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 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문화가족의 등장과 증가
1.2.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1.3.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다문화가족의 문제점
2.1.1.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
2.1.2.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부적응
2.1.3. 경제적 어려움
2.1.4. 가정폭력 문제
2.2.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 방안
2.2.1. 자녀 출산 및 양육 지원
2.2.2. 취업 및 경제적 지원
2.2.3. 문화 이해와 적응을 위한 교육
2.2.4. 가정폭력 예방 및 대응
2.2.5. 다문화 가족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
2.3.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의 효과성 및 개선 방안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정부와 지역사회의 역할
3.3.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문화가족의 등장과 증가
국내 이주민의 유입배경은 저 출산, 고령화, 전통적 남아선호사상에서 비롯된 남녀성비 불균형으로 인해 미혼남성이 늘어나고 국내에서 배우자를 찾지 못한 남성들이 국제결혼을 선택하면서 시작되었다. 다문화가족이란 국제결혼을 통해 결합한 가정, 서로 다른 종족 간에 이루어지는 가족공동체, 국내거주 국제결혼가정, 이주노동자가정, 새터민 가정을 포함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가정 또는 가족을 말한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 현황(2016-2020년)은 전체 인구 대비 2016년 3.96%에서 2019년 4.87%로 매년 증가하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3.93%로 감소하였다. 2019년 말 기준 국내 체류외국인은 2,524,656명으로 전년대비 32.9%증가하였다. 체류외국인 (2016-2020년)을 국적별로 살펴보면 한국계 중국인을 포함한 중국이 44%(894,906명)를 차지하고 있으며, 베트남 10.4.%(211,243명), 태국 8.9%(181,386명), 미국 7.2%(145,580명), 우즈베키스탄 3.2%(65,205명) 순이었다. 국적별 결혼이주민 여성의 현황((2008:2018)은 베트남(38.2%), 중국(22.1%), 태국(9.4%)순으로 나타났다.
1.2.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단일민족에 대한 자부심과 타문화 배척의식이 약화되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 한국사회는 단일민족에 대한 자부심이 강했고 외국인과의 문화적 차이를 배척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민자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이제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둘째, 외국인 배우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개선되고 있다. 과거에는 외국인 결혼이민자를 "돈을 목적으로 한 위장결혼"으로 여기는 등 부정적인 편견이 강했다. 그러나 점차 이들이 한국사회에 정착하고 가정을 이루면서 이러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이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이해의 폭도 넓어지고 있다"."
1.3.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다문화가족 현상을 파악하고, 다문화가족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적·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이들이 겪는 문화적 부적응, 자녀의 사회부적응, 경제적 어려움, 가정폭력 등 다양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다문화가족의 문제점
2.1.1.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은 다문화가족이 겪는 첫 번째 문제점이다. 결혼이주 여성들이 한국생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이 바로 문화적인 부적응에 따른 문제이다. 특히 한국인인 남편들이 외국인인 아내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부부 간 문화적 갈등을 자주 겪고 있다. 남편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 또한 외국인 아내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주여성에게 일방적으로 한국의 문화를 강요하고, 정작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화적 이질감에서 오는 외국인 아내의 소외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들의 언어적 문제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갈등의 골이 깊어지기도 한다. 원활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면 서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게 되고, 외국인 아내들이 한국 사회와 가정에 적응하는 데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2.1.2.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부적응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부적응은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우리나라 사회가 빠르게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변모해가는 과정 속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외모의 차이, 언어습득의 지체, 학습부진, 또래 집단에서의 이탈 등으로 인해 교육적·정신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언어적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엄마로부터의 학습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유아기에 정상적인 언어습득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이로 인해 이들은 친구들과 원활히 어울리지 못하고 학교생활에도 부적응하는 등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극심한 정체성의 혼란과 정신적인 질환으로 번지는 심각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관심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
참고 자료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 자료
여성가족부
00남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00광역시 통계간행물 통계연보
손은영(2020).강원도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오혜정(2020).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다문화가족 정책개선 연구,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정용균(2020).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베트남·캄보디아 출신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8권 제2호 (2020년 2월),p.127-138
박애란, 정미희, 김정애, 체첵델게르(2018).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인권복지연구, 제20호,77~111쪽, 전체 35쪽
위인백(2011).인권과 사회통합관점에서 본 여성결혼이민자 관련법, 한국콘텐츠학회, 2011,vol,11, no.5,pp.317-327(11pages)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시민권과 사회통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vol.7,no12, 통권38호pp.459-467(9pages),예술인문 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 , 목원대학교
이민·다문화 학생을 위한 학교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방향 - 사회 통합 프로그램 분석을 기초로 하여, 한국윤리학회,2013,vol.1,no90,pp.227-256(30pages) 윤리연구, 동국대학교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리포트 (http://www.happycampus.com/doc/5070344/)
행복한 결혼과 가정ㅣ고정자·전효정 공저ㅣ형설출판사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경안일보
통계청
장성군다문화지원센터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018
문성식 외, 다문화가정의 이해 (결혼이민가정의 가정폭력, 자녀왕따, 학습부진). 이담북스, 2012.
진창현, 다문화가정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집문당, 2015.
송윤선, 다문화가족복지와 상담, 공동체,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