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주배경청소년 한국어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2.1.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
2.2. 다문화 수용성 제고의 필요성
3. 다문화 교육의 현주소
3.1.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3.2.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
4.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
4.1. 다문화 교육의 정의 및 목표
4.2.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지원 방안
4.3. 일반 학생들의 다문화 이해 교육
4.4. 상호문화교육의 도입
5.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한 교육 방안
5.1. 언어 지원 방안
5.2. 학습 및 진로 지원
5.3. 심리·정서적 지원
6. 다문화 가정의 형태 변화와 맞춤형 지원
6.1. 다문화 가정 형태의 다변화
6.2. 다문화 가정 유형별 지원 방안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국내에 15년 이상 장기 정착한 결혼이민자가 증가하면서 2021년 기준 다문화가족 자녀의 수가 29만 명에 이르는 등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향후 5년간 다문화가족 정책을 이끌어갈 다문화 가족 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여성가족부 장관은 다문화가족의 아동‧청소년이 학교생활 부적응 등으로 동일 연령대의 청소년보다 학력 격차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며 그 부분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향후 5년간의 다문화가족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장관은 그동안은 결혼이민자들의 초기적응을 지원해 주기 위해 통번역 및 한국어 교육 등이 중점이었지만 이제는 영유아기 자녀 양육지원에 중점을 두고 다문화가족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2.1.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
한국 사회는 급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한류의 열풍으로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하고, 경제성장으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기회의 땅이라고 불리며, '코리안 드림'을 위해 자국을 떠나 많은 인원이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유학생들과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생활 함에 있어 그들에게 한국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그리고 한국인과 혼인하여 정착하고 살아가는 결혼이주자들에게 한국어는 생존을 위해 필요한 언어가 되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다문화 혼인 건수는 전체 혼인 대비 7.2%를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19년 10.9% 대비 감소하였지만, 급격하게 감소하는 한국인 간 혼인과 경제적 어려움과 기타 문제로 혼인을 포기한 청년들의 실상을 볼 때 다문화 혼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할 것이다. 실제로 박시균 외(2021)는 다문화가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의사소통이라고 말하며, 현재 결혼이주여성들은 대부분 한국어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입국하고 있고, 그 이유는 배움의 여건이 마련될 수 없는 국가에서(동남아시아) 주로 오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러한 이유로 거주하며 가정 폭력과 부부 갈등으로 인해 국제 이혼에 이르고 있다. 이런 부족한 한국어 능력은 결혼이주여성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자녀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국 이주 배경을 떠나 한국에의 생활을 선택한 외국인들에게 한국어 능력은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2.2. 다문화 수용성 제고의 필요성
다문화 수용성이란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태도, 가치관, 행동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국민 다문화 수용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2018)'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은 52.81점으로 2012년(51.17점), 2015년(53.95점)과 비교해 미비한 발전에 그쳤다. 반면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은 71.22점으로 2015년(67.63점)과 비교할 때 상승하였다. 이는 학교 내 교육의 효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성인들의 다문화 수용성이 낮은 수준이다. 이는 선주민과 이주민 사이의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정책적 반발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이해 교육이 중요하다. 2021년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의 다문화 교육 참여율은 53.6%로 2018년 대비 20%p 이상 증가하였고, 다문화 교육 참여자의 수용성 점수가 미참여자보다 2.38점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다문화 교육은 국민 다문화 수용성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부는 다문화 수용성 개선을 위해 연령 및 대상별 맞춤형 다문화 이해교육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서로를 존중하고 공존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3. 다문화 교육의 현주소
3.1.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은 다문화가정 자녀(학생)의 사회 조기 적응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교육부(2021)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다문화 교육의 대상과 세부 과제들을 "다문화가정 자녀(학생)의 사회 조기 적응"에만 집중하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단기간에 급속한 변화하면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무시한 채 추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준비 없는 정책 추진은 선주민들이 이주민들에 대해 특혜성 지원, 우대정책이라는 프레임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어 사회적으로 정책적으로 선주민이 반발을 가질 우려가 매우 크다. 실제로 최근에도 한국 사회 내 다문화 정책에 대해 반발적 표현이나 역차별이라며 문제를 제기하고 반다문화 정서를 매스컴으로 내보내며 사회적 이슈가 일어나기도 했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을 적용하고 실시하면서 국민 다문화 수용성 높여야 한다. 또한 다문화 사회에서 미래 주축이 되어 성장할 한국의 청소년 전체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문화와 실태에 맞는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교육이 고...
참고 자료
교육부 (2021).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세종: 교육부.
김미진, 김경은, 임정하 (2019).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 척도개발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2(1), 21-45.
김미향(2018). 다문화가정 자녀 한국어교육 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광주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시균 외(2021). 다문화·다문화가정·한국어교육 8년간의 인식변화 연구(2013-2021), 집문당.
민무숙 외 (2010). 한국형 다문화 수용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사회통합위원회 연구보고, 9.
여성가족부(2021).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다문화정책과.
임지혜, 박봉수 (2013). 지역 기반 다문화 체험교육의 의미와 실제: 인천시 남동구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10(1), 207-232.
염태근(2021).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교과 통합형 다문화 교육 방안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4(4). pp. 29-54.
윤인진, 송영호 (201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23(1), 143-192.
통계청(2022).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Christine I. Bennett (2007).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김진호⋅신인순⋅김옥순 역 (2009). 다문화 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Duane E. Campbell (1999). Choosing Democracy: a practical guide to multicultural education. 김영순⋅오영훈⋅이미정 역 (2012). 민주주의와 다문화 교육: 다문화 교육을 위한 실천적 가이드, 경기: 교
James A. Banks (2007b).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모경환⋅최충옥⋅김명정 역 (2016). 다문화교육 입문,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