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정치를 위해 나는 무엇을 할것인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시민정치를 위해 나는 무엇을 할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민참여와 기획가의 역할
1.1. 시민참여의 개념과 필요성
1.1.1. 시민참여의 개념
1.1.2. 시민참여가 필요한 이유
1.1.2.1. 행정부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필요성
1.1.2.2. 의회의 관료에 대한 의존적 경향
1.1.2.3. 정책의 대응성 부재의 해소
1.2. 시민참여에서 기획가의 역할
1.2.1. 기획의 참여 주체
1.2.2. 기획가는 누구인가
1.2.2.1. 비정치적-기술적 기획가 역할
1.2.2.2. 은밀한 활동가의 역할
1.2.2.3. 명시적 활동가의 역할

2. 시민사회운동에 대한 인식 변화와 발전 방향
2.1. 시민사회운동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한계
2.2. 시민사회운동의 역할과 중요성
2.3. 시민사회운동의 발전 방향
2.3.1. 정치 양극화 해소와 공론장 활성화
2.3.2. 시민사회단체의 독자적 지위 확보 및 활용

3. 새로운 시민사회운동 기획: 반려동물 보호 운동
3.1. 문제 제기: 품종견의 건강 문제
3.2. 운동의 목적: 비품종견 입양 확대
3.3. 운동 전략
3.3.1. 품종견 건강 문제에 대한 정보 제공
3.3.2. 비품종견 입양 경로 구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민참여와 기획가의 역할
1.1. 시민참여의 개념과 필요성
1.1.1. 시민참여의 개념

시민참여의 개념은 학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역사회 차원에서 정부와 기업, 시민단체가 공사 구분 없이 협력하고 참여하여 지역의 정책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맥코넬은 "기획가, 시민, 정치인이 지속적으로 쌍방향 대화를 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며, 시민참여가 가능하려면 기획가가 필요하고 시민의 참여가 정치적인 참여임을 강조한다. 즉, 시민참여란 시민들이 의사결정과정(주로 정책 결정상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유인과 특혜가 필요하다. 대의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시민들은 정치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위임하고 있기 때문에, 시민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당근과 채찍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1.1.2. 시민참여가 필요한 이유
1.1.2.1. 행정부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필요성

행정부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필요성은 오늘날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의 재량권이 확대되면서 행정국가화 경향이 두드러져 행정의 거대한 권력을 의회나 사법부 같은 다른 국가 기관에서 감시하고 견제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삼권분립이 비교적 잘 지켜졌고, 세 개의 기관 사이에 상호 견제가 가능했지만 오늘날에는 행정국가화의 경향으로 입법부와 사법부에 비해 행정부의 권력이 압도적으로 커진 상황이다. 국민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민주적 정당성이 가장 큰 것은 입법부의 의원이지만, 이들은 행정부 소속의 공무원들과 비교하면 비전문적인 데다가 4년에 한 번씩 선거를 통해 선출되기 때문에 이들의 활동은 불안정하다. 이에 반해 공무원들은 공무원이 되기 위한 시험을 통과한 자들이어서 행정에 대한 이해가 대단히 높은 사람들이며, 대체로 수십 년 동안 안정적으로 근무하기 때문에 그들이 직업적으로 알게 되는 지식과 경험도 의원에 비해 풍부하다. 전문성의 측면에서 행정부의 공무원은 입법부의 의원을 압도한다. 더군다나 오늘날 시민들의 행정에 대한 수요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데다가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행정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행정국가화의 경향은 필연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국가기관이 행정부를 효과적으로 견제하지 못하게 되면서 행정부의 대항마로 떠오른 것이 시민들이다. 왜냐하면 행정은 국민의 필요에 의해, 국민을 위해 활동하기 때문이다. 공무원은 국민에게 봉사하는 자이며, 따라서 시민이야말로 행정의 권한이 크든 작든 행정을 견제하고 이들을 억제할 수 있는 권한과 권리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

둘째, 정부 부처와 공무원들의 전문성과 경험이 의회 의원들을 압도하면서 의회는 정부에 의존하게 되었다. 국민이 선출한, 시민들의 대표기관인 의회는 오늘날 그들이 선거에서 내세운 선거공약을 실현에 옮기기 위해서는 주로 제도나 정책을 시행해야 하는데, 제도나 정책을 실행하는 것은 행정부이다. 행정부가 예산을 배분하고 집행해야 비로소 의원들의 공약을 실현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의원이 투표에서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이들이 내세운 공약이 얼마나 실현되었느냐가 매우 중요한데, 이 공약 실현 여부에 대한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 관료들이다. 따라서 오늘날 의회는 관료에게 의존하고 관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시민들은 그들이 선출한 의원들이 추진하는 공약을 실제로 실현하는 주체인 행정부에 대해서 적절하게 압력을 행사해서 공약이 실현되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이처럼 행정의 권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행정부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과거 삼권분립 체제 하에서 행정부가 의회와 사법부에 의해 견제되었다면, 오늘날에는 시민들이 행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해야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행정은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므로, 국민인 시민들이 행정부를 감시하고 견제함으로써 행정의 민주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2.2. 의회의 관료에 대한 의존적 경향

대의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시민들은 정치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그들이 선출한 의원에게 위임하고 있다. 그런데 국민이 선출한 의회는 제도나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주로 행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 의회가 투표에서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기 위해서는 그들이 내세운 공약이 실현되었느냐가 중요한데, 이 공약 실현 여부에 대한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 관료들이다. 따라서 오늘날 의회는 관료에게 의존하고 관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의회가 행정부를 효과적으로 견제하지 못하게 되면서 행정부의 권력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1.1.2.3. 정책의 대응성 부재의 해소

대의민주제 하에서 선거를 통해 제시된 정책들은 시민들의 이해관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대응성의 문제가 있다. 시민들은 그들 스스로가 원하는 바를 요구하기 위해서...


참고 자료

김상민.2023.4.16.거버넌스의 이해 1. 조직 내 진정한 민주주의의 구현. ESG경제
류영아.2013.시민참여 활성화 영향요인 연구.지방정부연구 17권 제2호.pp.317-338.한국지방정부학회
박상훈 엮음. “양극화된 정치,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2020.12.31. 국회미래연구원 연구보고서. 20(28). pp. 24~26
현재 대한민국에서 약 604만 가구가 반려견을 키우고 있다고 한다(황원경, 손광표. 2018 반려동물보고서. KB금융그룹).
황원경, 정귀수, 김도연. 2018 반려동물보고서. KB금융그룹
이영제.〈한국 민주주의 수준과 국가의 품격〉.《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6.05.13(http://www.kdemo.or.kr/blog/report/post/1230/2019.12.09)
이래경 다른백년 이사장.〈한국의 현재 정치구조는 완벽한 실패작이다〉.《프레시안》. 2019.02.19(http://www.pressian.com/news/article/2019.12.09)
이지영.〈한국의 민주주의? 순위 올랐지만 여전히 ‘결함이 있는 민주주의’〉.《중앙일보》. 2018.01.31(https://news.joins.com/article/22335524/2019.12.09)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확립〉.《대한민국역사박물관》. (https://www.much.go.kr/L/mff5dL3JOy.do/2019.12.0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