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hemocytometer의 사용법과 이를 이용한 세포 수 계산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포 배양 실험
1.1. 실험 목적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세포 배양
1.2.2. 세포 배양의 필요조건
1.2.3. 세포의 성장 및 증식
1.2.4. 세포 수 계산
1.3. 실험 재료 및 장치
1.3.1. 실험 재료 (도구)
1.3.2. 실험 재료 (시약)
1.4. 실험 방법
1.5. 실험 결과
1.6. 논의 (고찰)
1.7. 참고문헌
2. 마우스 종양 세포 4T1(동물세포) 배양 실험
2.1. 서론
2.2. 실험 목적
2.3. 실험 재료 (도구)
2.4. 실험 과정
2.5. 실험 결과
2.6. 논의 (고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포 배양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일정량의 세포 부유액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부유액에 있는 세포 수를 현미경으로 측정하고 단위 부피당 세포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세포 배양
세포 배양이란 동물이나 식물로부터 채취한 세포를 인위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을 말한다. 세포배양은 모든 세포생물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실험 방법이다. 세포배양은 다세포 생물의 세포를 기본 배지에서 증식시키는 것으로, 단세포 생물과 달리 세포 증식을 위해서는 특정 증식 인자가 필요하다.
세포배양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실험실 내에서 세포를 대량 증식시켜 실험 재료로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세포의 특성과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것이다. 세포배양은 세포의 성장, 분화, 노화 등의 다양한 생명현상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고 실험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새로운 의약품 개발, 암 연구, 줄기세포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세포배양은 주로 단층 배양(monolayer culture)과 부유 배양(suspension culture)의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단층 배양은 세포가 배양 용기의 바닥에 부착하여 증식하는 방식이고, 부유 배양은 세포가 배지 내에 부유한 상태로 증식하는 방식이다. 각 방법은 세포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세포배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적절한 배양액의 사용이다. 배양액은 세포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세포의 생리적 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합성 배지에 혈청 등의 세포 증식 인자를 첨가한 배지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혈청 성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혈청 배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세포배양에서 오염 방지도 매우 중요하다. 세포를 무균적으로 다루고 배양액과 배양 용기의 멸균을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배양 과정 전반에 걸친 온도, pH, 습도,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물리화학적 환경 조절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세포의 최적 증식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요약하면, 세포배양은 동물이나 식물의 세포를 실험실 환경에서 증식시키는 기술로,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연구 도구이다. 세포 증식을 위한 적절한 배양액 사용과 무균적 환경 유지가 세포배양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1.2.2. 세포 배양의 필요조건
세포 배양의 필요조건은 다음과 같다.
수분 조절은 세포 배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세포 증식을 위해서는 세포 배양액의 수분 함량이 적절해야 한다. 수분 함량이 70% 이상으로 많으면 유해균의 증식이 활발해지고, 70% 이하로 적으면 유효균과 유해균 모두 제대로 증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세포 배양 시에는 세포 배양액의 수분 함량을 70%로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기 유통도 세포 배양에 필수적인 조건이다. 대부분의 세포와 미생물은 호기성이기 때문에, 충분한 공기 유통이 이루어져야 원활한 증식이 가능하다. 실험 시 재료의 배합 비율을 조절하여 공기구멍을 내는 등의 방법으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해주어야 한다.
온도 또한 세포 배양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유효미생물은 주로 40도 이상의 고온에서 왕성하게 증식하는 반면, 유해미생물은 40도 이하의 저온에서 활발히 증식한다. 따라서 세포 배양 시에는 40도 이상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 유효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양분 공급도 세포 배양에 필수적이다. 미생물들은 질소 성분을 주된 영양분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세포 배양액에 질소 성분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처럼 세포 배양을 위해서는 수분 조절, 공기 유통, 온도 관리, 영양분 공급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수 조건들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세포의 성장과 증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2.3. 세포의 성장 및 증식
세포는 시간에 따라 특정한 성장 곡선을 그리며 증식한다. 세포 배양 과정에서 관찰되는 세포의 성장 및 증식 양상은 크게 4단계로 나뉜다.
첫째, 유도기(lag phase)이다. 세포를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면 세포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세포 증식이 관찰되지 않는다. 세포는 새로운 배양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효소 단백질들을 합성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둘째, 증식기(log phase)이다. 세포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 세포질의 합성 속도가 빨라지고 세포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이 시기에 세포의 생리적 활성이 가...
참고 자료
Harris 분석화학, 제 10판, 자유아카데미, Daniel C. Harris
세포배양노트, 월드사이언스, 정출이헌
정출이헌(井出利憲),”세포배양노트”, 국내서 단행본, 월드사이언스, 2001 (p.9~78)
장선일 김강주,”세포학 및 면역학 실험노트= Practical of cell biology and immunology”, 국내서 단행본, 익산: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6 (p.15~100)
정재명. "무혈청 배지에서 transferrin 대체 성분 첨가에 따른 CHO-DG44 세포별 배양 특성."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