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간주의(인본주의, 휴머니즘)의 개념과 가치
인간주의(인본주의, 휴머니즘)은 인간의 존엄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인간의 존재를 중요시하며 인종, 민족, 국가, 종교 따위의 차이를 초월하여 인류의 안녕과 복지를 꾀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사상이나 태도이다. 이는 모든 인간이 자율적인 인격체이자 최종 목적이므로 동등하게 존중받아야 하며, 국가 또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주의가 중요한 이유는 인간만이 이성에 기초하여 인식하고 행동하며 스스로의 삶을 만들어가는 유일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인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자유롭게 개성을 신장하고 최소한의 물질적 삶을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가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국가의 근본 이념이자 존재 이유가 된다.
그러나 항상 인간주의가 실현되는 것은 아니며, 한국에서도 과거 정치, 사회적 상황을 통해 인간주의 가치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테블릿 사건, 미국의 인종차별 사건, 세월호 사건 등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무시되었고, 이는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새 정부의 "사람이 먼저다"라는 슬로건, 포항 지진 사태 등을 통해 인간에 대한 존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의 모든 활동은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영화 "마리안느와 마가렛" 감상문
2.1. 소록도와 한센병에 대한 이해
소록도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섬으로, '사슴 모양'을 닮아 '소록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일제강점기 때 한센병의 전염을 막고 치료한다는 명분아래 한센병 환자들을 강제로 소록도에 격리 수용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죄인처럼 살았으며, 강제노역을 해야 했고, 자식을 낳을 수 없도록 불임시술을 받아야 했다. 또한 가족들과 강제로 분리되어 만날 때도 떨어져서 오직 눈으로만 만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소록도 한센병 환자들은 몸과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었다.
한센병은 나균에 의해 전염되는 병으로, 신경계 합병증으로 인해 손과 발의 감각이 둔해져 화상 등의 상처를 입기도 하고 심각한 피부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약물 치료만으로도 완치가 가능한 질병이며 전염성도 적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에는 전염병이라는 인식이 강해 한센병 환자들을 강제로 격리시켰던 것이다.
이처럼 소록도는 한센병 환자들이 고통받았던 장소였으며, 그들은 편견과 차별 속에 살아가야 했다. 하지만 이러한 암울한 역사 속에서도 마리안느와 마가렛은 한센병 환자들을 편견 없이 사랑하며 헌신적으로 간호해왔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2.2. 마리안느와 마가렛의 삶
마리안느와 마가렛의 삶은 한센병 환자들을 위해 40여 년간 헌신한 오스트리아 출신의 간호사들의 이야기이다. 두 사람은 출신은 달랐지만 1952년 인스부르크 간호학교에서 만나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두 친구는 병들고 힘든 자들을 위해 평생 봉사하겠다는 소망을 갖고 있었다.
1962년 마리안느가 먼저 전남 고흥의 소록도를 찾았고, 4년 후 마가렛도 뒤를 따랐다. 처음에는 5년 정도만 돕는 것이 계획이었지만 공식적인 파견기간이 끝난 뒤에도 소록도에 남아 40여 년간 한센인들의 상처와 아픔을 어루만지며 헌신적이고 이타적인 삶을 살았다.
전염 우려 때문에 당시 우리나라 의료인들조차 한센병 환자를 기피했지만, 마리안느와 마가렛은 환자들의 환부에 코를 대고 냄새를 맡고 맨손으로 피고름을 짜내며 상처를 치료했다. 또한 소록도에 갇힌 한센병 환자의 생일이 되면 손수 구운 빵과 함께 생일을 축하해줄 정도로 환자들을 위해 진정한 봉사와 헌신을 하였다.
그녀들의 이러한 모습은 환자뿐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들까지 변화시켰다. 마스크를 쓰고 환자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