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질적연구논문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적 연구 조사
1.1. 질적 연구 조사의 정의 및 개요
1.2. 질적 연구의 접근법
1.2.1. 문화기술지(ethnography)
1.2.2. 근거 이론(ground theory)
1.2.3. 현상학(phenomenology)
1.2.4. 사례 연구(case study)
1.3. 질적 연구의 방법
1.3.1. 면담(interviews)
1.3.2.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1.3.3.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1.3.4.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2. 논문 분석 보고서
2.1. 연구 목적 및 내용
2.2. 질적 연구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2.3. 인터뷰 대상자 및 질문 내용
2.4. 연구 결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질적 연구 조사
1.1. 질적 연구 조사의 정의 및 개요
질적 연구 조사는 사회과학에서 사회적 실재의 객관성을 인정하면서도 객관화, 수량화할 수 없는 내용 자료를 중심으로 비수학적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방법이다. 양적 연구 방법이 주로 사회 현상을 객관화시키고 수량화시켜 의미를 찾고 결론을 도출하여 재생 가능성을 갖는 과학적 자료를 통한 해석을 하는 반면, 질적 연구 방법은 수집된 자료가 갖는 "의미"에 집중하는 조사론이다. 또한, 질적 연구는 현상에 대한 거시적 인과관계와 현상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접근하기 용이하지 않은 근본적인 현상들을 조사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연구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양적 연구 방법과는 달리 질적 연구는 재현성을 갖지 못하므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의미를 도출함에 있어 연구의 신뢰성을 엄격하게 판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2. 질적 연구의 접근법
1.2.1. 문화기술지(ethnography)
문화기술지(ethnography)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대표적인 인류학적 접근법이다. 연구자가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자연적 상황(natural settings)에 직접 들어가 참여하며 경험하고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부 고전적인 인류학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마을이나 부족 마을에 직접 거주하며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과 관습, 전통 등을 연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기술지 방식은 연구 대상의 삶과 맥락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자가 직접 대상의 삶 속에 참여하여 관찰하기 때문에 표면적인 정보를 넘어서 내재된 의미와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연구 대상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연구자 자신의 편견을 최대한 배제하고 객관적인 관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기술지 연구는 장기간에 걸쳐 수행되어야 하며, 연구자 개인의 편견이나 영향력이 개입될 수 있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또한 일반화하기 어려운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어 이론 구축이나 실천적 활용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문화기술지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특정 집단이나 커뮤니티의 고유한 삶의 양식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적합한 질적 연구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단순한 관찰을 넘어 해당 문화나 집단의 내적 논리와 맥락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2.2. 근거 이론(ground theory)
근거이론은 지속적인 비교, 그로부터 도출된 이론(근거이론)이다"."
근거이론은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서 이론을 도출하고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론을 만들어 나간다"."예를 들어 자신의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분류하여 이론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근거이론은 기존의 이론적 개념과 모델에 의지하기 보다는 현장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이론을 구축하는 것이 특징이다"."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하고 개념화하여 이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1.2.3. 현상학(phenomenology)
현상학(phenomenology)은 어떤 사회 현상에 대한 본질을 탐구하는 질적 연구의 접근법이다. 이 연구 방법은 주로 직관과 해석에 의해 결론이 도출...
참고 자료
홍경준 (2002). 한국 사회복지학계 연구방법론의 동향. 비판사회정책 , (13), 13-32.
최지영 (2012). 근거이론의 개념과 연구방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미옥 (2003).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 한국사회복지학, 55-81.
김인숙 (2011). 근거이론의 분기: Glaser와 Strauss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 2.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2007, 478쪽
박옥희,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2020, 310쪽
“질적 연구기법”,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10. 30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 『사회복지조사론』, 2018. 08. 30, file:///F:/10.%20사회복지조사론[자료집].pdf, 2020. 02. 26
조미영, 황지윤, 『질적연구조사를 통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의 영양불량 원인 규명』, 『대한영양사협회』, No.1, 2019, 59쪽
조운희 저,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2015
황성동 저,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15
황창순, 김형수, 노병일 외 2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2014
김영종 저,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07
2019년 서울시 사회복지사 근로실태 결과 및 개선의견 정책토론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