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나의 학업 계획과 실천 전략
1.1. 나의 학업 목표
나의 학업 목표는 각 과목을 잘 수강하여 무사히 졸업하는 것이다. 나는 상담심리학 전공으로 평생교육을 복수전공하고 있다. 이번 학기에는 교육학개론과 사회복지정책론, 임상심리학, 자기주도학습전략, 아동상담론을 수강하고 있다. 먼저 각 과목의 지식을 제대로 습득하는 것이 첫째 목표이며, 과제를 빠짐없이 하는 것이 둘째 목표이다. 일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물론 정신이 여간 없는 것이 아니지만 학업을 다시 시작한 것은 그러한 노력을 감안한 것이기 때문에 마땅히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2. 2020년 1학기 학습활동 성찰
2020년 1학기에는 이론적인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배웠다. 예를 들어 교육학개론 수업에서는 교육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교육이란 무엇인지, 교육 이론가들의 다양한 이론들을 배웠다. 이처럼 이론적인 부분을 배우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이론적 기반 없이는 실제적인 부분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마치 나무의 뿌리가 튼튼하지 않으면 폭풍에 쓰러지듯이, 교육에 있어서도 이론적 기반이 탄탄하지 않다면 실제 적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1학기에는 이론을 중점적으로 공부하면서 각 과목의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교육학개론, 임상심리학, 아동상담론 등의 과목에서 해당 분야의 이론가들과 주요 개념들을 집중적으로 배웠다. 이를 통해 교육과 심리학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또한 과제 수행을 통해 배운 내용을 직접 정리하고 발표하는 경험을 가졌다. 과제는 단순히 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내용을 익히고 습득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대학 교육은 고등학교와 달리 자율성이 강조되기 때문에, 지식을 수동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탐구하고 구성해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과제 수행을 통해 배운 내용을 내 말로 정리하고 발표하는 것은 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처럼 1학기에는 이론적 배경을 충실히 쌓는 데 주력했다. 이는 실제적인 적용과 실습에 앞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실습을 하거나 실제를 배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그 바탕에 이론적 지식이 탄탄히 깔려 있어야 한다. 이론과 실제가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어야 비로소 질 좋은 교육과 봉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3. 학기별 학습목표와 전략 설정
나는 그동안의 학기동안 이론을 중점에 두고자 노력했다. 물론 실제적인 내용을 어서 배우고 싶었으나 그것들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이론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앞으로 배울 내용은 보다 실제적인 내용이다.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배우는 것이다. 그것은 나에게 새로운 세상이기에 기대가 많이 된다.
복수전공을 하고 일도 하면서 바쁘지만 학업에 대한 열정은 시간이 갈수록 더해가고 있다. 나는 앞으로 올 학기의 학습목표를 내가 그동안 배운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실제적 상황에서 잘 적용하는 것으로 삼았다. 이론이 실제에 적용되지 못한다면 그것은 이론 없이 실습이나 실제적인 배움을 받는 것과 다름없다. 그것은 지난 나의 학업적 노력을 나 스스로가 배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는 이번학기 열심히 배운 이론적 지식들을 후반기에 배울 실제에 적용해가면서 배우려고 한다.
배운다는 행위가 교육을 '받는'입장에서 이뤄지는 행위로 꽤 수동적인 느낌이지만 내가 주체적으로 배우고자 한다면 가르쳐주시는 것 이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따라서 나의 전략은 실제적인 이론을 배울 때 이것이 어느 이론인지, 어떤 이론가가 한 말인지를 옆에 함께 적어가며 공부를 하고자 한다. 또한 어떤 진단평가 도구나 검사의 상황에서 그동안 배운 교육의 입장이나 사회복지의 입장을 고려하면서 배우고자 한다. 이 검사는 아동을 어떻게 보는 입장에서 진행하는 것이로구나. 하면서 말이다. 또한 현실에도 적용을 해볼 수 있다. 우리 집에는 7살, 3살의 조카들이 사는데, 그 아이들에게 그림검사를 시켜본다든가 심리학적 이론을 시행해본다든가 하는 식으로 실제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이로써 나는 배움과 삶이 일치하는 생활을 하고자 한다.
배움과 생활이 일치하지 않고 단지 머릿속의 한 부분에만 폐제되어 있다면 졸업 후 내가 그것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을지 없을지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배움과 삶이 일치하는 삶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자 한다.
1.4. 남은 학기 학업 계획
남은 학기 학업 계획은 이전 학기에 배운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실제적인 내용을 배우고자 하는 것이다. 이론을 충분히 습득한 만큼, 이제는 그것들을 실제 상황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특히 교육학개론에서 배운 다양한 이론들을 실제 아동들에게 적용해보고, 그들의 반응과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정책론...