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다국적기업의 개념과 특징
1.1. 다국적기업의 정의
다국적기업이란 "본국에 본사를 두고 동시에 하나 이상의 국가, 즉 다른 나라의 법과 관습에 따라 운영되는 기업"이다. 브룩과 리머스는 다국적 기업을 "적어도 두 국가에서 주요 경영 활동을 수행하고 생산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정의하며, 이러한 정의는 "두 개 이상의 국가에 대한 가장 넓은 정의"라고 설명한다. Masonrooger는 다국적 기업에 대해 "(1) 복수의 국가에서 영업하고 (2) 연구개발 및 제조 활동을 통해 투자 국가에서 GNP 성장에 기여하고 (3) 복수의 국가에서 관리하며 (4) 복수의 국가에서 소유한다"는 네 가지 요건으로 정의한다. 즉, 다국적 기업은 여러 국가에 걸쳐 생산, 투자, 유통 활동을 하는 국제적인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1.2. 다국적기업의 일반적 특성
다국적기업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국적기업은 경제 발전의 다른 단계에서 두세 국가에서 경영 활동을 수행한다. 즉, 일부 기업은 경제 발전이 빠른 국가에서 다른 일부는 경제 발전이 더딘 국가에서 경영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둘째, 다국적기업은 R&D, 생산, 영업 및 서비스와 같은 경영 전략에 대해 포괄적이고 통합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통합된 경영 활동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셋째, 다국적기업은 해외 법인의 운영에 현지 시민을 참여시킨다. 이는 현지화를 통해 효율적인 경영을 하기 위함이다.
넷째, 다국적기업은 다국적 본부를 설립했으며, 다국적 경영 협의 및 조정 기구는 일반적으로 각국에서 임명된 외국인 전문가 또는 본사 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통합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섯째, 다국적기업의 주식은 서로 다른 국적의 사람들이 분배하고 소유한다. 이는 기업의 소유권이 다국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다국적기업은 다양한 국가에 걸쳐 경영 활동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통합적이고 현지화된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다.
2. 다국적기업의 해외진출 사례
2.1. 미원의 인도네시아 진출 사례
미원은 1978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조미료 중간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동부 자바 그라시치에 쌀가루 공급과 하천 및 항만 인프라를 갖춘 공장을 설립하였다"" 당시 인도네시아 시장은 일본기업 아지노모토와 대만기업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시장 육성을 위한 정부 인허가부터 마케팅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미원의 진출을 가로막았다"" 그러나 미원 인도네시아는 창업 5년 만에 10%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고, 1980년대 이후 30%의 시장점유율을 달성하여 현지 양념시장 분업에 성공하였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지 40년이 지난 현재 미원 인도네시아는 매출 1000억원, 순이익 1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어 해외 시장인 인도네시아에서 성공기업으로 불리고 있다""
2.2. 현대자동차그룹의 해외진출 사례
현대자동차그룹(Hy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