과병동 노인 환자의 낙상 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0권 제2호, 102-111p
심송미⦁김은하⦁이미애(2019), 「간호ㆍ간병 통합병동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낙상예방교육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3권 제2호, 200-213p
김상희 외 (2017), 「요양병원 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낙상예방활동」, 노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81-91p
김윤숙(2013),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위험 요인 및 낙상 위험도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74-82p
김민우 외. "흉통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심전도 촬영 소요 시간에 대한 응급벨 제도의 효과."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20.1 (2014): 12-24.
박경현 외. "NIHSS 활용을 통한 뇌졸중 환자 간호의 질향상 전략." 한국의료QA학회지 15.2 (2009): 73-81.
박민경.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 관련 요인”.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QI 우수사례, 대한병원협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v.36 no.4 = no.308 , 2007년, pp.96 – 10
QI 우수사례, 대한병원협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v.36 no.2 = no.306 , 2007년, pp.94 – 103
정두련. 2018. “의료 관련 감염의 전파 경로와 예방”. 대한내과학회지. 제93권 제4호 통권 제683호
김재석 외. 2010. “의료진의 휴대전화에서 분리된 의료관련감염 병원균”.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제15권 제1호 007
심미경. 2019.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관련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지식, 인지도, 안전환경과 수행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1). 425-435
최은영, 송민선, 2019. “중소병원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감염관리 수행 영향 요인“. 병원간호사회. 임상간호연구 제25권 제3호. 303-313
문정은, 송미옥. 2017. “병원간호사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지침 수행에 관한 융합연구-계획된 행위이론(TPB) 기반”.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117-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