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암 간호과정, 위암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1.1. 대상자 정보
1.2. 주호소 및 현병력
1.3. 과거력 및 가족력
2. 질병 개요
2.1. 위암의 정의 및 발생
2.2. 위암의 증상 및 징후
2.3. 위암의 진단적 검사
3. 치료 및 관리
3.1. 약물 요법
3.2. 수술 요법
3.3. 합병증 및 예방
4. 간호 사정
4.1. 불안
4.2. 영양 불균형
4.3. 피로
5. 간호 과정
5.1. 불안 관리
5.2. 영양 불균형 관리
5.3. 피로 관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요
1.1. 대상자 정보
61세 남성 환자의 대상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환자는 61세 남성으로, 아내와 단둘이 살고 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며, 교육수준은 대졸이다. 직업은 공인중개사이다. 과거력으로 고혈압 10년, 당뇨병 10년의 병력이 있으며, 가족력에서는 고혈압이 있다. 흡연력은 없다.
1.2. 주호소 및 현병력
주호소 및 현병력은 다음과 같다.
위암 2기(adenocarcinoma) 진단받았으며, 최근 3개월간 식욕부진이 심해지고 음식 섭취가 힘들어졌다고 한다. 3개월 동안 4.5kg의 체중 감소를 경험했다. 위내시경 검사 결과 위암 2기(adenocarcinoma) 진단을 받았으며, 3주 전 부분 위절제술(subtotal gastrectomy)과 위공장연결술(gastrojejunostomy)을 시행하였다. 금일 수술 후 1일차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입원하였다고 한다."
1.3. 과거력 및 가족력
과거력 및 가족력은 다음과 같다""
Lt.urter stone: ESWL (2016.12, 포항세명기독병원)로 치료받았으며, LSO d/t Tubal rupture (2005, 포항이종학산부인과)로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알레르기는 없으며,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았다" 부모님의 경우 아버지는 고혈압이 있으나 어머니에게는 특이 질병력이 없다""
2. 질병 개요
2.1. 위암의 정의 및 발생
위암(Gastric Cancer)은 원칙적으로 위에 생기는 모든 암을 일컫는 말이지만, 주로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한 위선암(adenocarcinoma)을 말한다. 위선암(adenocarcinoma)은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암세포의 모양에 따라 다시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암으로, 발생률은 남자의 경우 전체 암 발생자 중 약 20.3%로 1위를 차지하고 여자의 경우 10.7%로 3위를 차지한다.""
2.2. 위암의 증상 및 징후
위암은 초기 증상이 없어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아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다"이다. 초기 증상으로는 막연한 소화불량, 조기 포만감, 식욕부진, 오심, 피로, 상복부 불편감 등이 있다. 환자는 궤양 통증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주로 식후에 나타나고 제산제로 완화되지 않는다. 암이 위의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암이 위의 유문부 근처에 있다면 연하곤란을 느끼고, 위문부 근처에 있다면 폐색증상이 생길 수 있다. 질병이 진행될수록 체중감소와 악액질 등이 동반된다. 위 점막의 병변이 침식되어 궤양이 발생하면 출혈로 인한 빈혈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이다.
2.3. 위암의 진단적 검사
위암 진단을 위한 주요 검사 방법에는 내시경 검사, 상부위장관 조영술, 컴퓨터단층촬영(CT)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등이 있다.
내시경 검사는 가장 정확한 위암 진단 방법으로, 내시경을 통해 위 점막을 직접 관찰하고 생검을 시행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내시경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병변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자세히 기록하고 조직 검사를 시행한다. 조직 검사 결과 암으로 확진되면 병기 결정을 위한 추가 검사를 시행한다.
상부위장관 조영술은 환자가 조영제를 삼킨 후 X선 촬영을 하는 검사로, 위장관 내 병변의 위치, 크기, 형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내시경 검사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주로 내시경 검사를 보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컴퓨터단층촬영(CT)은 위암의 병기 결정을 위해 필수적인 검사이다. CT를 통해 위암의 침윤 정도, 주변 장기 침범 여부,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진행성 위암의 경우 CT가 매우 유용하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은 대사 활성도가 높은 암세포를 포착하여 병변의 위치와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이다. PET-CT를 시행하면 해부학적 정보와 기능적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위암의 병기 결정에 도움이 된다.
종합하면, 위암 진단을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와 함께 CT, PET 등의 영상 검사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각각의 검사법은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면 위암의 정확한 진단과 병기 결정이 가능하다.
3. 치료 및 관리
3.1. 약물 요법
약물 요법은 위암 치료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
참고 자료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Ⅰ, 제9판, 수문사.
박은영 외 공역,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 2014, 김재호, 이담북스
성인간호학Ⅰ, 2012, 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임상간호와 영양, 2013,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
국제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 메디컬, 2019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8판), 수문사, 2017.
김덕희, 최은숙, 『조기위암 환자의 유문보존 위 절제술 후 발생한 위 정체 증후군의 간호중재』, 종양간호연구, 17-4, p.264-269, 2017.
약학정보원, 약물백과, 2021.
양인준, 김동욱, 지예섭, 『위 절제술 후 발생하는 초기 빈혈의 위험인자』, SURGICAL METABOLISM AND NUTRITION, 10-1, 2019.
정욱진, 『심초음파의 기본 해석』, 2018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p.424-444, 2018.
Selami Ilgaz Kayilioglu 외 5, 『Postoperative fluid management』, World J Crit Care Med, 4-3, p.192-20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